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열풍의 포켓몬GO, 문제는 없는 것인가?

by 4기박민서기자 posted Jul 23, 2016 Views 1557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akaoTalk_20160722_235540247.jpg(포켓몬스터 캐릭터 파이리 사진제공= 3기 박민서 기자)


 최근 학생들의 방학시즌을 맞아 새로운 게임의 서비스오픈과 기존게임의 대규모 패치가 잇따르고 있다. PC게임에서 1의를 독차지하던 리그오브레전드(LOL)를 꺾을 수 있는 게임들이 속출하고 있다. 블리자드사의 슈팅게임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게임인 오버워치와

5차 전직 업데이트로 한 번 더 전성기 시절의 인기를 얻으려하는 메이플스토리가 그 주인공이다. 실제로 이 게임들은 이미 리그오브레전드의 인기를 넘어섰다. 하지만 요즘 가장 인기 있고 주목받고 있는 게임은 오버워치도 메이플스토리도 아닌 닌텐도에서 발매한 포켓몬GO이다.


 포켓몬GO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게임인데 증강현실이란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3차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기술을 말하는데 현실세계에 가상의 이미지를 겹쳐보이게 하는 것이다.

게임의 방법은 간단하다. 포켓몬을 얻고 각종 아이템을 사용하면서 자신의 포켓몬을 키우고 체육관에서 전투를 하는 등 어릴 때 애니메이션으로 봐왔던 포켓몬스터의 주인공인 지우가 될 수 있다. 추후 다른 유저와 대결 할 수 있는 배틀 모드도 생긴다면 게임을 더 즐길 수 있을 것이다.

실제 포켓몬스터와 다른 것이 있다면 포켓스탑이라는 것이 생겼는데 이곳에서 포켓몬 알을 얻거나 포켓몬 볼 같은 아이템을 얻을 수 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아이템을 얻기 위해 도시를 돌아다니며 포켓스탑을 찾는다. 포켓몬GO는 출시되자마자 세계 앱 스토어 무료게임순위 1위와 최고매출순위 1위를 휩쓸고 있다. 722일 아시아에 상륙하며 첫발을 내딛었다.



아쉽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공식적으로 포켓몬GO를 할 수 없다.

우리나라 정부에서 구글에게 우리나라 지도를 배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군 시설이나 국가안보시설 삭제 문제와 분단국가라는 우리나라의 특성, 독도표기문제가 주된 원인이라고 하지만 일부 IT전문가들은 구글이 우리나라에 서버를 두게 되면 지도를 사용할 수 있으나 법인세를 내야해서 꼼수를 쓴다고 하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현재는 불법다운로드나 ios 해외우회계정을 사용해서 게임이 가능하다고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포켓몬GO가 가능한 지역이 있다. 한 커뮤니티에서 강원도 속초와 고성에서 포켓몬GO가 실행되는 인증 글을 올리면서 게임을 하고 싶은 사람들이 속초에 상당한 사람들이 몰리고 있다. 사실을 안 속초시측에서는 빠르게 무료 wi-fi망을 구축하고 이병선 속초시장이 포켓몬스터의 오 박사를 패러디 하면서 직접 지역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했다. 그리고 사륜구동 오토바이 등 이동수단을 대여하면서 더 빠르게 포켓스탑에 가고 포켓몬알을 깔 수 있다. 게임이 가능한 고성과 양양은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않고 있어 조용히 게임을 즐기고 싶다면 이곳으로 찾아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는 생각이 든다.


 모두가 포켓몬GO를 좋은 시선으로 바라보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걱정하는 사람들은 날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인왕중학교 3학년 박00군은 처음 보는 증강현실에 대한 신기함과 사람들의 입소문들이 하고 싶다는 욕구를 더욱 자극시킬 뿐 게임에 대한 재미는 있어 보이지 않는다.”라는 의견을 표했으며 실제 게임 평론 사이트에서도 점수는 높지 않다. 게임의 재미는 주관적인 것이라 아무리 재미있는 게임이라도 평가가 갈리기 마련이다.

더 큰 문제는 안전사고 문제다. 며칠 전 뉴스에서 포켓몬GO를 하다가 일어나는 아찔한 사고에 대해 보도했었는데 실상은 더욱 심각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포켓몬을 잡다가 군 기지에 들어가는 일이 일어났고, 미국에서는 청소년 3명이 폐광산에 갗치고, 호주 시드니에서는 포켓스탑 주변 주민들과 게임유저들 사이의 몸싸움이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사건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게임유저들이 포켓몬 사냥에 정신이 팔린 나머지 아무 것도 신경 쓰지 않으면서 사고가 발생하는 것이다. 과테말라에서는 포켓몬GO를 하다가 한 남성이 도주하는 차량에서 발사되는 총에 맞아 사망하는 끔찍한 사고가 일어났다.


 또한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말과 다르게 속초에서는 숙박시설, 음식점 같은 곳에서 바가지요금을 요구하면서 소비자들이 선뜻 소비하려는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실제로 숙박시설은 원래 요금의 두 배를 받아서 속초를 찾는 사람들은 SNS에 불만을 표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주로 포켓몬GO를 하려는 10~30대층이 주머니 사정이 좋지 않아 돈을 써봤자 편의점에서 삼각 김밥이나 컵라면 같은 것으로 끼니를 때우는 것에 그친다. 그래서 실질적으로 지역경제가 활성화된다는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평가를 보이고 있다.


 현재 포켓몬GO는 전 세계 모바일게임 중 가장 인기 있는 게임이다.

