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계속되는 폭염,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by 9기김성백기자 posted Jul 25, 2018 Views 2720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그림1.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7기 김성백기자]


 폭염이란 일반적으로 일 최고 기온이 33이상일 때를 폭염이라고 한다. 국내에서는 일 최고 기온이 33이상이 2일 이상 지속될 경우 폭염 주의보, 일 최고 기온이 35이상이 2일 이상 지속될 때에는 폭염 경보를 발령한다. 현재 전국 대부분에 폭염 경보가 내려져 있다. 지금 폭염을 자연 재난의 범주 안에 포함시키려는 방안도 검토 중인 만큼 폭염을 만만히 볼 것은 아닌 것 같다. 그럼 이처럼 무더운 폭염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먼저 폭염이 일어나기 전 대처 방법이다.

 첫째로 여름철에는 항상 기상 상황에 주목해야 한다. 둘째로는 열사병 등 온열질환의 증상과 가까운 병원 연락처 등을 사전에 파악해야 한다. 어린이, 노약자, 심뇌혈관질환자 등 취약계층은 더위에 약하기 때문에 건강관리에 더욱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더위로 인한 질병에 대한 증상과 대처 방법을 사전에 알아두어야 한다. 셋째로 폭염예보에 맞추어 무더위에 필요한 용품이나 준비사항을 확인해야 한다. 에어컨, 선풍기 등을 사전에 정비하여 두고, 직사광선을 차단할 수 있는 커튼이나 천 등을 설치해야 한다. 외출 시에는 모자를 쓰거나 썬크림을 바르는 등 차단제를 준비해야 한다. 정전에 대비해 손전등, 휴대용 라디오 등을 미리 확인해 두고, 단수에 대비해 생수를 준비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폭염이 발생한 후의 대처 방법이다.

 일반 가정에서는 야외 활동을 최대한 자제하고, 외출이 꼭 필요한 경우에는 가벼운 옷차림으로 나가고, 물병을 반드시 휴대하여 나가야 한다. 물을 많이 마시고, 냉방이 되지 않는 실내는 햇빛을 가리고 맞바람이 불도록 환기를 해야 한다. 밀폐된 공간(자동차 등)에는 노약자나 어린이를 절대 홀로 남겨 두어선 안 된다.

 직장에서는 짧게라도 자주 쉬어야 하고, 야외 활동을 최대한 자제해야 한다. 냉방이 되지 않는 곳에는 햇빛이 실내에 들어오지 않도록 하고, 환기가 잘 되도록 선풍기를 켜고 창문이나 출입문을 열어 두어야 한다.

 학교에서는 냉방장치 운영이 불가한 경우 단축수업, 휴교 등을 시행해야 하고, 체육 활동 및 소풍 등 각종 야외 활동을 자제하여야 한다.

 

