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기자수첩] 플라스틱 해양 오염, 해답은 무엇일까

by 22기이래경기자 posted May 11, 2023 Views 682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akaoTalk_20230422_232940453.jpg[이미지 제공=22기 정은비 기자,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팬데믹 이후 잠시 주춤했던 세계가 다시 활성화되며 호전을 보이던 환경 오염이 다시금 심화되고 있다. 지구 온난화와 더불어 가장 큰 문제로 손꼽히고 있는 플라스틱으로 인한 해양 오염을 해양 생물의 사례를 통해 알아보자.


우리가 해양 오염을 가장 크게 실감할 수 있을 때는 해양생물의 개체수 저하 현상를 비롯한 종 다양성의 감소에 대한 내용을 접하게 되었을 때다. 그 중에서도 고래는 세계인들에게 친숙한 동물로 주되게 언급되는 만큼, 해양오염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고 있는 동물 중 하나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고래의 종은 90여종이고, 이중 생명의 위협을 받게 되어 국제사회의 관심과 해결 방안을 촉구하는 종은 대왕고래, 향유고래, 흰긴수염고래, 범고래를 비롯한 20여종이다. 


전 세계적으로 포경은 거의 사라졌지만, 플라스틱 사용 과다, 화학용품의 사용, 유출 등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인해 해양오염으로 인한 폐사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8년, 2019년에는 해안가로 밀려온 향유고래의 사체에서 플라스틱 컵과 비닐봉지를 포함하여 천여 개가 넘는 쓰레기 조각이 발견되었으며, 2022년 기준 연구 결과에 따라 흰긴수염고래가 섭취하게 되는 미세플라스틱은 하루당 1000만 개에 달한다고 한다.


플라스틱 문제를 포함한 해양 오염으로 인한 해양 생물의 피해는 비단 고래의 사례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산호 군락은 뒤덮인 비닐로 인해 백화 현상을 입어 바다의 산성화가 심화되고 있으며, 플라스틱이나 폐그물 등 먹이로 오인하여 폐물들을 섭취해 죽음에 이르는 해양생물이 매년 해안에서 발견된다. 또한 전체 바닷새의 90%, 바다거북의 52%가 플라스틱 섭취의 문제에서 보호받지 못한다.  


플라스틱은 해양 쓰레기 중에서도 80%를 차지한다. 해양환경정보포털이 제공하는 국가해안쓰레기 통계에 따르면, 2022년 대한민국의 동, 서, 남해연안에서 추산된 플라스틱 쓰레기의 개수는 165, 876개였으며, 무게는 2, 136.7kg에 달했다. 이렇게 대한민국의 해안에서 발견된 플라스틱 쓰레기의 양만 분석해도 굉장히 많은 수인데, 전 세계적으로 그 범위를 확장시켰을 때 이 문제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문제의 영향력은 더욱 커질 것이다.


