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묻지마 범죄에 전문가들 "어떻게 엄중하게 처벌하느냐가 관건"

by 김주영대학생기자 posted Sep 22, 2023 Views 609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akaoTalk_Photo_2023-09-01-20-41-30.jpeg[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김주영 대학생기자]


지난 7월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인근에서의 칼부림으로 20대 남성 1명이 숨지고, 30대 남성 3명이 부상을 입는 사건이 발생했다. 피의자인 30대 남성 조씨는 “사는 것이 어려워 범행을 저질렀다”고 진술해 시민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8월 3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서 연이은 칼부림 사건이 발생했다. 당시 피해자 14명 중 대다수가 중상을 입었고, 60대 여성과 20대 여성이 결국 사망에 이르렀다. 


이후 특정 인터넷 커뮤니티를 주축으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묻지마 범죄 및 테러 예고 글이 동시 다발적으로 올라와 시민들의 불안이 극에 달하고 있다. 8월 25일 기준 살인 및 흉기 난동 예고 게시물을 올린 사례는 469건이며, 이 중 223명이 검거 되었고 22명이 구속됐다.


윤희근 경찰청장은 8월 4일부로 국민 불안이 해소될 때까지 해당 사건들에 대응하기 위한 특별치안활동을 개시하겠다고 선언했다. 대량 살상이 예고된 장소에 장갑차량을 대동한 경찰특공대를 배치하고, 실탄 사용을 주저하지 않을 것을 엄중하게 경고했다. 


흉기 난동 사건의 언론 노출로 인한 모방범죄가 우려된다는 전문가들의 분석은 현실이 됐다. 이번 다발적 흉기 난동 사태는 테러 행위에 대한 언론의 무절제한 보도 내지는 특종 위주의 발표 행위가 잠재적으로 범죄를 생각하고 있던 예비 범죄자들을 자극해 도미노처럼 연쇄적으로 범죄를 야기한다는 범죄 감염 이론이 대한민국에서 처음으로 증명된 사례다


임명호 단국대 심리학과 교수는 "각종 SNS 등을 통해 올라온 살인 예고, 기사들은 범죄를 저지르는 일종의 촉발제가 됐을 있다" 분석했다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 또한  살인 예고 글에 대해 과거처럼 표현의 자유 테두리 내에서 그럴 수도 있지 라는 허용적인 태도를 보여주면 안된다공동체의 안전을 위협하는 위기를 초기에 어떻게 엄중하게 처벌하느냐가 이후의 모방 범죄를 예방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것이다라고 전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그룹취재부=6기 대학생기자 김주영]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6272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3053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49775
9시등교 아싸! 2014.09.24 박승빈 25575
학생들에 의한, 학생들을 위한 9시등교. file 2014.09.24 황혜준 23472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20797
9시 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가? file 2014.09.23 한지홍 24787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9374
9시 등교, 과연 학생들을 위한 정책인가? 2014.09.22 심현아 19729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20264
9시 등교, 득일까 실일까 2014.09.22 손윤주 20144
9교시 등교 2014.09.22 김건재 23344
9시 등교 시행 그 후.. 문제의 근본을 해결하지 못한 조삼모사식 정책 2014.09.22 차진호 22217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823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1972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9601
학부모vs.교총, 9시 등교 그 결말은? 2014.09.21 최윤정 20393
공부 시간이 줄어들었다? 2014.09.21 고정은 20782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20831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9483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9473
9시 등교, 그것이 알고 싶다. 2014.09.21 부경민 20918
전교생 기숙사제 학교에 9시 등교 시행, 여파는? 2014.09.21 이예진 21737
9시 등교, 거품 뿐인 정책 2014.09.21 선지수 23353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9352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20541
9시 등교, 폐지 아닌 개선 필요 2014.09.21 김민기 20069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826
9시 등교, 주사위는 던져졌다. file 2014.09.21 최한솔 20231
9시 등교제,9시 '하원'제로.. 2014.09.20 최아연 26946
이상화 현실의 모순 9시등교, 최대 수혜자는 학생 2014.09.20 신정은 22964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2014.09.19 황유진 24155
9시 등교제, 지켜보자 2014.09.18 정진우 21596
[:: 경기도의 9시 등교, 시행해본 결과는 ...?? ::] 2014.09.16 장세곤 21277
9시 등교 과연... 학생들의 생각은? 1 2014.09.15 박성아 22026
9시 등교 ···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4.09.15 이지현 22877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2488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9552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20381
[9시 등교] 상존하는 양면적 모순은 누구의 책임인가 1 2014.09.14 박현진 20720
9시 등교, 이대로 진행해야 하는가 2014.09.11 배소현 22253
9시 등교, 적합한 시스템인가 2014.09.11 양세정 21606
‘9시 등교’, 치열한 찬반 논쟁 이어져… 학생들의 의견은? file 2014.09.10 김소정 21894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772
9시 등교, 과연 이대로 괜찮을까? 2014.09.09 김도희 21276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3737
9시등교 누구를 위한 9시등교인가? 2014.09.06 박인영 21290
밑 빠진 독에 9시 등교 붓기 file 2014.09.06 박정언 27977
[인터뷰] 경기도 9시 등교에 대한 학생들의 다른 의견 file 2014.09.06 천종윤 22324
9시등교, 개선이 필요하다. 2014.09.04 이세영 26286
47만 명의 청소년이 흡연자, 흡연 저연령화 막아야…. file 2014.08.16 김소정 230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