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강이슬기자]
통영의 한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의 모금 활동을 통해 작년 학교 내에 평화의 소녀상이 세워졌다. 평화의 소녀상은 일본의 위안부 문제의 피해를 상징하는 상징물이다. 1992년 1월 8일부터 일본 대사관 앞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수요시위가 지난 2011년 12월 14일 천 번째 맞이함에 따라 역사를 잊지 않고자 민간단체 정대협이 중심이 돼 서울 종로 주한 일본 대사관 앞에 처음 설치한 것을 시작으로 국내외로 확산되었다.
평화의 소녀상에는 많은 뜻이 포함되어 있다. 소녀상에는 새, 한복 입은 소녀상, 뜯겨진 머리카락, 할머니의 그림자, 그림자 속의 하얀 나비, 뒤꿈치를 든 맨발, 빈 의자 등이 있다.
새는 영매의 역할, 한복 입은 소녀는 끌려가던 소녀의 모습, 뜯겨진 머리카락은 일본의 제국주의로 인해 고향과 단절된 모습, 할머니의 그림자는 할머니의 아픈 시간, 그림자 속의 하얀 나비는 나비로 환생해 일본의 사죄를 받고자 하는 것, 뒤꿈치를 든 맨발은 전쟁이 끝났지만 편하지만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빈 의자는 세 가지 뜻을 포함하는데 첫 번째는 먼저 떠나가신 할머니들의 빈자리, 두 번째 그 당시 할머니의 감정에 공감, 세 번째는 평화를 위해 힘써야 한다는 것이다.
평화의 소녀상에는 많은 뜻이 포함되어 있다. 소녀상에는 새, 한복 입은 소녀상, 뜯겨진 머리카락, 할머니의 그림자, 그림자 속의 하얀 나비, 뒤꿈치를 든 맨발, 빈 의자 등이 있다.
새는 영매의 역할, 한복 입은 소녀는 끌려가던 소녀의 모습, 뜯겨진 머리카락은 일본의 제국주의로 인해 고향과 단절된 모습, 할머니의 그림자는 할머니의 아픈 시간, 그림자 속의 하얀 나비는 나비로 환생해 일본의 사죄를 받고자 하는 것, 뒤꿈치를 든 맨발은 전쟁이 끝났지만 편하지만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빈 의자는 세 가지 뜻을 포함하는데 첫 번째는 먼저 떠나가신 할머니들의 빈자리, 두 번째 그 당시 할머니의 감정에 공감, 세 번째는 평화를 위해 힘써야 한다는 것이다.
그저 소녀가 앉아 있는 것이 소녀상의 전부가 아니라 다양한 특징들을 통해 우리에게 대한민국의 아픈 역사를 인지하며 잊지 말고 평화를 위해 기억하고 공감하자는 메시지가 담겨있다. 우리가 그 아픈 역사에 공감하며 생각하는 것이 평화의 소녀상을 세운 목적이 아닐까 생각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8기 강이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