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안옥주기자]
"서명 한 번씩만 도와주세요, 22명의 선원이 아직도 구명벌에 의지하여 바다에서 표류하고 있습니다!"
작은 천막 아래서 들리는 '제2의 세월호'라 불리는 스텔라 데이지호 실종 선원들 가족들의 절박한 외침이다.
스텔라 데이지호는 일본에서 폐선한 노후선박을 중국에서 개조하여 25년째 무리하게 운항하였다.
결국, 스텔라 데이지호는 한국인 8명과 필리핀인 16명을 태운 채 지난 3월 26일, 브라질에서 철광석을 싣고 중국 칭다오로 향하던 도중 3월 31일 우루과이 인근 남대서양 해역에서 침몰하였고 한국 시각으로 오후 11시 20분경 스텔라 데이지호의 선원이 한국 측 선사인 폴라리스 쉬핑에 배가 급격하게 좌현으로 기울어지고 있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마지막으로 연락이 두절되었다.
정부는 통신 두절과 동시에 대한민국 외교부는 관련 사실을 파악하고 재외국민보호 대책반을 가동하고 국민안전처와 비상연락체계를 유지하며 우루과이대사관을 통하여 우루과이 해양경찰 당국에 긴급구조를 요청했다고 밝혔지만 스텔라 데이지호 가족대책위원회의 이야기는 달랐다.
스텔라 데이지호 가족대책위원회의 이야기에 따르면 정부는 사고 발생 후 12시간 만에 사건을 인지하였으며 수색 선은 사고 발생 후 11시간 반, 수색 비행기는 42시간이 지나서야 현장에 도착했다는 것이다. 새 정부가 들어선 후 현재의 정부인 문재인 정부는 스텔라 데이지호 사고를 '1호 민원'으로 지정 후 집중수색을 재개하겠다고 스텔라데이지호 실종자 선원 가족들에게 이야기하였지만 현재 전혀 진전을 보이고 있지 않다. 심지어 주무 부처인 외교부는 예산 10억으로 수색선 1척만을 투입한 후 단 16일 수색 후 수색중단을 선언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스텔라 데이지호 가족대책위원회는 사건 발생 초기의 대응에 대해서도 의문을 품고 있다.
부유 가능 물품인 200여 점 중 수거한 물품은 구명조끼 단 2개뿐이며 길이가 6.5m나 되는 커다란 주황색 구명보트 하판조차도 현재까지 발견이 되지 않고 있다. 이는 사건 초기부터 수색구역이 제대로 설정되지 못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많은 사람은 스텔라 데이지호가 왜 '제2의 세월호'라 불리는지에 대하여 궁금증을 가지고 있다.
[이미지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안옥주기자]
그 이유는 스텔라 데이지호 침몰 또한 가장 큰 원인이 개조 노후 선박에 대해 관리가 소홀하였기 때문이다. 실제 스텔라 데이지호의 선사인 폴라리스 쉬핑의 다른 배인 스텔라 유니콘 호와 스텔라 퀸 호의 사진을 보면 균열이 매우 심각함을 알 수 있다. 세월호 침몰 때와 마찬가지로 구조수색 초기대응 또한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골든타임을 놓쳤고, 외교부, 해수부, 해경 등 정부 부처들이 서로 책임을 떠넘기기에 바빴다. 정말 세월호 침몰 당시와 매우 유사하다.
그래도 스텔라 데이지호 가족대책위원회는 어딘가에 틀림없이 내 가족이 살아있음을 믿고 있다.
5척의 구명벌 중 아직 1척이 발견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생존전문가들은 구명뗏목 안에서 충분히 생존할 수 있다고 말한다. 실제로 생존사례도 있으며 구명 뗏목에는 낚시도구 등 생존장비가 탑재되어있고 현지에 종종 비가 내려 식수가 보급된다. 또한, 일반인이 아닌 비상훈련을 받은 선원들이라면 충분히 생존할 수 있다. 사건 발생 후 4월 9일 미국 P-8 초계기가 구명뗏목으로 추정되는 오렌지 색의 물체를 발견하였는데 외교부에서는 기름띠로 추정된다며 사진조차 보여주지 않았다.
그렇기에 스텔라 데이지호 가족대책위원회는 계속 의문을 품을 수밖에 없다.
스텔라 데이지호 실종 선원들 가족들이 바라는 것은 크지 않다. 스텔라 데이지호의 주황 리본의 뜻인 무사 귀환을 바라는 노란색 리본과 어딘가 내 가족이 타고 있을 구명벌의 주황색, 정말 주황 리본의 뜻대로 내 가족이 어디에 있는지, 왜 이런 사고를 당해야 했는지에 대한 질문의 답을 바라고 있다.
국가는 국민을 구해야 할 의무가 있다.
지금 우리 국가는 과연 그 의무를 다하고 있는지 다시 한번 되물어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안옥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