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더이상 한반도는 안전하지 않다, 계속되는 여진, 지진대피요령은?

by 3기김영현기자 posted Oct 30, 2016 Views 333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6년 9월 12일 오후 7시 44분경 경상북도 경주시 남남서쪽 8Km 지역에서 규모 5.1의 지진이 발생하였다. 1978년 기상청이 계기지진 관측을 시작한 이후에 한반도에서 발생한 역대 최대 규모의 지진이였다.이후로도 48분후인 오후 8시 32분에 규모 5.8의 본진이 발생하였고, 이는 전국 대부분 지역의 사람들이 느낄 정도로 중진이였다.

지진 발생 후 이틀 뒤인 9월 14일 국민안전처는 경주 지진으로 인한 부상자가 23명, 재산상 피해는 1,118건이라고 발표했다. 다음날인 9월 15일 집계된 재산상 피해는 5,120건으로 증가했고 경주시와 울산시에 피해가 집중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 밖에도 지붕·담장·차량 파손과 건물 균열, 수도배관 파열 등의 피해가 발생하였다.

본진이 발생한 지 일주일 후인 9월 19일 오후 6시 33분 경주시 남남서쪽 11km 지역에서 규모 4.5의 지진이 또 다시 발생했고, 9월 24일 현재까지 424차례의 여진이 발생하였다.


경주 지진의 원인은 인도판이 움직이면서 태평양판을 침으로써 그 충격으로 경북 영덕군에서 경남 양산시를 지나 부산광역시를 잇는 양산단층대를 쳐 발생하였다.


이제 더이상 한반도는 지진의 위험에서 벗어난 안전 지대가 아니다. 따라서 앞으로 더 발생 할 수 있는 지진에 대비해야 한다. 지진 발생시 행동요령 10가지를 소개하겠다.

1. 크게 흔들리는 시간은 1~2분정도 이므로 우선 큰 테이블 밑에 들어가 그 다리를 꽉 잡고 있거나 방석등으로 머리를 보호한다.

2. 약한 흔들림이 느껴지면 즉시 가스레인지나 난로등의 불을 끈다. 미처 끄지 못했을 땐, 흔들림이 멈춘 후 꺼야 한다.

3. 큰 흔들림이 멈춘 후엔 공터나 공원등 간판등의 떨어질 위험이 있는 물건이 없는 넓은 장소로 대피해야 한다.

4. 현관문이 비뚤어져 갇힐 수 있으므로 현관문을 열어 출구를 확보해야 한다.

5. 재난 발생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계단으로 대피해야 한다.

6. 백화점,극장 등에 있을 경우 큰 혼란이 생길 수 있으므로 안내자의 지시에 따르도록 한다.

7. 엘리베이터에 있을 때 지진이 발생하면 최대한 빨리 내려야하며,만약 갇혔을 경우 인터폰을 눌러 구조를 요청해야 한다.

8. 지하철 안에서 지진이 발생한 경우 화물선반이나 손잡이를 잡고 넘어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9. 운전 중 발생시 도로 우측에 정차후 내려 대피해야 한다.

10. 등산 중 발생했을 경우 위험지역으로 부터 신속히 대피해야 한다.

earthquake_action02.jpg

지진 발생시 장소별 행동 요령 [이미지 출처=국민안전처 홈페이지http://www.mpss.go.kr/home/safetys/earthquake/ ]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사회부 - 3기 김영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온라인뉴스팀 2016.10.30 14:41
    (댓글) 3기조해원기자

