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우리 함께 '우리 함께'를 보여주자.

by 4기김유진기자(정치부) posted Apr 29, 2017 Views 2116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우리 함께 '우리 함께'를 보여주자.

-21일 인종 차별 철폐의 날을 맞이하며.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선고일인 지난 10일 'BBC 인터뷰 사고'가 인터넷을 뜨겁게 달궜다. 부산대학교 켈리 교수는 10일 자택에서 BBC와 박 전 대통령 탄핵이 남북 관계에 미칠 영향에 관한 영상 인터뷰를 하던 중이었다. 엄중한 표정으로 문답을 이어가던 중 자녀들이 차례로 방에 들이닥쳤다. 이 사실을 뒤늦게 안 켈리 교수의 한국인 아내가 황급히 들어와 아이들을 끌어내렸지만 인터뷰는 수 초간 정지됐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일부 언론과 네티즌이 켈리 교수의 아내를 '보모'로 인식하면서 돌연한 인종 차별 논란까지 일었다. "동양 여자를 자연스레 보모로 인식하는 건 인종 차별"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많은 인터뷰를 고사하던 켈리 교수는 그의 가족과 부산대학교에서 기자회견을 가졌다. 그의 부인 김 씨는 일부 외신에서 자신을 ‘보모’라고 표현하면서 벌어진 인종차별 논란에 대해 “역사적 경험 때문에 그런 생각을 가질 수도 있다고 이해한다.”라며 “하지만 이번 일을 계기로 (그런) 인식이 바뀌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fde3ec91ea9cc81d6d2098a50c9bbf39.jpg

[이미지 출처 = BBC 방송국, 출처 밝힐 시 사용 가능]

지난 10일, 켈리교수가 BBC 방송에 출연 중 아이들이 들어온 일에 대해 언급하며 다시 한 방송


   오는 21일은 '국제 인종 차별 철폐의 날'이다. 국제연합(UN)이 이날을 선포한 지 51년을 맞이하지만 세계 곳곳에선 여전히 피부색으로 사람을 판단하는 사례가 끊임없이 발생해 각종 갈등과 마찰을 야기하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국내 거주 외국인이 200만 명을 넘어가면서 한국도 다문화 사회에 접어들었으나 아직 도 우리나라의 대부분 사람들은 우리는 ‘한 민족’이며 ‘단일 민족’이라는 사상을 가지고 있다. 여성가족부의 ‘국민 다문화 수용성 조사’에 따르면(2015년 19세~73세 전국 성인 4000명)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 지수는 100점 만점 기준 53.95점으로 나타났다. 다른 인종을 이웃으로 삼고 싶지 않다는 응답자가 4명 중 1명(25.7%) 꼴이었다. 미국(5.6%)과 네덜란드(8.2%) 등 다른 국가에 비해 현저히 높은 수치다. 다른 인종이나 종교, 문화를 가진 사람을 받아들이는 데 한계가 있다고 답한 사람은 전체의 55.3%로 2011년(39.4%)보다 오히려 15.9%P 늘었다. [뉴시스 - ‘켈리 교수 부인이 보모 ...인종차별, 우리는 자유로운가]


   2015년 12월 3일 해피투게더에서 한국의 유명인들이 미국 학교 재학 시절 당한 인종차별에 대해 논하는 시간이 있었다. 그들은 각각 얼굴에 침 뱉기, 비하 용어 쓰기, 장난감 날리기, 철제 사물함 일부러 세게 열어 다치게 하기 등의 각종 차별을 받았다고 고백했다.

