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직접 제작한 카드뉴스 중 일부)
구찌, 프라다, 샤넬, 아르마니... 명품은 항상 타 제품에 비해 비싸다. 하지만 꾸준한 수요량을 보인다. ‘나 좀 잘 살아’ 라는 과시욕 때문일 수도 있고, 정말 품질이 좋아서일 수도 있다. 하지만 대다수는 전자의 경우다. 이런 현상을 경제학에서는 ‘베블런 효과’라고 칭한다.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박솔향기자)
이는 미국의 사회학자이자 사회평론가인 베블런이 1899년 출간한 저서 《유한계급론》에서 "상층계급의 두드러진 소비는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기 위하여 자각 없이 행해진다"고 말한 데서 유래하였다. 베블런은 이 책에서 물질만능주의를 비판하면서 상류층 사람들은 자신의 성공을 과시하고, 허영심을 만족시키기 위해 사치를 일삼는다고 꼬집었다.
베블런효과는 상류층 소비자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소비 행태로, 가격이 오르는 데도 수요가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예를 들어 값비싼 귀금속이나 고가의 가전제품, 고급 자동차 등은 경제상황이 악화되어도 수요가 줄어들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는 꼭 필요해서 구입하는 경우도 있지만, 단지 자신의 부를 과시하거나 허영심을 채우기 위해 구입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더욱이 과시욕이나 허영심을 채우기 위해 고가의 물품을 구입하는 사람들의 경우, 값이 오르면 오를수록 수요가 증가하고, 값이 떨어지면 누구나 손쉽게 구입할 수 있다는 이유로 구매를 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무조건 남의 소비 성향을 좇아 한다는 뜻에서 소비편승효과라고도 한다. 이런 점에서 다수의 소비자가 구매하는 제품을 꺼리는 소비현상으로, 남들이 구입하기 어려운 값비싼 상품을 보면 오히려 사고싶어 하는 속물근성에서 유래한 속물효과와 비슷하다.
베블런효과는 산업혁명 이후 소비형태가 ‘자기과시’ 위주로 변화하면서 나타났다. 이후 지금까지도 짝퉁, 과소비 등의 문제를 야기하며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베블런효과로 인한 소비가 무조건 나쁘다고는 애기할 수 없지만, 자신의 재정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과시욕만으로 소비를 하는 것은 과연 옳을지 자문해야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4기 박솔향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