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포토] '뒤샹의 후계자'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by 이정연대학생기자 posted May 06, 2023 Views 777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akaoTalk_20230424_211409688.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이정연 대학생기자]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개인전 <<WE>>가 올해 1월 31일부터 7월 16일까지 리움미술관에서 진행된다. 이번 전시는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으로 리움미술관의 로비와 M2 전시장에서 총 38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이탈리아 출신 작가 마우리치오 카텔란은 특유의 블랙 유머로 현대미술계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1980년대부터 해학적이고 도발적인 시도로 동시대 미술계의 가장 논쟁적인 작가 반열에 올랐다. 


일상 속의 대중적 요소를 차용하면서 모방과 창조의 경계를 넘나드는 극사실적 조각과 회화로 '뒤샹의 후계자'로 평가받는다. 가구 디자이너로 일하며 미술계에 몸담은 카텔란의 평범하지 않은 인생사는 그가 전형적인 미술가 유형을 벗어나 고정관념에 도전하는 데 기여했다. 이번 전시의 작품 중 <아홉 번째 시간>(1990)은 운석에 맞아 쓰러진 교황을 나타내 다양한 반향을 일으켰다. 


KakaoTalk_20230424_211020642.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이정연 대학생기자]


카텔란은 억압, 불안, 종교 그리고 삶과 죽음 등 개인적인 동시에 우리의 삶을 관통하는 주제를 다룬다. 작품에 등장하는 경찰, 예술가 등 여러 역할은 비관적이며 냉소적으로 보이며, 잔인한 삶에 대한 애잔한 공감을 이끌어낸다. 또한 개인적 서사에 기반한 작품은 관객에게 강력한 감정을 전달한다. 엉뚱하게 미술관의 바닥을 뚫고 나온 카텔란을 표현한 <무제>(2001)는 미술계에 어울리지 않는 작가의 정체성을 드러낸다. 


KakaoTalk_20230424_212505377.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이정연 대학생기자]


전시의 제목인 'WE'는 확장된 의미에서 '우리는 누구인가', '관계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단순하고 직관적인 그의 작품은 작품을 둘러싼 토론을 활성화하고 나아가 모종의 연대를 가능하게 한다. 카텔란의 작품은 인간의 본성을 정확히 꿰뚫고 현실을 예리하게 비평한다. 카텔란이 희화화하여 표현한 작품은 불편한 진실을 직시하게 하고 인식의 근간을 뒤엎는다. 