   또한 최근에 인디언 흑인 소녀의 이야기 ‘모아나’라는 영화가 개봉하면서 ‘겨울 왕국’과 같은 노선에서 How fall I'll go라는 ost를 내걸었으나 지난 디즈니 작품 중 황인과 흑인을 배경으로 했던 ‘포카혼타스’와 ‘뮬란’과 같이 하강 노선을 그리며 한국 내의 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


  이러한 인종 차별 철폐를 위해 1966년에 UN 총회에서 매년 3월 21일을 국제 인종 차별 철폐의 날을 제정하였다. 이 날은 1960년 3월 21일에 남아프리카 공화국 샤프빌에서 아파르트헤이트에 반대하며 평화적 집회를 벌이다 경찰의 발포에 의해 69명의 시민들이 희생되었던 사건으로부터 유래되었다. 당시 남아프리카에서는 약 16%의 백인이 84%의 비백인을 정치적·경제적·사회적으로 차별해 왔다. 이 때문에 백인들만을 중심으로 세워진 국민당의 단독정부 수립 후 더욱 확충·강화되어 아파르트헤이트로 불리게 되었다. 이 말의 뜻은 분리, 격리를 나타낸다. 하지만 이 사건 이후 인종차별주의 법과 관습들은 많은 나라에서 폐지되었고, 유엔을 비롯하여 인종차별주의와 싸우는 세계적인 틀을 확립했다.

   세계 인권 선언의 첫 번째 조항은 “모든 인간은 존엄과 권리를 지니고 자유롭고 평등하게 태어났다.”라고 확언한다. 우리는 이 인권 선언을 들었고 알고 있으나 ‘흑인은 노동력 제공자, 백인은 지식 제공자’와 같이 성급하게 일반화를 시켜버리고 마는 경향이 있다. 샘 오취리라는 가나 연예인이 jtbc ‘말하는 대로’라는 프로그램에 나와서 자신이 겪었던 인종 차별에 대해서, 그리고 한국에서 느낀 감정에 대해서 소개해주었다. 본인이 한국에 와서 차별을 당하고 있을 때에 그 누구도 도와주지 않았고, 그에게 ‘흑형’이라는 차별적 단어를 사용하며, 대부분의 매체들에서 흑인들이 맡는 역할들이 ‘나쁜 놈’.. 그리고 2014년 에볼라 바이러스 유행 당시 ‘흑인 출입 금지’라는 한 식당의 안내문을 보고 너무나 슬펐고 안타까웠고 분노했다고 한다. 하지만 여전히 한국에 남아 있는 이유는 ‘우리’라는 단어가 매우 아름답기 때문이다고 했다. 가족과 떨어져 있는 오취리에게 명절날 함께 해 주는 친구들이 있었기에, -우리 572학교-를 세울 때에 많은 한국인들의 후원이 있었기에, 자신을 응원해 주는 사람들이 있었기에 본인이 지금 이 위치까지 올라올 수 있었다고 수줍은 고백을 했다.


