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우리 함께 '우리 함께'를 보여주자.

by 4기김유진기자(정치부) posted Apr 29, 2017 Views 1527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우리 함께 '우리 함께'를 보여주자.

-21일 인종 차별 철폐의 날을 맞이하며.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선고일인 지난 10일 'BBC 인터뷰 사고'가 인터넷을 뜨겁게 달궜다. 부산대학교 켈리 교수는 10일 자택에서 BBC와 박 전 대통령 탄핵이 남북 관계에 미칠 영향에 관한 영상 인터뷰를 하던 중이었다. 엄중한 표정으로 문답을 이어가던 중 자녀들이 차례로 방에 들이닥쳤다. 이 사실을 뒤늦게 안 켈리 교수의 한국인 아내가 황급히 들어와 아이들을 끌어내렸지만 인터뷰는 수 초간 정지됐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일부 언론과 네티즌이 켈리 교수의 아내를 '보모'로 인식하면서 돌연한 인종 차별 논란까지 일었다. "동양 여자를 자연스레 보모로 인식하는 건 인종 차별"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많은 인터뷰를 고사하던 켈리 교수는 그의 가족과 부산대학교에서 기자회견을 가졌다. 그의 부인 김 씨는 일부 외신에서 자신을 ‘보모’라고 표현하면서 벌어진 인종차별 논란에 대해 “역사적 경험 때문에 그런 생각을 가질 수도 있다고 이해한다.”라며 “하지만 이번 일을 계기로 (그런) 인식이 바뀌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fde3ec91ea9cc81d6d2098a50c9bbf39.jpg

[이미지 출처 = BBC 방송국, 출처 밝힐 시 사용 가능]

지난 10일, 켈리교수가 BBC 방송에 출연 중 아이들이 들어온 일에 대해 언급하며 다시 한 방송


   오는 21일은 '국제 인종 차별 철폐의 날'이다. 국제연합(UN)이 이날을 선포한 지 51년을 맞이하지만 세계 곳곳에선 여전히 피부색으로 사람을 판단하는 사례가 끊임없이 발생해 각종 갈등과 마찰을 야기하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국내 거주 외국인이 200만 명을 넘어가면서 한국도 다문화 사회에 접어들었으나 아직 도 우리나라의 대부분 사람들은 우리는 ‘한 민족’이며 ‘단일 민족’이라는 사상을 가지고 있다. 여성가족부의 ‘국민 다문화 수용성 조사’에 따르면(2015년 19세~73세 전국 성인 4000명)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 지수는 100점 만점 기준 53.95점으로 나타났다. 다른 인종을 이웃으로 삼고 싶지 않다는 응답자가 4명 중 1명(25.7%) 꼴이었다. 미국(5.6%)과 네덜란드(8.2%) 등 다른 국가에 비해 현저히 높은 수치다. 다른 인종이나 종교, 문화를 가진 사람을 받아들이는 데 한계가 있다고 답한 사람은 전체의 55.3%로 2011년(39.4%)보다 오히려 15.9%P 늘었다. [뉴시스 - ‘켈리 교수 부인이 보모 ...인종차별, 우리는 자유로운가]


   2015년 12월 3일 해피투게더에서 한국의 유명인들이 미국 학교 재학 시절 당한 인종차별에 대해 논하는 시간이 있었다. 그들은 각각 얼굴에 침 뱉기, 비하 용어 쓰기, 장난감 날리기, 철제 사물함 일부러 세게 열어 다치게 하기 등의 각종 차별을 받았다고 고백했다.

