부산국제영화제 지난 2014년 <다이빙벨> 상영 후 지속적인 정치적 압박 받아..
영화계도 정공법으로 대응.. 정치계VS영화계 그 결말은..
▲2009년 부산국제영화제의 화려한 개막 (위키미디아,구글)
부산국제영화제는 한국 영화의 발상지인 부산을, 영상문화의 중앙 집중에서 벗어나
지방 자치시대에 걸맞은 문화예술의 고장으로 발전시키고자 기획된 영화제이다.
1996년 제 1회를 시작으로 올해로 21주년을 맞는 부산국제영화제는 서구에 억눌려 있던
아시아 영화인의 연대를 실현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북한과의 영화교류 모색, 오리엔탈리즘 극복, 아시아 영화의 발굴과 세계화를
앞으로 풀어 나가야 할 숙제로 삼고 있으며 매년 다양한 행사와 영화 상영으로
전 세계인들의 주목을 받아 세계 7대 영화제로 손 꼽힌다.
그런데 이 부산국제영화제가 위기를 맞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지난 2014년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세월호 참사에 관한 다큐멘터리 영화
<다이빙벨>을 상영예정작으로 선정하자 부산시는 다이빙벨의 상영을 취소하라는
압력을 넣었고 국제영화제가 이 압력을 수용하지 않고 상영을 강행하자
부산시 측에서는 국제영화제에게 엄청난 보복을 가하고 있다.
영화제 종료 한달 뒤 감사원과 부산시는 부산국제영화제에 감사를 착수했고
이용관(이하 이 위원장)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에게 사퇴를 압박했으며
최우수의 평가를 받은 영화제의 지원금을 절반으로 줄여버렸다.
이 위원장 외 2인의 위원장마저 무더기로 검찰 고발했으며
이로인해 이 위원장의 연임은 불투명해졌고 사실상 해촉을 당했다.
이에 봉준호 영화감독은 "특정영화를 빼라는 것은 30년 된 명가 식당의 육수에서
어떤 재료를 빼달라는 것"이라며 부산시의 압박과 횡포를 전면적으로 비판했다.
이용관 위원장은 "영화계의 상영작 선정은 프로그래머들의 고유한 권한이며
누구도 관여하지 않는 것이 부산국제영화제가 고수해 온 방침"이라며 부산시의 압력에
굴하지 않겠다 라는 굳은 의지를 보였다.
예산삭감과 이 위원장의 해촉으로 잊혀져가던 부산국제영화제 파행이 지난
16일부터 부산지방법원이 국내 영화인들에게 우편물을 보내기 시작하면서 재점화되기 시작하였다.
부산시가 부산국제영화제 자문위원 선임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을 낸 것에 따른것이다.
우편물을 받은 영화인들은 하나같이 부산시의 소송이 어처구니가 없다는 반응을 보였고
모 부산영화학과교수협의회 대표는 "막장드라마도 이런 막장드라마가 없다"라며 비판했다.
이 사건의 본질은 표면적으론 부산시와 영화인들의 싸움으로 보이지만, 실은 정치적인 외압으로
시작된 행정 권력의 오만에 있다.
끝내 부산시는 이 문제를 영화인들을 상대로하는 법정싸움까지 끌고 간 것이다.
부산시는 겉으론 영화제 파행을 원치 않는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영화계가
요구하는 독립성을 보장하지 않겠다는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영화계 역시 이미 정치적인 논란으로 부산영화제의 위상이 크게 추락한 만큼 사실상 부산시를
대변인으로 앞세운 정부의 간섭을 더는 용납할 수 없다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
이용관 집행위원장 해촉 이후 부산시 예산이 절반 혹은 그 이상 줄어들어 자체적으로
거리에서 치르는 한이 있더라도 부당한 간섭을 인정하지 않겠다는 분위기이다.
문화와 예술에 있어 독립성이 보장된다는 것은 무척이나 중요하다.
특히 특정 권력에 의해서 작품에 공격이 가해진다면 더더욱 용납될수 없는 사안이다.
그런데 이러한 기본 상식마저도 대한민국이라는 이 나라에선 통용되지 않고 있다.
국가권력의 힘을 빌려 다른 관점의 문화와 예술을 시장에서 부당하게 억누르려고 한다면
이는 북한과도 별 다를게 없다.
부산 서병수 시장을 비롯한 부산시와 이를 대리인으로 내세워
부산국제영화제를 전면압박하고 있는 이 잔인한 정부는 당장 부산국제영화제를 향한
압박과 횡포를 멈추고 실추된 부산국제영화제의 위상을 되찾아야할 필요가 있다.
(위의 이미지는 비상업적인 용도 이미지와 허가된 이미지만을 사용했음을 밝힘)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 3기 이강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