    우리나라에도 지진이 현실로 직면하게 됨에 따라 이에 대한 신속한 대처법이 큰 사고를 줄일 수 있는 대안이 되겠지요, 사고 발생후 대책 마련도 중요하지만 사전 예방책에 관심을 갖고 준비하는 태도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
    4기사회부기자신유나 2016.11.14 17:59
    학교내에서 안전교육이 더욱 강화되어야 할 듯합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3기이의진기자 2016.11.23 22:13
    우리나라가 처음 지진을 접하고 보여준 태도는 어찌본다면 너무 미숙했던 것 같습니다. 아마 예상치 못했왔던 상황이었기 때문이었겠죠. 지금이라도 여러 대처법을 익히고 사전에 방지하는 여러 방법에 대해 고민해 보아야 할것 같습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154717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167960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1939146
더이상 한반도는 안전하지 않다, 계속되는 여진, 지진대피요령은? 3 file 2016.10.30 김영현 33316
"국가가 살인했다…" 경찰 물대포 맞고 쓰러진 백남기 농민 사망 file 2016.10.25 유진 37940
중학교에 전면 시행된 자유학기제, 현 주소는? 2 file 2016.10.25 신수빈 29626
태풍 18호 차바의 영향을 살펴보자 file 2016.10.25 김규리 30145
위험천만 승용차 등하교길 그리고 해결방안 file 2016.10.25 류나경 30729
통장개설 제한만이 과연 대포통장을 막을 수 있는 해결방안인가 file 2016.10.25 조해원 37480
청소년들의 언어사용 실태 5 file 2016.10.25 김나연 87365
'우리가 백남기다', 백남기 농민 추모대회 2016.10.24 박하연 29029
18호 태풍 차바, 울산 태풍피해 심각 3 2016.10.24 김현승 29546
故백남기 농민 부검영장 강제집행 시도와 철수, 그 이후의 현장 1 file 2016.10.24 박채원 27143
복지를 통해 부의 불균형을 해결한다? file 2016.10.24 장은지 30419
흉물속의 리그 file 2016.10.23 한종현 32138
경기도 야간자율학습 폐지 찬반논란 1 file 2016.10.23 박채운 30836
김영란법에 대해 알아보자 7 file 2016.10.02 천주연 27569
죽어서도 편히 쉴 권리, 반려동물에게도! 2 file 2016.09.30 박채원 25846
상인들의 시장문화도 바꾸어버린 김영란법 2 2016.09.26 류보형 26615
사재기, 보이지 않는 검은 손 2 file 2016.09.25 강하윤 27364
더 이상 남일이 아닌 지진피해, 우리의 안전은? 2 file 2016.09.25 김혜빈 27922
공정무역의 가면을 쓴 불공정 무역 4 file 2016.09.25 노태인 73181
김재수 장관 해임건의안 가결로 본 대한민국의 정치 file 2016.09.25 구성모 29688
청소년들의 순수한 팬심을 이용하는 엔터테인먼트의 장사술, 이대로? 2 file 2016.09.25 이세빈 28148
여전한 아동노동착취의 불편한 진실 2 file 2016.09.24 노태인 46017
우리나라는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나라다? file 2016.09.24 최시헌 31350
한반도를 둘러싼 외교전쟁 file 2016.09.24 이민구 27782
폭염이 몰고 온 추석경제부담 2 file 2016.09.23 이은아 29143
이 ‘데자뷰’의 끝을 다시 써보려 해 5 file 2016.09.16 조민성 26628
스크린 독과점의 논란, 재시작? 3 file 2016.09.14 손지환 27863
잊혀져가는 옥시, 그들의 제품을 다시 찾아보다 5 file 2016.09.11 김수빈 26889
기상이변, 넌 어디서왔니! 4 file 2016.09.01 김나림 26537
아이에겐 엄격하고 애완견에겐 관대하다 1 file 2016.08.31 김관영 27282
[이 달의 세계인] 알레포의 기적, 옴란 다크니시 file 2016.08.27 정가영 28519
자나깨나 누진세걱정 ... 집에 에어컨은 있는데,,, 2 file 2016.08.25 이예린 28128
숨겨주세요, 여성용 자판기 2 file 2016.08.25 김선아 35341
사드 배치에 성난 성주, 김천 주민들… “사드가 안전하다면 청와대 앞마당에 놓으세요” 1 file 2016.08.25 유진 28535
Greatest Fakes, China file 2016.08.25 정채현 70377
아이스크림 정찰제에 대한 견해 차이 2 file 2016.08.25 이은아 28163
믿을 수 없는 더위에 지쳐가는 국민들 1 file 2016.08.25 이나은 27054
아이스크림 정찰제, 확신할 수 없는 효과 1 file 2016.08.25 박하연 27580
정당방위 적용 범위 개선되어야 file 2016.08.25 조해원 35095
중앙선관위, 선거연령 18세로.. 2 file 2016.08.24 안성미 30160
프로스포츠에 뿌리박힌 승부조작 3 file 2016.08.24 박민서 34173
내전의 시련 속에서 한줄기 희망 시라아 민간구조대 ‘한얀 헬멧’ file 2016.08.24 노태인 28195
포항공항- 주민들과의 오랜 갈등 빚어…… 2 file 2016.08.21 권주홍 31040
청소년 봉사활동, 그 논란의 중점에 서다 3 file 2016.08.21 조혜온 29617
아직도 논란이 계속되는 난민문제, 난민들의 휴식처는 어디에...? 1 file 2016.08.17 박가영 27600
광복절 특사, 국민 대통합? 이젠 국민 취급도 안하나? 4 file 2016.08.15 오성용 26279
휴가를 반기지 않는 반려견들 5 file 2016.08.11 임지민 28111
아동학대의 현주소 2 file 2016.07.30 임지민 301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