   또한 최근에 인디언 흑인 소녀의 이야기 ‘모아나’라는 영화가 개봉하면서 ‘겨울 왕국’과 같은 노선에서 How fall I'll go라는 ost를 내걸었으나 지난 디즈니 작품 중 황인과 흑인을 배경으로 했던 ‘포카혼타스’와 ‘뮬란’과 같이 하강 노선을 그리며 한국 내의 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


  이러한 인종 차별 철폐를 위해 1966년에 UN 총회에서 매년 3월 21일을 국제 인종 차별 철폐의 날을 제정하였다. 이 날은 1960년 3월 21일에 남아프리카 공화국 샤프빌에서 아파르트헤이트에 반대하며 평화적 집회를 벌이다 경찰의 발포에 의해 69명의 시민들이 희생되었던 사건으로부터 유래되었다. 당시 남아프리카에서는 약 16%의 백인이 84%의 비백인을 정치적·경제적·사회적으로 차별해 왔다. 이 때문에 백인들만을 중심으로 세워진 국민당의 단독정부 수립 후 더욱 확충·강화되어 아파르트헤이트로 불리게 되었다. 이 말의 뜻은 분리, 격리를 나타낸다. 하지만 이 사건 이후 인종차별주의 법과 관습들은 많은 나라에서 폐지되었고, 유엔을 비롯하여 인종차별주의와 싸우는 세계적인 틀을 확립했다.

   세계 인권 선언의 첫 번째 조항은 “모든 인간은 존엄과 권리를 지니고 자유롭고 평등하게 태어났다.”라고 확언한다. 우리는 이 인권 선언을 들었고 알고 있으나 ‘흑인은 노동력 제공자, 백인은 지식 제공자’와 같이 성급하게 일반화를 시켜버리고 마는 경향이 있다. 샘 오취리라는 가나 연예인이 jtbc ‘말하는 대로’라는 프로그램에 나와서 자신이 겪었던 인종 차별에 대해서, 그리고 한국에서 느낀 감정에 대해서 소개해주었다. 본인이 한국에 와서 차별을 당하고 있을 때에 그 누구도 도와주지 않았고, 그에게 ‘흑형’이라는 차별적 단어를 사용하며, 대부분의 매체들에서 흑인들이 맡는 역할들이 ‘나쁜 놈’.. 그리고 2014년 에볼라 바이러스 유행 당시 ‘흑인 출입 금지’라는 한 식당의 안내문을 보고 너무나 슬펐고 안타까웠고 분노했다고 한다. 하지만 여전히 한국에 남아 있는 이유는 ‘우리’라는 단어가 매우 아름답기 때문이다고 했다. 가족과 떨어져 있는 오취리에게 명절날 함께 해 주는 친구들이 있었기에, -우리 572학교-를 세울 때에 많은 한국인들의 후원이 있었기에, 자신을 응원해 주는 사람들이 있었기에 본인이 지금 이 위치까지 올라올 수 있었다고 수줍은 고백을 했다.


