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조선을 위한 변호사...'후세 다츠지'

by 8기윤현정기자 posted Aug 27, 2018 Views 2510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윤현정기자]

 

조선을 위해 일했던 일본인 변호사를 아는가? 그는 바로 '후세 다츠지' 이다. 그는 일본제국 미야기현 이시노마키시의 한 농가에서 32남의 막내로 태어났으며 메이지법률학교를 졸업해 검사로 임명되었다. 그가 담당했던 사건 중 한 모자가 동반자살하는 사건에서 어머니가 살아남았는데, 어머니는 살인미수로 기소되게 된다. 그다음, 그는 법의 미성숙함과 부조리를 느껴 변호사의 길을 걷게 되고, 40세의 나이에는 인권 변호사가 되었다. 그는 특히 조선인의 부당함과 억울함을 풀어주기 위해 애썼다. 1920년 일본 유학생들이 주축이 되었던 2.8사건, 일본 천황을 암살하려 한 혐의로 붙잡힌 박열과 가네코를 변호하였고, 의열단이 조선총독부를 폭파하려다 붙잡힌 황옥 경부 폭탄 사건, 동양척식주식회사에 의해 벌어지던 토지 수탈문제 등을 다루면서 조선인을 위한 변호사가 된다. 


이러한 후세의 행동을 일본의 치안 당국이 좋아할 일은 없었다. 결국 후세는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변호사 자격정지와 징역 3개월을 받고 수감됬었다. 그는 또한 우리나라가 해방된 직후에는 '조선의 독립을 축하한다. 이날은 나에게도 자유의 날이다.'라며 축하의 말을 건내주기 까지 하였다.


그는 72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하였으며, 그의 업적을 인정받아 2004년에는 일본인 최초로 대한민국 정부에게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받게 되었다. 조선을 지배한 나라인 일본에서 건너온 이 일본인 변호사가 우리에게 주는 의미가 크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일본과의 대결이나 경쟁에서 예민한 반응을 보이고 간혹 일본인에 대한 비난을 하는 경우도 있다. 그만큼 우리 민족이 일본으로부터 얻은 아픔의 크기가 매우 크고 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일본이 우리나라에게 저지른 만행은 마땅히 사과받아야 하지만 후세라는 일본인이 우리를 도와주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그는 자신의 나라를 기꺼이 등지고 조선을 위해 힘써준 은인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광복절을 맞이하여 그의 이름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독립을 위해 싸워준 열사들의 억울함을 대변해주던 이 일본인의 이름을 말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8기 윤현정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2505041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2586722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2983361
아시안게임, 병역 혜택의 기회? 3 file 2018.08.30 김서진 29599
굿네이버스, 10대들의 생각은? file 2018.08.29 임세진 29034
열섬 현상을 막는 도심 속 생태계, 서울숲 file 2018.08.29 전세린 33283
‘Youtuber’ 축제 ‘DIA FESTIVAL’ 그 열기는! 2018.08.29 김유진 31773
초록우산어린이재단, 경기북부권역 9개교 나눔실천리더 발대식 개최 file 2018.08.28 디지털이슈팀 27172
올여름 더위를 식힐 필수품, 미니 손 선풍기 2 file 2018.08.27 조수진 28957
조선을 위한 변호사...'후세 다츠지' file 2018.08.27 윤현정 25106
'그루밍족' 남성의 화장은 죄인가? 2 file 2018.08.27 구본윤 34066
숨기기보다 드러내는 것이 치매 예방의 지름길 1 file 2018.08.27 여인열 28224
차정원, 그는 누구인가 1 file 2018.08.27 노현빈 32328
광복절, 안성에서 그들을 기억하다 1 file 2018.08.27 안정섭 29795
디스이즈네버댓 두 번째 모험가 이야기, “ADVENTURER2” 3 file 2018.08.27 김다은 38057
뜨거운 태양을 피해 ‘해질녘에 듣는 도란도란 한옥마을 이야기’ file 2018.08.27 김수인 28813
6년 만에 돌아온 첫사랑 로맨스 '너의 결혼식' 2 file 2018.08.27 이유영 29670
앞으로 올 미래시대에 자리 잡을 3D 프린터 1 2018.08.23 강민성 26618
동양의 나폴리와 함께하는 통영한산대첩축제 file 2018.08.23 강이슬 29094
충청남도의 문화를 책임질 '충남도서관' 2018.08.23 오가람 28061
제천시 별새꽃돌 자연탐사과학관에서 자연을 배우다 file 2018.08.22 조정원 28206
편견 없는 시선으로 '방탄소년단'을 논하다 2 2018.08.21 김예나 33348
세계 최대 규모의 크리에이터 페스티벌 'DIA FESTIVAL 2018 with 놀꽃' 개최 1 file 2018.08.21 허기범 28642
"Happy Animals-'함께' 행복한 세상" 제6회 순천만세계동물영화제 개최되다 file 2018.08.21 정혜연 29482
꿈의 나노소재, 그래핀 1 file 2018.08.20 박효민 33735
자율주행 자동차의 현실 file 2018.08.20 이형우 38876
e스포츠 아시안게임에 나서다 4 2018.08.20 김창훈 32374
갤럭시 노트9이 아닌 노트8.5였다 4 file 2018.08.20 윤주환 45347
제22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가 열리다! 1 file 2018.08.20 정유경 27258
소식 없이 끝나버린 토트넘의 이적시장 1 file 2018.08.20 이형경 24578
우리가 기억해야 할 과거, 광복절 및 정부수립 경축식이 열리다 file 2018.08.20 정아영 28058
우리 모두가 경축해야 하는 국경일, 광복절 1 file 2018.08.20 유하늘 25527
교토, 일본 본연의 도시 7 file 2018.08.20 이승철 35161
올해 여름철 무더위는 '울진해양캠프'로 해결 file 2018.08.17 정다원 29519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안정을 향해, 제42차 모의유엔총회 file 2018.08.17 박세경 28914
린드블럼 14승, 반슬라이크 KBO리그 데뷔 '첫 홈런' file 2018.08.16 옥나은 29707
아시안게임 축구 대표 팀의 논란 file 2018.08.16 이형경 31508
여자프로배구팀 KGC인삼공사, 2018 보령·한국도로공사컵 대회 우승 file 2018.08.16 김하은 28707
'생명캠프' 생명권을 교육하다 file 2018.08.16 박서윤 28416
삼성전자의 새로운 멤버들 태어나다! file 2018.08.13 김찬빈 34777
‘장르적 유사성’과 ‘표절’의 판단 기준은? file 2018.08.13 정지혜 37128
색다른 경험이 기다리고 있는 부여 '기와마을'로 떠나자 1 file 2018.08.08 전예진 28882
배구계 새로운 국제대회, 'VNL'에 대하여 2018.08.08 김하은 28823
팝콘가격이 영화가격? 2 file 2018.08.08 신효원 31161
청년 실업 대란 속 일본과 한국의 프리터족 file 2018.08.08 이승철 31275
숀 'Way Back Home' 1위, 모든 게 바이럴 마케팅 덕분? 6 file 2018.08.07 정유리 31318
여가부 산하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언제든 1388 캠페인’ 실시 file 2018.08.06 디지털이슈팀 29443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둥근세상 만들기캠프 진행 file 2018.08.06 디지털이슈팀 27868
불빛 무대, 포항 밤바다 3 file 2018.08.03 윤의빈 30386
LG 트윈스의 기분좋은 후반기 시작 2018.08.03 최용준 27146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혼성계주' 정식종목 채택 file 2018.08.03 정재근 357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