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테러, 우경화를 가속시키다

by 3기조민성기자 posted Mar 24, 2016 Views 1853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3 22일 아침, 브뤼셀 공항과 말베이크 지하철역에서 폭탄이 터졌다. 작년 11월 파리테러이후 정확히 131일만의 일이다. 파리 테러의 용의자로 주목을 받았던 압데슬람은 브뤼셀 인근에서 숨어 지냈는데, 그는 지난 18(현지시각) 총격전 끝에 체포되었다. 그로 인해 이번 테러는 그에 대한 보복테러란 추측이 돌고있다. 사실상 작년은 IS의 대테러로 인해 세계정세가 긴장에 처했다. 이번 기사는, 테러가 만든 세계의 우경화과정을 작년 주요 사건들로부터 찬찬히 다시 돌이켜보고자 한다.


2015년 1 7일 프랑스 ‘샤를리 에브도 테러’

작년 1 7(현지시간) 프랑스에선 새해부터 불길한 예감이 들었다. 샤를리 에브도(Charlie Hebdo) 사무실에 침입한 이슬람 극단주의자 테러리스트들이 총기를 난사해, 편집장인 스테판 샤르보니에르을 포함한 직원 10명과 경찰 2명 등 총 12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샤를리 에브도는 이슬람에 대한 각종 비난과 풍자를 해온 주간지였다. 이에 대해 프랑스는 ‘나는 샤를리다’라는 애도 집회에서, ‘나는 샤를리가 아니다’라는 비판 집회로의 발전을 보여주며, 표현의 자유와 종교 모욕에 대한 논쟁을 일으켰다. 당시 이 사건은 프랑스의 ‘톨레랑스(관용)’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가 되어, 전 세계에 프랑스 시민의식을 떨쳤다.


2015년 11 13일 파리테러사건

2015 11 13일 프랑스 파리 시내 여섯 곳에서 발생한 자살 폭탄 테러 및 대량 총격 사건으로, 이슬람 수니파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가 자행한 것으로 알려졌다사망자는 130명 이상, 부상자는 300명 이상으로 추정된다. 이 사건은 국제 사회의 IS에 대한 비난과 각 나라의 추도로 이어졌으며, 각종 SNS에선 프랑스국기와 ‘Pray For Paris’란 구호로 프랑스에 대한 추모가 널리 퍼졌다. IS는 이후 멈추지 않고 미국에 대한 테러 의지를 밝혔다. 한편 프랑스는 IS와의 전쟁을 선포한 후, IS의 최대 본거지인 시리아의 라카를 대대적으로 공습하면서 보복에 나섰다


3월 22일 브뤼셀 테러

브뤼셀 공항과 브뤼셀 도심 말베이크 지하철역에서 자살 폭탄 테러가 일어났다. 현재 대략 30명의 사망자가 확인되었으며, IS는 성명을 통해 자신들의 소행임을 밝혔다. IS는 공식적으론 자신들에 대항하는 연합국을 공격한 것이라 주장하지만, 추가 테러를 모의 중이었다던 압데슬람의 진술로 보아, 이후 계획이 들어나는 것에 대해 우려하여 급히 이번 테러를 일으킨 게 아니냔 전문가들의 분석이 나오고 있다. 특히 이번 테러는 폭탄 속에 못과 유리등 여러 파편들을 집어 넣은 것으로 보아 대량살상이 주 목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090d25d5a7b8e10aa76f8ca6a8ff29de.jpg
브뤼셀 연방경찰이 제공한 공항CCTV속 용의자들의 모습이다.  [이미지 제공=브뤼셀 연합경찰(AP연합뉴스)]


