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청소년 보호법 폐지, 그리고 청소년

by 4기이다은기자 posted Sep 25, 2017 Views 2531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9150b69c87ef5489f2d348beeb9defc2.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이다은기자]


청소년 보호법이란 법률 제14446호에 따르면 청소년에게 해로운 매체물과 약물 등이 청소년에게 유통되는 것과 청소년이 해로운 업소에 출입하는 것 등을 규제하고 청소년을 해로운 환경으로부터 보호·구제함으로써 청소년이 건전한 인격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 청소년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법이라 볼 수 있다.

지난 94일 전국을 떠들썩하게 했던 사건인 부산 여중생 폭행 사건은 두 차례에 걸쳐 피해자에게 폭행을 감행하였다. 1차에는 전치 2, 2차 폭행으로 인해 등에는 담뱃불로 지진 흔적이 그대로 남아있으며 입안과 머리를 각각 3곳씩 꿰맬 만큼 무자비한 폭행을 가하였다. 이 폭행으로 인해 피해자는 앞으로 학교에 다시 갈 수 없을지도 모르고, 어른이 되어서도 대인관계에 대해 트라우마가 우려될 만큼 정신적으로 큰 충격을 받았을 것으로 예상한다. 그러나, 19세 미만이기 때문에 구속영장도 발부할 수 없고 원래 받아야 할 형보다 더 적게 받을 가능성도 적지 않게 있다.