전시와 연계하여 카텔란의 작품 세계를 여러 관점에서 살펴보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된다. 글쓰기를 매개로 작품을 재해석하는 이미지 쓰기 워크숍과 예술 출판의 역할과 의미를 살펴보는 리딩룸 세미나, 작가연구 강연 시리즈, 큐레이터 토크 등이 진행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6기 대학생기자 이정연]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36130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33344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54973
한국 근현대 미술사를 담아낸 이건희 특별전...울산서 열려 file 2023.05.11 조나영 7318
한국 근현대사의 보고,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7.11.07 5기정채빈기자 17340
한국 로봇 융합 연구원, 로봇교육실 상설 운영 file 2016.08.14 이민정 17432
한국 모바일 게임의 미래는? 1 file 2017.04.10 신지혁 15982
한국 속의 유럽 2 file 2016.07.25 김태윤 18530
한국 영화산업, 세계로 나아가나 2017.08.11 김정환 15447
한국 외교의 발자취가 담긴 외교사료관에서 외교관의 꿈을 키워보자! file 2019.02.11 이채빈 21515
한국 직장의 모습을 거짓 없이 드러낸 영화 '오피스' 6 file 2017.01.22 최윤정 16391
한국 천주교 순교자들의 역사, 오륜대 한국 순교자 박물관 file 2017.09.26 허재영 16749
한국 청소년, 미국 친구들과 만나다! file 2019.07.29 이솔 16488
한국 축구의 미래 U-20 축구 대표 팀 아디다스컵 우승! file 2017.04.02 서재성 16773
한국 프로야구, 겨울잠에서 깨다! 2 file 2017.03.30 김지헌 15553
한국걸스카우트 국제야영 "Act! Connect! Empower!" file 2017.08.23 김주희 16599
한국경제신문, 상경대 희망 고교생 위한 캠프 개최 2 file 2017.08.02 유채원 15488
한국과 다른 듯? 같은 듯! 일본의 가정과 학교 9 file 2017.01.24 박수연 27423
한국과 일본의 미래를 위한, 한·일 중고생교류사업 file 2017.10.30 송지현 15057
한국교육개발원, ‘2023 한-OECD 국제 세미나’ 개최 file 2023.01.12 이지원 8082
한국교육개발원, 건강장애학생 교육 기회 확대 및 소통을 위한 메타버스 온라인 미술캠프 개최 file 2022.11.01 이지원 8352
한국교통대학교 2017년 제16회 국원문학상 공모 1 file 2017.08.03 김경수 15983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2022 어린이 꽃그림 그리기 대회 개최 file 2022.09.14 이지원 9227
한국뇌연구원 대강당에서 2017 세계뇌주간 행사 개최 1 file 2017.03.19 박은서 13392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주관, 제2회 전국 청소년모의해킹대회 개최 file 2017.05.24 이정수 18820
한국만화박물관에 가다! 4 file 2017.02.23 이예림 17274
한국만화박물관을 다녀와서 2 file 2019.02.14 강재욱 15359
한국만화영상진흥원, 만화콘텐츠 및 만화산업 육성을 위한 다양한 지원사업 진행 1 file 2017.04.04 문정호 21006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23년 ‘예술과기술융합지원 사업’ 공모 추진 file 2023.01.09 이지원 9112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2023년 전시공간 활성화 지원 사업’ 공모 file 2022.11.01 이지원 8626
한국문화원연합회, 재미와 유익함 동시에 잡은 콘텐츠로 지역문화 홍보 file 2023.01.02 이지원 7875
한국민속촌, ‘시골마을의 한로일에는’ 행사 진행 file 2022.10.22 이지원 9018
한국민속촌, ‘추석이 왔어요’ 명절 맞이 세시 행사 개최 file 2022.09.07 이지원 7193
한국민속촌, 가을 축제 '풍요로운 낭만조선' 진행 file 2022.10.13 이지원 8647
한국사회와 유럽사회 2 file 2017.04.24 이시온 15530
한국사회의 쌀 소비실태 현황 및 오늘날 쌀에 대한 청소년 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file 2016.10.25 권주홍 25849
한국스카우트연맹·토당청소년수련관, 청소년 나눔김장 사업 진행 file 2017.11.26 디지털이슈팀 14641
한국어린이기자단과 함께한 영화 ‘정글번치: 최강 악당의 등장’ 시사회 file 2018.04.11 디지털이슈팀 17375
한국에서 기본소득, 득일까 독일까 19 file 2017.01.15 김혜진 21907
한국에서 외국문화 즐기기 1 file 2016.08.24 강예린 19856
한국에서 점점 입지를 다지고 있는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들 2 file 2017.10.24 정혜원 18424
한국에서 접하는 이슬람, '한국이슬람교 부산성원' file 2017.05.14 허재영 16622
한국에서만 유일하게 사용하는 것? 3 file 2017.03.26 전인하 15887
한국영화의 미래, <아이 캔 스피크> 2 file 2017.11.13 김서영 16501
한국외대 모의국제연합과 함께하는 제41차 HIMUN 총회 file 2017.07.25 이가영 16097
한국은 제2의 영국이였다 file 2016.05.10 이지영 16259
한국은 지금 '젠트리피케이션' 몸살 중 file 2018.11.21 박태준 14546
한국은행 전북본부 고교경제 토론대회 개최 7 file 2017.01.19 최희주 15337
한국을 알리다, 영국남자 4 file 2019.02.07 장혜원 17706
한국의 빵빵한 지하철 와이파이 과연 일본은? file 2018.04.03 김진영 19162
한국의 사계절이 사라지고 있다 file 2021.11.22 임나연 128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