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14~16일 추석을 맞이하여 3일간의 연휴를 지내었다. 추석이란 음력 8월 보름을 일컫는 말로 가을의 한가운데 달이며 또한 팔월의 한가운데 날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추석은 가배, 가위, 한가위, 중추절 등이라고도 하는데 이중 우리가 자주 들을 수 있는 가위나 한가위는 순수한 우리말로 얘기하는 추석의 이름이다. 추석은 신라시대에서부터 세시명절로 자리 잡아 고려에서 또한 9대 속절에 포함되어 조선시대까지 이어져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그러나 추석을 포함한 풍속이 농경의례로 농사와 직결되어 있었는데 농사보다 공업이 중심이 되면서 추석의 전통적인 성질이 축소되었다. 그럼에도 국가 공휴일로 지정되어 오늘까지 큰 명절로 지내오고 있는데, 대부분의 가정에선 확연히 추석을 지내오는 모습들이 변하고 있다. 추석의 명절식인 송편을 빚어 먹는 모습이나 강강술래, 줄다리기, 가마싸움, 닭싸움 등의 놀이를 하는 모습을 찾기 어려워지고 있다. 또한 차례상 문화는 예전에는 많은 사람들이 유교식 차례를 지내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전통적인 차례를 지내지 않고 조율이시와 같은 차례 상의 규정을 지키는 대신 생전 어르신들이 좋아하셨던 바나나, 피자, 치킨 등의 인스턴트 음식이나 수입과일을 차례상에 올리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고 한다. 또한 사이버 제사상, 사이버 차례 등 디지털 시대에 걸맞은 명절을 보내는 가정도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예전과 오늘날의 명절이 달라지고 있는 이유가 무엇일까?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사람들이 명절을 받아들이는 인식이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추석과 같은 명절을 차례를 지내고 가족들과 함께 보내기도 하지만 바쁜 일상 속 맞이하는 연휴에 가족들, 혹은 친구들이나 나 홀로 여행을 떠나는 사람들도 많아지고 있다. 이처럼 명절로 인한 연휴를 좀 더 실용적이게 보내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어 명절의 모습은 예전과 점점 달라지고 있다.
<이미지 촬영=대한민국 청소년기자단 3기 김나연기자>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사회부=3기 김나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