이 외에도 크고 작은 테러들이 있었다. 하지만 우리가 주시해야 하는건 테러의 숫자가 아니라 그 결과이다. 수많은 사람들이 죽었고, 세계는 분노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IS에 대항하기 위해 유엔안전보장이사회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된 <IS 격퇴안>은 사실상 별다른 효력을 내지 못하고 있다. 또한 테러는, 경제불황으로 인했던 전 세계의 우경화를 가속시키고 있다. 한때 아일란 쿠르디의 죽음으로, 각국은 난민들을 받아들이는데 노력한 적이 있었다. 하지만 파리테러 이후, 그리고 지금, 난민들에게 테러범이란 눈초리가 따라붙고있다. 세계가 잠잠해지고 몇 달이 지난 후, 프랑스와 독일이 난민문제 해결에 의지를 다시 나타내고 19일만에 이번 테러가 발생한 것이다. 지금 난민들과 각국 시민들의 운명은 테러라는 바람이 부는 풍전등화와 같다. 갈수록 세계는 개방을 두려워하고, 극우익 정치인과 보수단체들은 국경 폐쇄를 수차례 언급한다. 그리고, 그렇게 테러를 두려워해 교류의 문을 닫는 것 이야말로 테러범들이 원하는 것이다. 이젠 테러에 대해 본질적인 해결책을 마련할 시간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3기 조민성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윤동욱기자 2016.04.01 09:21
    같이 사는 공간 더 나아가서 세계가 병들고 있는 느낌입니다.
  • ?
    3기김윤정기자 2016.04.05 22:41
    왜 굳이 사회를 망치려드는건지 이해할 수가 없네요..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 같아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360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020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3832
프로스포츠에 뿌리박힌 승부조작 3 file 2016.08.24 박민서 18205
중앙선관위, 선거연령 18세로.. 2 file 2016.08.24 안성미 16817
정당방위 적용 범위 개선되어야 file 2016.08.25 조해원 18661
아이스크림 정찰제, 확신할 수 없는 효과 1 file 2016.08.25 박하연 14867
믿을 수 없는 더위에 지쳐가는 국민들 1 file 2016.08.25 이나은 13711
아이스크림 정찰제에 대한 견해 차이 2 file 2016.08.25 이은아 16286
Greatest Fakes, China file 2016.08.25 정채현 52705
사드 배치에 성난 성주, 김천 주민들… “사드가 안전하다면 청와대 앞마당에 놓으세요” 1 file 2016.08.25 유진 15471
숨겨주세요, 여성용 자판기 2 file 2016.08.25 김선아 20703
자나깨나 누진세걱정 ... 집에 에어컨은 있는데,,, 2 file 2016.08.25 이예린 15553
[이 달의 세계인] 알레포의 기적, 옴란 다크니시 file 2016.08.27 정가영 15832
아이에겐 엄격하고 애완견에겐 관대하다 1 file 2016.08.31 김관영 15819
기상이변, 넌 어디서왔니! 4 file 2016.09.01 김나림 15059
잊혀져가는 옥시, 그들의 제품을 다시 찾아보다 5 file 2016.09.11 김수빈 15545
스크린 독과점의 논란, 재시작? 3 file 2016.09.14 손지환 17019
이 ‘데자뷰’의 끝을 다시 써보려 해 5 file 2016.09.16 조민성 14879
폭염이 몰고 온 추석경제부담 2 file 2016.09.23 이은아 16886
한반도를 둘러싼 외교전쟁 file 2016.09.24 이민구 16618
우리나라는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나라다? file 2016.09.24 최시헌 16988
여전한 아동노동착취의 불편한 진실 2 file 2016.09.24 노태인 35015
청소년들의 순수한 팬심을 이용하는 엔터테인먼트의 장사술, 이대로? 2 file 2016.09.25 이세빈 16499
공정무역의 가면을 쓴 불공정 무역 4 file 2016.09.25 노태인 55377
김재수 장관 해임건의안 가결로 본 대한민국의 정치 file 2016.09.25 구성모 17098
더 이상 남일이 아닌 지진피해, 우리의 안전은? 2 file 2016.09.25 김혜빈 15601
사재기, 보이지 않는 검은 손 2 file 2016.09.25 강하윤 16115
상인들의 시장문화도 바꾸어버린 김영란법 2 2016.09.26 류보형 14365
죽어서도 편히 쉴 권리, 반려동물에게도! 2 file 2016.09.30 박채원 14730
김영란법에 대해 알아보자 7 file 2016.10.02 천주연 16504
경기도 야간자율학습 폐지 찬반논란 1 file 2016.10.23 박채운 18136
흉물속의 리그 file 2016.10.23 한종현 19950
복지를 통해 부의 불균형을 해결한다? file 2016.10.24 장은지 17273
故백남기 농민 부검영장 강제집행 시도와 철수, 그 이후의 현장 1 file 2016.10.24 박채원 14893
18호 태풍 차바, 울산 태풍피해 심각 3 2016.10.24 김현승 18237
'우리가 백남기다', 백남기 농민 추모대회 2016.10.24 박하연 17569
청소년들의 언어사용 실태 5 file 2016.10.25 김나연 68593
통장개설 제한만이 과연 대포통장을 막을 수 있는 해결방안인가 file 2016.10.25 조해원 23320
위험천만 승용차 등하교길 그리고 해결방안 file 2016.10.25 류나경 17808
중학교에 전면 시행된 자유학기제, 현 주소는? 2 file 2016.10.25 신수빈 16875
태풍 18호 차바의 영향을 살펴보자 file 2016.10.25 김규리 18488
"국가가 살인했다…" 경찰 물대포 맞고 쓰러진 백남기 농민 사망 file 2016.10.25 유진 24164
더이상 한반도는 안전하지 않다, 계속되는 여진, 지진대피요령은? 3 file 2016.10.30 김영현 18793
언론출판의 자유 2 file 2016.11.03 유승균 18086
한마음으로 뭉친 시민들의 광화문 집회 1 file 2016.11.06 김관영 18517
20만이 외친다! 박근혜는 하야하라 4 file 2016.11.06 박채원 17106
더 빈곤해지는 노인 3 file 2016.11.09 임지민 16697
'박근혜는 하야하라!'전국에서 타오르는 열기, 광주 촛불 집회 2 file 2016.11.12 박하연 20011
[종합] 광화문광장, 100만 촛불 들어서다 file 2016.11.12 이지원 18023
수능, 마지막이자 새로운 시작 4 file 2016.11.17 서지민 177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