증강현실을 이용한 새로운 게임이라 비슷비슷한 게임에 질린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다. 그런데 만약에 게임을 하다가 뜬금없이 차에 치이고 절벽에서 떨어져 게임을 하다가 사고를 당한다면 그 기분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이 나쁠 것이다. 주위를 조금만 살피면 사고의 늪에서 벗어날 수 있다. 게임에만 몰입하다가 즐길 수 없는 것과 게임에서 아주 잠시 동안 주위를 살핀다면 즐겁게 포켓몬GO를 즐길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박민서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333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992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3557
코로나 확진자 느는데, 의료진 파업? file 2020.08.25 이지우 8990
코로나 자가격리 위반자에 대한 대응 file 2020.06.29 임지안 8787
코로나 이후 떠오르는 '언택트' 산업 2020.06.01 신지홍 8690
코로나 아직 끝나지 않았다, 생활 속 거리두기 함께 하기 file 2020.05.12 임효주 8266
코로나 시대.. 울고웃는 지역경제 file 2021.08.20 이성훈 7787
코로나 시대, 청소년에 대한 정부의 관심은? file 2021.04.27 이민준 10970
코로나 시대 1년, 일회용품 사용 증가로 환경오염 우려 커졌다 file 2021.01.26 이준영 14370
코로나 상황 속에서 등교 수업 1 file 2020.07.13 손혜빈 9878
코로나 사태로 인한 총선 판도의 변화 2020.04.13 김경민 9718
코로나 사태 탄소배출권 가격 안정화의 필요성 2021.02.10 김률희 10162
코로나 백신, 그에 대한 국내외 상황은? file 2021.05.18 마혜원 8499
코로나 백신, 가능할까? 1 file 2020.11.13 이채영 8274
커피 값으로 스마트폰을 사다?! 11 file 2016.02.20 목예랑 20398
커지는 소년법 폐지 여론..‘소년법 개정’으로 이어지나 9 file 2017.09.07 디지털이슈팀 14019
캐나다, '기호용 대마초 합법화' 발표 2018.10.23 정혜연 10045
카페 안에서 더 이상 일회용컵 사용 불가?, 환경부의 단속! 1 file 2018.10.08 김세령 10905
카타르, 고립되다? file 2019.03.18 이솔 9787
카카오톡 대화 삭제 기능, 득일가 실일까 3 2019.01.31 이현림 15401
카카오뱅크가 국내 금융시장에 불러올 파급효과 file 2017.08.31 김진모 10687
카카오 O2O 서비스, 일상에 침투하다 3 file 2016.07.24 권용욱 22421
카슈끄지 사건의 후폭풍 file 2018.11.14 조제원 10539
카멀라 해리스, 美 최초의 여성 부통령으로 당선 2 file 2020.11.09 임이레 9282
카드사의 3개월, 5개월... 할부 거래의 시작은 재봉틀부터? file 2019.04.16 김도현 16436
칭다오 세기공원의 한글 사용 실태 file 2019.08.02 유채린 14921
친환경포장기술시험연구원, 제품 포장재질 및 과대포장 검사 전문기관으로 지정 file 2022.08.22 이지원 6237
치열했던 선거 경쟁, 이후 후보들의 행적은? 2 file 2017.05.25 정유림 10280
치솟는 부동산 가격, 9.13 부동산 대책으로 잡나? file 2018.09.18 허재영 9840
치사율 100% '아프리카돼지열병' file 2019.06.07 이지수 11239
치명률 30% 메르스 우리가 예방할 수 있을까? 1 file 2018.09.28 박효민 9745
충격적인 살충제 계란, 이에 대해 방념한 정부의 대처 1 file 2017.08.25 이어진 11075
춘천에서의 맞불집회..김진태 태극기집회 vs 김제동 촛불집회 3 file 2017.02.22 박민선 29922
축구계 더럽히는 인종차별, 이제는 사라져야 할 때 1 file 2018.10.16 이준영 12539
추위 속 진행되는 ‘촛불집회’, 국민들의 한마음으로 추위를 이겨내다… 15 file 2017.01.14 이윤지 23934
추운 겨울, 계속 되는 수요 집회 3 file 2017.02.04 오지은 18453
추석 연휴 마지막 날도 진행된 제1354차 수요시위 file 2018.09.28 유지원 16154
최종적 무죄 판결, 이재명 파기환송심 무죄 file 2020.10.21 전준표 12684
최저임금, 청소년들은 잘 받고 있을까? 2 2018.09.17 박세은 10982
최저임금, 정말로 고용에 부정적 효과를 미칠까? file 2020.08.18 이민기 11177
최저임금, 어떻게 생각하나요? 2 file 2018.06.08 노시현 19436
최저임금 차등화, 불붙은 논쟁 1 file 2018.03.26 조현아 12608
최저임금 인상의 문제점 2 file 2018.05.14 유근영 23281
최저임금 인상과 자영업자... 그리고 사회적 공약 file 2021.07.15 변주민 10196
최저임금 인상, 양측의 입장 1 file 2017.12.11 원혜랑 12010
최저임금 상승, 경제 성장을 이룰 수 있을까 1 file 2017.07.25 이가현 14333
최저임금 8350원, 그 숫자의 영향력 4 file 2018.07.19 박예림 10728
최저시급 , 고등학생들은 어떻게 생각할까? 1 2020.08.21 이가빈 10085
최악의 폭염, 얼마 남지 않은 골든타임 1 file 2019.01.29 김사랑 9785
최순실의 특검 자진 출석..의도는? file 2017.02.13 박민선 217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