 폭염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7기 김성백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173351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188457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2133286
대부분의 학생들이 하루를 보내는 학교, 그런데 이런 곳에 1급 발암 물질이 있다? 3 2018.08.24 공동훈 26932
논란 많은 한국의 페미니즘, 왜? 5 file 2018.08.23 김성백 32382
한결 나아진 무더위, 안심할 수 있을까? file 2018.08.22 안혜민 27646
저출산과 고령화, 해결할 수 있는 대책은? 7 file 2018.08.22 윤지원 47920
멈추지 않는 BMW 520d 모델 화재사고, 대책은? 2018.08.22 권영준 29171
경제가 시사하는 게 ISSUE - 터키 리라화 급락과 환율 시장 file 2018.08.22 김민우 39059
문재인 대통령 지지율 하락세 ... 그 이유는? 2018.08.22 고아름 24833
111년만의 기록적인 폭염, 에너지 빈곤층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2 file 2018.08.21 박상정 27115
누진세 완화 정책 발표, 전기료 부담 줄일 수 있을까? 2018.08.20 김원준 26316
경제가 시사하는 게 ISSUE - 최저임금 제도와 정부의 개입 1 file 2018.08.20 김민우 36306
#ME Too 진실과 왜곡, 그리고 현재는... file 2018.08.17 정다원 26238
‘최저임금 1만 원 인상’ 의 일장일단(一長一短), 그리고 알지 못했던 주휴수당 file 2018.08.17 송지윤 25982
무더위 속 할머니들의 외침 2 file 2018.08.17 곽승준 30744
SNS가 되어버린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1 file 2018.08.16 지윤솔 26002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오마이뉴스 사실왜곡, 명예훼손 도넘어..법적 대응할 것” (공식 입장) file 2018.08.14 디지털이슈팀 31240
임산부 배려석, 이대로 괜찮을까? 1 file 2018.08.14 남승연 31671
방송업계의 열악한 노동환경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8.08.13 지윤솔 27042
4차 불법촬영 편파수사 규탄시위, 작년 촛불시위와 비교해봤을 때⋯ file 2018.08.13 김진진 27212
대한민국의 최저임금 인상, 그리고 이건 옳은 선택일까? 1 file 2018.08.13 이동욱 27313
최소한의 투표권도 얻지 못하는 청소년,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8.08.13 장혜성 25902
버스 정류장이 금연 구역이라고요? 2 file 2018.08.10 남지윤 38200
난민에 대한 국민들의 반감과 청와대의 답변 file 2018.08.09 이수지 23555
'폭염에 이어 폭우', 기습적 피해 받은 영동 1 file 2018.08.07 이선철 24706
청와대, '난민법, 무사증 입국 폐지/개헌' 거부 답변을 내놓다 file 2018.08.07 김나현 25144
美 관세와 폭풍 같은 세계의 반응 1 file 2018.08.06 노시현 29166
이제는 말할 수 있다. 3 file 2018.08.02 심윤지 28313
미투의 끝은 어디인가 file 2018.08.02 박세빈 27547
조력자살 그 한계는 어디인가? file 2018.07.31 신화정 36631
정의당 원내대표 故 노회찬 국회의원 영결식 국회장으로 엄수 7 file 2018.07.31 허기범 25623
북극해를 둘러싼 갈등 file 2018.07.30 김지은 37171
왜 이렇게 덥지? 3 file 2018.07.30 고다은 28193
청와대 게시판 '난민신청 허가 폐지/개헌' 청원 70만 돌파 4 file 2018.07.27 김정우 27157
기무사 계엄 “실행” 계획, 국외자의 ‘반란’ file 2018.07.27 김지민 28604
작지만 큰 그녀들의 외침 4 file 2018.07.26 김하은 27812
지구상 마지막으로 여성 운전을 허용한 국가, 사우디아라비아 file 2018.07.26 김채용 24732
위기에 부딪힌 에너지 전환 정책, 어떻게 나아갈 것인가 file 2018.07.26 박문정 22724
노인 복지 정책, 어떻게 얼마나 변했는가? file 2018.07.26 장서진 27497
우리는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가...언론의 무서움을 말하다 2 file 2018.07.26 김지연 28649
계속되는 제주 난민수용 갈등, 어느것이 옳은 선택? 2018.07.26 고유진 23627
계속되는 폭염,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2 2018.07.25 김성백 27207
오스만의 파리 도시계획, 여의도에서 재현되나? - 박원순 시장의 여의도 마스터플랜 file 2018.07.25 신유진 32281
왜 우리는 알고 있는데도 실천하지 않는가 2 2018.07.25 임서정 26575
미세먼지, 우리가 줄일 수 있습니다 2018.07.25 임서정 30167
끝없는 갑질 논란. 이번엔 백화점 난동? 1 file 2018.07.25 하예원 23975
미중 무역전쟁, 어디까지 갈까? file 2018.07.25 오명석 32823
한국문학의 거장, 최인훈 떠나다 file 2018.07.25 황수환 27215
'낙태죄 폐지', 우리는 여성의 인권을 쟁취한다 2 file 2018.07.25 양성민 25884
제4차 산업혁명 시대 갈수록 커져가는 지식 재산권의 남용, 법적 분쟁의 해결책은? file 2018.07.24 송민주 251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