이에 네티즌들은 청와대 청원 글에 청소년 보호법 폐지 글은 현재 13만 명 이상이 동의해 최고 청원 글로 부상하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이제는 어리다는 이유로 보호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국민의 주장이다. 부산 여중생 사건뿐만 아니라 인천 초등생 살인 사건, 강릉 집단 폭행 사건, 20대 가장을 뺑소니로 살해한 무면허 여고생 사건까지 청소년 범죄가 기승을 부리는 요즘, 더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보호받고 죄에 대한 처벌 또한 줄어들어서는 안 될 것이다. 사회는 청소년에게 법의 빈틈이 아니라 정의를 가르쳐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이다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김지연기자B 2017.09.23 22:24
    소년법이 반사회성이 있는 소년에 대한 보호처분 등을 규정하고 있는 법률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부산 여중생 폭행 사건과 관련해서는 소년법과 연관시키는 것이 더 맞다고 생각합니다
  • ?
    4기이다은기자 2017.10.18 21:51
    조언 감사합니다! 다음번 기사에서는 더 자세히 알아보고 기사 쓰도록 하겠습니다
  • ?
    4기이다은기자 2017.10.18 21:51
    조언 감사합니다! 다음번 기사에서는 더 자세히 알아보고 기사 쓰도록 하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138049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149478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1755793
3년동안 끝나지 못한 비극 1 2017.09.28 윤난아 19759
남이섬, 친일 재산인가 1 2017.09.28 문세연 23587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추가 대북제재결의안 3 2017.09.27 황준엽 18986
소년법 과연 폐지될 것인가? file 2017.09.27 조희경 20091
대형마트의 강제 휴무 제도 5년...현재는? 2017.09.27 허재호 19569
정부의 단호한 '8*2부동산 대책'을 둘러싼 우려 1 file 2017.09.27 고다정 22270
유승민 비대위원장 수용 의사 밝혀, 바른당 자강론으로 가닥 file 2017.09.27 조인성 26202
"앞으로 생리대 뭐 써요?" 아직도 논란이 되는 생리대 해결방안은 file 2017.09.27 한유진 25191
일탈 행위에 빠진 청소년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7.09.27 김하늘 21253
임용고시...교사희망자 불만! 1 file 2017.09.27 배성연 22233
소년법, 처벌의 강화가 최선인가? file 2017.09.27 양은향 24618
북한의 도발과 중국의 태도 file 2017.09.26 박형근 18594
돌아오지 못한 눈물, 스텔라 데이지호 4 file 2017.09.26 임용택 25181
세계의 논쟁 거리, (한국의) 개고기 식용 찬반 논쟁 1 file 2017.09.25 김희주 45033
청소년 보호법 폐지, 그리고 청소년 3 file 2017.09.25 이다은 25318
블라인드 채용 득인가 실인가 2017.09.25 황수민 20513
구별되고 분리되었던 공진초, 그리고 지금은? file 2017.09.25 김유진 18429
청소년보호법과 소년법은 다르다? 7 file 2017.09.21 김주은 28883
헌재소장 임명 부결... 문재인정부 사법개혁 '적신호' 1 file 2017.09.21 고범준 20619
학교의 민낯 - 창살 너머의 아이들 1 file 2017.09.21 이우철 28925
런던의 또 한 번의 테러: 지하철역 안에서 3 file 2017.09.19 박우빈 19484
재정 운영의 투명성이 중요한 이유 1 file 2017.09.19 양현서 22039
삐까뻔쩍한 아파트를 가진 가난한 사람들, 당신이 몰랐던 이유 2017.09.19 호수 18909
도를 넘는 북한의 도발, 국민들은 안전한가? 2 file 2017.09.19 윤익현 29006
6차 핵실험, 또다시 북한을 감싸는 중국 2 file 2017.09.15 박현규 23035
노동계의 사각지대. 비정규직 그들의 외침.... 7 file 2017.09.14 서호연 19929
사과, 어려운 일 입니까? 5 2017.09.12 5기김경원기자 20080
"법을 악용하는 청소년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들끓는 소년법 폐지 요구 3 file 2017.09.12 박선형 28714
청소년들에게 물어보다, 청소년 범죄 처벌 강화 찬반 1 file 2017.09.12 고다영 37448
기싸움 중인 제주도와 도의회, 정책협의회 개최 2017.09.12 강승필 19961
서울 광화문 미국 대사관 앞 대규모 "사드 배치 반대" 집회 1 file 2017.09.12 김승만 20601
초강력 허리케인 '어마', 카리브 해 연안 도서 및 美 남부 강타해 피해 속출 1 file 2017.09.11 이윤희 22152
소녀상 지킴이들 '소녀상 농성 대학생 단체', 600일 맞다. 3 file 2017.09.11 조유진 19679
노동인권을 다룬 만화, '송곳'을 통해 알아보는 노동3권 1 file 2017.09.11 신동경 22816
실질적 사형 폐지국 대한민국, 아직도 뜨거운 사형제도 폐지 찬반 논란 1 file 2017.09.11 김혜민 34329
만 18세 선거권 하향, 그 논란의 주 요지는? 6 file 2017.09.08 이지현 32422
살충제 계란, 지금에서야 밝혀진 이유 1 file 2017.09.07 김연아 24857
커지는 소년법 폐지 여론..‘소년법 개정’으로 이어지나 9 file 2017.09.07 디지털이슈팀 23739
북한, 6차 핵실험 1 file 2017.09.06 최현정 21380
불안한 일회용 생리대, 천 생리대는 어때? 12 2017.09.06 김나연 21232
“졸업이 실업” 청년층 체감 실업률 22% ‘사상 최악’ file 2017.09.06 김욱진 34406
5060 신중년 정책, 국민들의 많은 관심이 필요합니다. 1 2017.09.05 김민주 20597
철원 자주포 사고, 2년 전과 똑같은 비극이 반복되다. 2 file 2017.09.05 권민주 23234
문재인 대통령 광복절 경축사, 그 안에 담겨 있는 새 정부의 메세지 file 2017.09.05 이지훈 20726
생리대, 과연 안전한가? 5 2017.09.04 박채리 22301
살충제 달걀 사건으로 알아보는 살충제 이야기 2 2017.09.04 최수혜 23254
우리 사회 이대로 안전한가? 1 file 2017.09.04 김하늘 19365
우리나라 먹거리의 잔혹사 첫 번째, 우지파동 3 2017.09.04 오동민 2906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