해양 생물뿐만 아니라 인간 또한 플라스틱의 섭취 문제에서의 예외는 아니다. 우리는 플라스틱 사용량을 감축하고 환경이 보존되는 미래를 향한 고민을 비롯한 적극적인 행동을 취하지 않는 이상 플라스틱으로 인한 문제를 면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해양 오염과 같은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내고, 보다 현명한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존재는 인간이다.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혜택을 누리고 문화생활의 즐거움을 만끽하는 것은 인간에게 주어진 자유지만, 우리의 행동으로 인한 잘못된 현상을 바로잡고 인간의 활동으로 피해를 입은 생물들과 자연환경을 보호할 책임감을 다할 의무 또한 세계인들의 손 위에 쥐여졌음을 깨달아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22기 이래경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491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1643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5437
소년 범죄 양형 세졌다...법원, 학교폭력 일삼은 여중생 3명에 징역형 file 2023.10.01 이서진 6620
농정원, 코로나19 전후 명절 선물 트렌드 변화 분석 결과 발표 file 2022.08.31 이지원 6619
더불어민주당의 위기… 난관 잘 헤쳐나가야 file 2021.05.10 김민석 6616
20대 대선에 출사표를 던진 군소후보들 file 2021.10.29 노영승 6614
바이든 대통령과 첫 한미 정성회담 통화 file 2021.03.02 고은성 6566
[기자수첩] "공사장에서 부려먹고 학대"...탄현동 헤드록 살인사건의 전말 file 2023.09.16 김진원 6562
청년 인재들을 위한 사회 변화 실험터 ‘SUNNY’, 사회 문제 분석 보고서 발표 file 2022.05.23 이지원 6540
법무부, '로톡'-'변협' 갈등 중재에 나서나… file 2021.08.26 오정우 6535
청소년 미디어 과의존 해소 위한 '2022 서울시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연합세미나’ 개최 file 2022.06.13 이지원 6531
'동유럽'의 전쟁과 '동아시아'의 전쟁 file 2022.02.28 김준기 6474
중국 대출우대금리 0.05%인하…이유는? file 2021.12.22 윤초원 6452
한국거래소, 러시아 ETF 거래 정지 발표 file 2022.03.07 윤초원 6443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청소년 위한 민주시민 교육 ‘좋은시민이란 무엇일까?’ 프로그램 운영 file 2022.08.09 이지원 6442
한글날 맞아 '한글날 휘호 대회' 가봤더니...한류 열풍에 외국인도 몰려 file 2023.10.12 조이현 6407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SOS생명의전화’ 운영 11년 차 맞아 누적 상담 빅데이터 분석 결과 공개 file 2022.08.12 이지원 6394
환경실천연합회, 대기 환경 개선 위한 ‘대기를 살리는 청년들’ 서포터즈 모집 file 2022.06.13 이지원 6375
올바른 게임 문화 이해를 위한 '2022 보호자 게임리터러시 교육' 온라인 실시 file 2022.09.02 이지원 6363
국민연금, 대표소송 통해 적극적인 주주권 행사 나서나 file 2022.02.22 류민성 6354
[기자수첩] 유치 결정까지 100일...부산 엑스포는 유치될 수 있을까 file 2023.08.22 김휘진 6277
민주당, 참패.... 文 대통령의 고민 file 2021.04.12 김민석 6275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6·10민주항쟁 35주년 기념 ‘2022 민주주의 창작공모전’ 개최 file 2022.06.08 이지원 6274
친환경포장기술시험연구원, 제품 포장재질 및 과대포장 검사 전문기관으로 지정 file 2022.08.22 이지원 6252
러시아 그리고 우크라이나, 우리에게 주는 영향은? file 2022.02.24 강민지 6239
뉴욕 연은 총재 빅 스텝 가능성 시사…본격적 긴축 시작되나 file 2022.03.28 윤초원 6231
강동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이태원 사고 관련 ‘재난 심리지원 특별상담실’ 운영 file 2022.11.16 이지원 6221
예멘 후티 反軍, 아랍 에미리트 향해 미사일 공격 1 file 2022.01.27 권강준 6211
우크라이나 사태와 반도체 기업 file 2022.02.28 이준호 6208
[기자수첩] 챗GPT에 높아지는 관심...직접 써보니 2 file 2023.05.06 이성재 6186
한국목재재활용협회, 오염된 폐목재의 무분별한 중고거래 대책 마련 촉구 file 2022.09.13 이지원 6183
'만 나이 통일법' 시행 3달째...연령 혼동 사라질까 file 2023.09.22 빈나현 6159
[기자수첩] 들끓는 강력 범죄...‘가석방 없는 종신형’ 도입해야 file 2023.09.22 오다연 6156
[기자수첩] 우리에게는 '디지털 디톡스'가 필요하다 file 2023.08.10 김하은 6137
하이브, 이수만 지분 인수 완료...SM엔터 최대주주 됐다 file 2023.02.22 디지털이슈팀 6122
직능연 "마이스터고 졸업생, 수도권 쏠림 현상 강해져" file 2023.01.18 디지털이슈팀 6088
S-OIL, 샤힌 프로젝트에 9조원 투자...2026년 6월 완공 file 2023.03.10 디지털이슈팀 6070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건강의 날 기념 및 제32대 정신건강지킴이 위촉 file 2022.09.19 이지원 6065
[기자수첩] 광주 중학생들 대낮에 금은방 털어...'촉법소년' 처벌 높여야 file 2023.05.06 김휘진 6054
방역패스, 백신 미접종자 차별? 1 file 2022.01.06 피현진 6047
한국디스펜서리 주관 ‘2022 식약용 대마 분석·보안 컨퍼런스’ 12월 23일 개최 file 2022.12.16 이지원 6027
청년세대 10명 중 6명 "원하는 직장 찾을 때까지 취업 N수할 것" file 2023.04.19 디지털이슈팀 6019
지정학적 위기부터 연준의 긴축 가능성까지 … 증시 ’긴장’ file 2022.02.21 윤초원 6009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022년 ‘서울 청년의 생명을 살려라! 100인 토론회’ 개최 file 2022.08.16 이지원 6007
건국대, 학과 통폐합 강행에...문과대학 학생들 '반발' file 2024.05.06 김태홍 5980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청년자살예방 인식 개선 연합 캠페인 ‘서울 청년의 생명을 살려라’ 성료 file 2022.10.22 이지원 5933
'오커스'가 도대체 뭐길래.. 프랑스 왜 뿔났나 file 2021.10.28 조지환 5927
매일유업, 9월 6일 자원 순환의 날 맞아 지구를 살리는 '약속 챌린지' 진행 file 2022.09.07 이지원 5917
[기자수첩] 챗GPT, 금기할 것인가 활용할 것인가 file 2023.05.16 김시은 5873
대한민국의 다음 5년은 누가 이끌어갈 것인가? file 2022.03.08 강준서 586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