   어떻게 따지면 ‘우리’라는 단어가 ‘한민족’에서 시작한 너무나 작은 범주에서 시작했을지 몰라도 다르게 생각해 보면 ‘우리’라는 단어는 그 누구에게나 사용할 수 있는, 모두를 효용할 수 있는 아름다운 단어인 것 같다. ‘우리’라는 말의 정의는 ‘어떤 대상이 자기와 친밀한 관계임을 나타낼 때 쓰는 말’이다. 한국에서 ‘나’, ‘너’라는 단어보다 ‘우리’라는 말이 많이 사용되는 만큼 우리와 조금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차별하지 않고 ‘우리 함께’ 공존하는 사회가 되었으면 한다.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정치부 = 4기 김유진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1658316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1672318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2104317
김해시 대학병원 유치 실현에 시동걸어 2 file 2017.05.05 김규리 23104
당신이 모르고 있었던 우리나라 어버이날의 유래 2 file 2017.05.05 이세영 32398
'로스트 인 파리' 도미니크 아벨-피오나 고든, 첫 내한 file 2017.05.04 이지원 27829
잊지 말아야 할 그날, 3월 26일 3 file 2017.05.04 민정연 20803
인간과 물 그리고 녹조 file 2017.05.04 최지민 21499
‘다시 4월, 기억하고 있어요’ 6 2017.05.03 최희정 19433
수지 사랑의 교복 나눔 행사 2 file 2017.05.03 이예찬 23197
우리나라 테마파크의 적신호 4 file 2017.05.03 김나림 22746
청소년이 만들어가는 올바른 환경문화 - 숯내지킴이 1 file 2017.05.03 김지아 24368
두바이 분수쇼에서 K-POP의 미래를 생각하다 2 file 2017.05.02 정채영 29209
봄의 끝물에서 본 문수사 겹벚꽃 3 file 2017.04.30 서지은 25780
[시사경제용어 알아보기] ② ‘세컨더리 보이콧’을 아시나요? 2 file 2017.04.30 오경서 24884
'봄봄!! 책을 봄! 도서관을 봄!' 광주광역시립도서관, 도서관 문화마당 개최 1 file 2017.04.30 최영인 22921
영화 그들이 짜놓은 세상 조작된 도시로 알아보는 가짜 뉴스 1 2017.04.30 장하늘 23402
3월 21일, 국제 인종 차별 철폐의 날 file 2017.04.30 이슬기 25307
누구나 쉽게 참여하는 식량문제와 환경문제 캠페인 1 file 2017.04.29 4기기자전하은 23226
자원의 보물 창고!해양 자원 file 2017.04.29 오정윤 24782
아파트 주민들의 소통부터 기부활동까지! 3 file 2017.04.29 정지윤 23019
우리 함께 '우리 함께'를 보여주자. file 2017.04.29 김유진 21164
스트레스에 관한 간단한 고찰 file 2017.04.29 이영혁 26612
설레는 수학여행! 지나친 부담여행..? 1 2017.04.29 김영은 21480
우리의 미래, 아이들 부족함부터 배우다. file 2017.04.29 유성훈 19868
과학을 향한 학생들의 도전, 2017 제주청소년과학탐구대회 file 2017.04.28 신온유 22767
강해져서 돌아왔다! 부활한 기아타이거즈 file 2017.04.28 서재성 21299
단맛과의 이별 위한 대책 '당류 저감 정책' file 2017.04.28 황서영 25137
푸르른 5월, 되돌아본는 시간을 갖으며... file 2017.04.28 박현지 17755
제32회 새얼백일장 1 file 2017.04.26 이다은 21996
IKEA는 역행하고 있다. 2 file 2017.04.25 홍은서 23594
사회 곳곳에 자리잡을 인공지능, 당신의 미래는 안녕하십니까? 1 file 2017.04.25 장영욱 24267
대형마트가 고전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1 file 2017.04.25 현소연 24876
요우커 사라진 제주도..하지만 전체 관광객은 늘어 2 file 2017.04.25 박지호 21339
'내 가수를 위해서라면...' 더 다양해지는 팬 문화! 4 file 2017.04.25 김예진 28630
비상벨 울려도 모두 수업만......안전불감증 심각 2 file 2017.04.25 정무의 24293
행복 누리 축제로 초대합니다. file 2017.04.25 임성은 23479
나와 가장 생각이 맞는 대통령 후보는 누구일까? '누드 대통령' 서비스를 통해 알아보자 2017.04.25 홍종현 33888
뿌연 하늘과의 작별은 언제쯤? file 2017.04.25 김용준 19996
대왕카스테라의 시대는 갔다? 이젠 명량핫도그! 3 file 2017.04.25 정혜교 25919
뇌사=죽음? 1 file 2017.04.25 하영서 28085
도심 속 생태공원을 달리다, 제 14회 태화강 국제 마라톤 대회. 1 2017.04.25 이가현 22603
누가 누구를 조종하는가, '쓰릴미' file 2017.04.25 고다연 23238
제32회 새얼 백일장 성공리에 마무리 file 2017.04.25 이다은 22766
누구나 참여가능한 감동 캠페인, 나의눈이 당신에게 약속합니다 EYE PROMISE YOU 2 file 2017.04.25 김혜원 33935
중국, 상하이에서 절강으로... 2017.04.25 송경아 19702
인형뽑는 기계..? 돈 먹는 기계..? file 2017.04.25 변유빈 22930
빅데이터, 우리 삶과의 연관성 file 2017.04.25 고민경 21260
화재 경보, 그는 양치기 소년인가 1 file 2017.04.25 김대홍 23996
사전투표, 이렇게 한다! file 2017.04.25 이태연 19667
대전국립중앙과학관, 과학체험의 장을 열다. file 2017.04.24 김세영 2406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