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과 행정기관에 의한 강제연행을 입증하는 자료가 없다’는 아베 신조 총리의 주장이 일본 교과서에 강하게 반영되면서 강제성이 종전에 비해 훨씬 흐려졌다. 게다가 이번 검정을 통과한 교과서 중 7 종에 2015년 12월 18일 한일 정부의 위안부 합의 내용을 포함시키면서 되돌릴 수 없는 결정임을 강조하는 듯 보였다. 짓쿄 출판의 고교일본사의 경우 "군의 관여 하에 다수 여성의 명예와 존엄을 심히 훼손한 문제라고 인정하고, 일본 정부는 책임을 통감" "한국 정부가 설립한 위안부 지원을 위해 재단에 10억 엔을 지출" "합의에 위안부 전부가 납득한 것은 아님" 이라고 기술하기도 했지만 이는 예외적인 사례였다. 짓쿄출판의 정치경제에는 “종군위안부와 강제연행 노동자에 대한 보상에 관해서 일본 정부의 대응이 불충분하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라는 부분이 삭제되기도 했다. 아베 총리가 강조하는 ‘최종적이고 되돌릴 수 없는 해결’에 중점을 둔 대목이 우세했다. 도쿄서적의 정치경제에는 “한국 정부가 설립하는 재단에 일본 정부가 자금을 거출하는 것 등에 의해 위안부 문제의 최종, 불가역적 해결에 합의”라는 표현이 포함되었다. 짓교출판의 정치경제에도 “위안부의 지원 사업을 위한 재단 거출금을 통해서 이 문제의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해결 확인”이라는 표현이 들어갔다. 일본군의 강제성을 축소하고 12·28 합의를 강조함으로써 이미 끝난 일이라는 점을 강조하려는 아베 정부의 의도가 보인다.
일본 정부는 역사 수정주의를 통해 궁극적으로 얻고자 하는 것이 뭘까? 답은 여러 가지가 될 수 있겠다. 일본은 자국의 과거 잘못을 부정하여 비난으로부터 벗어나고 자국의 이익을 확충하고자 하고 있다. 특히 근현대사의 군위안부나 난징대학살의 내용에 관한 왜곡은 일본이 미국 등 연합군에 의한 전쟁 피해자라는 전제를 중심으로 삼고 있다. 2차 세계대전을 일으키며 저질렀던 잘못들을 부정하면서 일본이 전범국가라는 사실을 숨기고 2차 세계 대전 직후의 미국 정부를 전쟁범죄자로 만들려는 것이다. 즉, 일본의 역사 수정주의는 세계 2차 대전 이후 일체의 사과도 보이지 않았던 일본의 태도와 일괄된 행위임을 알 수 있다. 일본은 자신이 피해자라 주장하며 자신들의 침략역사를 미화하고 있다. 이는 반성의 태도를 보이며 희생자에게 보상을 하고자 하는 독일과 정반대의 모습으로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고 있는 부분이다. 미국은 자국의 전범 행위를 부정하는 일본에 대해 계속해서 비판을 제기해왔다. 2014년 워싱턴 포스트의 리처드 코언은 일본이 “잊어버리기 위해 노력한다”고 일침을 가했고 2015년 미국역사협회(AHA) 소속 역사학자 19명이 아베 총리의 미국 역사교과서 왜곡시도를 비판하는 집단성명을 발표하기까지 했다. 최근 미국 존스홉킨스대 국제관계대학원(SAIS)의 데니스 핼핀 연구원은 외교안보 전문지 ‘내셔널 인터레스트’에서 일본의 침묵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질서를 만든 논리를 모조리 무너뜨릴 것이라며 충고했다.
[이미지 제공= 부산겨레하나]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우리가 바라는 것은 일본의 최소한의 양심, 그리고 진심어린 사과이다. 최근 부산 동구 일본영사관 앞 평화의 소녀상에 일본인의 사죄방문이 잇따랐다. 과거를 은폐하는 아베 정부를 대신해 사과한다는 내용으로 시민들은 정부와 달리 과거의 잘못을 인정할 줄 아는 일본인들이 있어 다행이라는 반응이었다.. 이들과 같은 바른 역사의식이 일본 정부에게 시급하다.
[대한민국청소년기지단 국제부=4기 남희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