   어떻게 따지면 ‘우리’라는 단어가 ‘한민족’에서 시작한 너무나 작은 범주에서 시작했을지 몰라도 다르게 생각해 보면 ‘우리’라는 단어는 그 누구에게나 사용할 수 있는, 모두를 효용할 수 있는 아름다운 단어인 것 같다. ‘우리’라는 말의 정의는 ‘어떤 대상이 자기와 친밀한 관계임을 나타낼 때 쓰는 말’이다. 한국에서 ‘나’, ‘너’라는 단어보다 ‘우리’라는 말이 많이 사용되는 만큼 우리와 조금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차별하지 않고 ‘우리 함께’ 공존하는 사회가 되었으면 한다.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정치부 = 4기 김유진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1201129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1219751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632860
뜨거웠던 3?15의거, 민주주의 역사 속으로 file 2017.02.24 안연수 16356
밸런타인데이에 대한 각국의 반응 3 file 2018.02.08 장은희 16356
안 그래도 똑똑한 AI, 더 똑똑해졌다고? file 2019.12.19 권민서 16357
가까운 곳으로 여행을 떠나고 싶다면 부산시민공원으로! file 2018.07.24 최아령 16361
영덕군, 어린이 대축제 개최! 2018.05.16 김성백 16362
한국스카우트연맹·토당청소년수련관, 청소년 나눔김장 사업 진행 file 2017.11.26 디지털이슈팀 16366
도자의 꿈, 문화를 빚다. 2017.05.24 홍선의 16367
14,15 장미꽃 다음은 스승의 날!? 2017.06.10 김윤지 16369
국립광주과학관, 2030 미래도시 강연 개최 file 2017.08.28 오경찬 16369
매월 넷째 주 수요일은 대중교통 이용의 날 file 2017.03.26 손유정 16370
오싹한 핼로윈, 놀이공원에서 즐겨요! 3 file 2017.10.27 김수인 16370
개도 안 걸린다는 여름 감기, 건강관리는? 1 file 2017.08.27 이서윤 16373
부천시민 여러분, 나무 심으러 오세요! file 2016.03.21 백재원 16374
환경도 지키고 우리 몸도 지키는, EM을 아시나요? 1 file 2017.04.24 안나영 16381
가야왕도의 새로운 비상, 제 41회 가야문화축제 file 2017.04.14 박수지 16383
제비 가족의 탄생, 그들이 하늘로 날아오르기까지... 1 file 2018.07.25 정수민 16383
영화 그들이 짜놓은 세상 조작된 도시로 알아보는 가짜 뉴스 1 2017.04.30 장하늘 16385
2017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을 소개합니다! 1 file 2017.09.19 홍여준 16385
인도네시아에서 진행된 제4회 통일 골든벨이자, 첫 온라인 골든벨 file 2020.10.27 김민경 16385
2017년 로마이에 연례 아트 페어: 30주년의 축제 file 2017.06.07 이민정 16388
“4인 4색 기후위기 SF 소설” 푸른숲주니어, '일인용캡슐' 신간 출간 file 2021.07.15 디지털이슈팀 16391
점차 감소하는 시청률, 왜 그런 것인가 2020.11.26 박혜림 16392
'생명캠프' 생명권을 교육하다 file 2018.08.16 박서윤 16394
2018 세븐틴, 2번째 팬미팅 열리다 1 file 2018.02.27 여혜빈 16396
콘서트의 새로운 방식, 온라인 콘서트 file 2020.04.24 전지영 16396
인간과 물 그리고 녹조 file 2017.05.04 최지민 16397
임산부 배려석을 지키는 곰돌이를 보셨나요? 1 file 2017.05.25 강지현 16397
춘천시 학생회 연합 체육대회 개최! 2 file 2017.03.19 윤정민 16399
위안부 피해 할머님들의 날갯짓을 위한 청소년들의 날갯짓 2 file 2017.10.11 노승민 16401
우리의 외출을 방해하는 미세먼지! 예방법은? file 2017.06.26 곽서영 16404
제주로 온 코딩! 주니어 해커톤 대회 2 file 2019.01.02 오채영 16404
김수영 문학관을 방문하다 1 file 2017.03.20 김주연 16405
제 13회 서울환경영화제 file 2016.05.26 강지희 16409
우리의 삶, 철학, 미의식을 담은 그림 민화 file 2017.07.31 석채아 16409
주거빈곤에 대한 더 많은 관심을 위해서! file 2018.11.22 이은서 16415
'컨테이젼' 코로나바이러스 속 우리의 모습 2 file 2020.04.29 이수연 16417
네이버 디자이너 윈도, 패션의 세계로... file 2017.07.26 성유진 16419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 숨겨진 사실, 5.18 최후 항쟁지? 1 file 2017.02.25 홍민서 16420
자원봉사나눔박람회, 인천문학경기장에서 열려 2 2016.06.12 박은진 16421
PB상품, 정체를 밝혀라! 6 file 2017.05.21 안자은 16427
무더운 여름, 실내 냉기로부터 나를 지켜라! 3 file 2017.07.21 한윤정 16427
'제7회 스마트 디바이스 쇼 2017' 에서 미래를 엿보다 file 2017.09.26 오주연 16427
위안부 피해자를 위한 캠페인이 열리다. file 2017.08.31 박성준 16430
'먹거리 X파일', 하나둘 문닫는 대왕카스테라 file 2017.03.25 박영빈 16431
너도 올 수 있어! 스마트 디바이스 쇼 2017 1 2017.10.19 정지민 16432
[MBN Y 포럼] “내 사전에 불가능은 없다” “불가능에 대한 도전만큼 즐거운 일은 없다” 3 file 2017.02.14 전은지 16434
한계를 이겨내고 싶다; 축구선수 권윤수 file 2020.02.04 이지훈 16434
2017 독도 골든벨 1 file 2017.10.31 임수민 1643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