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기자수첩] 미국에서는 실패했지만...한국에서 성공한 영화 '엘리멘탈'

by 24기정세윤기자 posted Aug 09, 2023 Views 69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엘리멘탈 | 디즈니+

[이미지 캡쳐=디즈니 플러스 웹사이트]


"우리가 안되는 이유는 백만가지지만 나는 널 사랑해" 엘리멘탈 대사 中. 현재 디즈니와 픽사의 엘리멘탈은 우리나라에서 큰 열풍을 일으키고 있다. 원소들의 세상에서 물과 불이 만났을 때, 세상이 가진 편견과 그들이 사랑에 빠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영화이다. 독특한 발상과 아름다운 영상미가 돋보이는 영화지만, 그뿐만이 아니다. 


엘리멘탈은 미국계 한국인 감독인, 피터 손 감독이 제작한 영화이다. 작중에 여주인공 엠버는 원소 마을에 이민 온 2세를 나타냈는데, 이 점이 한국인들이 과거 미국에 정착하던 모습을 드러내기도 한다. 또한, 엠버가 자신의 아버지를 부르는 '아슈파'라는 명칭은, 실제로 한국어인 '아빠'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한다.


그 밖에도 불의 민족이 웃어른에게 인사를 올릴 때 절을 한다는 점, 엠버 가족의 가게가 우리나라 고깃집 환풍구와 비슷한 장치를 가졌다는 점, 영화의 주된 주제는 정작 영어로는 번역할 수 없는 '고생'이라는 점 등이 한국적인 요소를 드러낸다. 엘리멘탈이 한국적인 요소를 가졌다는 점은, 미국 내에서는 흥행하지 못한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던 엘리멘탈을 한국 역사상 손에 꼽히는 픽사의 대작이 되게 했다. 


실제로 영화 관람을 한 사람들에 따르면, 한국적인 요소라고 특정 짓지 않고 보아도, 어딘가 모르게 익숙하고 친근함이 느껴지는 기분이라는 평이 있다. 그만큼 한국의 정서를 미국 작품에 잘 녹여냈고, 문화적으로 융합된 모습이 인상적이다. 


하지만 한국적인 요소에만 집중해서는 안된다. 다른 원소들과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쉽게 관광지에도 갈 수 없었던 불의 민족이, 엠버와 웨이드(물, 남자주인공)과의 사랑을 시작으로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세상에 살게 되었다는 영화의 메시지가 인상적이다. 


그만큼 우리의 현실 세상에도 다른 이들이 많이 살아가지만, 서로를 포용하는 것이 결국 다 함께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들 것이라는 교훈까지 남겨준다. 아직까지 많은 차별이 남아있는 미국과 한국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킬 만한 영화임은 분명하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22기 정세윤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453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116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4919
9시등교 아싸! 2014.09.24 박승빈 25338
학생들에 의한, 학생들을 위한 9시등교. file 2014.09.24 황혜준 23129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20426
9시 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가? file 2014.09.23 한지홍 24514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9096
9시 등교, 과연 학생들을 위한 정책인가? 2014.09.22 심현아 19372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20022
9시 등교, 득일까 실일까 2014.09.22 손윤주 19886
9교시 등교 2014.09.22 김건재 23028
9시 등교 시행 그 후.. 문제의 근본을 해결하지 못한 조삼모사식 정책 2014.09.22 차진호 21944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522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1720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9253
학부모vs.교총, 9시 등교 그 결말은? 2014.09.21 최윤정 19972
공부 시간이 줄어들었다? 2014.09.21 고정은 20529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20473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9115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9189
9시 등교, 그것이 알고 싶다. 2014.09.21 부경민 20628
전교생 기숙사제 학교에 9시 등교 시행, 여파는? 2014.09.21 이예진 21398
9시 등교, 거품 뿐인 정책 2014.09.21 선지수 23050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8976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20223
9시 등교, 폐지 아닌 개선 필요 2014.09.21 김민기 19793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538
9시 등교, 주사위는 던져졌다. file 2014.09.21 최한솔 19818
9시 등교제,9시 '하원'제로.. 2014.09.20 최아연 26697
이상화 현실의 모순 9시등교, 최대 수혜자는 학생 2014.09.20 신정은 22667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2014.09.19 황유진 23839
9시 등교제, 지켜보자 2014.09.18 정진우 21323
[:: 경기도의 9시 등교, 시행해본 결과는 ...?? ::] 2014.09.16 장세곤 20915
9시 등교 과연... 학생들의 생각은? 1 2014.09.15 박성아 21727
9시 등교 ···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4.09.15 이지현 22523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2177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9251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20078
[9시 등교] 상존하는 양면적 모순은 누구의 책임인가 1 2014.09.14 박현진 20415
9시 등교, 이대로 진행해야 하는가 2014.09.11 배소현 21922
9시 등교, 적합한 시스템인가 2014.09.11 양세정 21258
‘9시 등교’, 치열한 찬반 논쟁 이어져… 학생들의 의견은? file 2014.09.10 김소정 21626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403
9시 등교, 과연 이대로 괜찮을까? 2014.09.09 김도희 20973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3422
9시등교 누구를 위한 9시등교인가? 2014.09.06 박인영 20977
밑 빠진 독에 9시 등교 붓기 file 2014.09.06 박정언 27686
[인터뷰] 경기도 9시 등교에 대한 학생들의 다른 의견 file 2014.09.06 천종윤 21976
9시등교, 개선이 필요하다. 2014.09.04 이세영 25881
47만 명의 청소년이 흡연자, 흡연 저연령화 막아야…. file 2014.08.16 김소정 226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