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TK의 통합신공항과 행정통합, 대구·경북의 '발전 동력'이 될 수 있을까?

by 신현우대학생기자 posted Sep 27, 2021 Views 1444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3c95ec323d3d1e5f78fcde9e4b1de9a7ed30a68b121d325ccdd1f4292744842acc4f55e1da2c80a5aaf982f6e4e3098e66b5f4102046b6561fdc12abc64040ac98a519c1ec6944062c56cf0e16e781ac8ad1a825461856fc17684e3e7e9de9e3a86e63970683b162f5a47773a.png

[이미지 제공=대구광역시청, 대구주요정책소개]


2019년 말, 대구광역시 권영진 시장과 경상북도 이철우 도지사의 대구·경북 행정통합을 선언하면서 공론화되기 시작한 것이 바로 '대구 경북 특별광역시'다.


이러한 대대적인 변화를 꾀한 것은 최근 지방소멸과 인구감소에 대응하고 대구·경북 역점사업의 원활한 추진 및 더 많은 권한과 예산 확보를 시도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대구·경북 행정구역에 거주하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여론조사 및 홍보 책자도 발간하고 있어서 다양한 여론 수렴을 시도하고 있다.


대구·경북 행정통합은 최종적으로 2021년 상반기에 주민투표를 통해 시행 여부가 결정될 예정이었으나, 다수의 비판론자로 인해 2022년으로 연기되었다.


비판론에서 나오는 견해로는 경상북도 도청을 안동으로 이전한 지 5년밖에 되지 않았고, 대구광역시청 역시 달서구로 이전하는 것이 확정된 상태라 청사 문제에 있어서 유연한 대책이 마련되지 않았다는 점이 주요하다.


또한, 대구·경북이 하나로 통합하게 되면 광역자치단체 수가 줄어들면서 할당되는 자원이 2개에서 1개로 감소한다. 즉 괜한 통합으로 더 얻을 수 있는 자원을 기존보다 적게 얻게 된다는 점이 문제라는 것이다.


img03_1.png


[이미지 제공=대구광역시청, 대구 주요 정책소개]


반대로 찬성론에서는 대구광역시를 먹여 살리던 섬유 산업의 쇠퇴와 수도권의 과도한 집중 현상으로 인해 대구시의 기업투자, 유치가 줄었고 2003년 이후 인구 감소가 시작되어 지역 경쟁력을 잃었다고 본다.


경상북도 또한 인구소멸 1위 지자체로 생산인구 감소, 저출산 및 고령화가 심화되어 경쟁력을 잃은 상황이기 때문에 대구·경북이 힘을 합쳐서 인구 500만의 대권역을 만들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행정통합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양쪽의 의견에 따른 지역단체별 반응에서는 아직까지 반대 의견이 우세하다.


특히 대구광역시 수성구의회에서 격하게 반대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명품 학군이라 불리는 수성구에 상대적으로 수학능력이 낮은 경상북도 학생들이 통학하게 되면 대구, 경북의 평균 성적이 붕괴될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반대로 경상북도 성주군에서는 기초자치단체 중 처음으로 찬성의 입장을 공식 선언했다. 행정통합이 이뤄졌을 때 지하철 노선 연장으로 인해 대구의 위성도시로 발전할 수 있다는 점이 주요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양측의 의견이 확실하게 드러나는 가운데 대구·경북의 행정통합을 시도하려는 움직임이 과연 두 광역자치단체를 '상생'으로 이끌지 '쇠락'으로 이끌지는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대학생기자 신현우]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38717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35928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57680
청소년 모의유엔, 이젠 VIVIDMUN에서 만나요! 2017.06.24 황보민 28169
청소년 댄스 밴드 경연대회 PUNK&DREAM! 1 2017.06.14 조성민 19363
청소년 기후활동가 에코디자이너, 업사이클링 작품 전시회 개최 file 2022.12.09 이지원 8766
청라국제도시의 새로운 교통망, GRT 2 file 2018.02.28 고동호 18263
청년희망적금 걱정 잇따라.. 1 file 2022.03.28 박서빈 17092
청년의정, 7월 30일 의정부 청년센터에서 ‘도보 7분 쉐어하우스’ 낭독극 개최 file 2022.07.29 이지원 9256
청년의날 축제, 여의도공원서 성황리 마무리 file 2023.09.30 박도현 5399
청년을 위한 행사, '제1회 청년의 날' 기념식 file 2020.09.28 황지우 11381
청년들이 제작하는 국내 최초 환경 용어 뉴스레터, '이유있는 기후식' 2021.11.30 지혜진 14543
청년들이 세상을 바꾼다! 제5회 '청년의 날' 축제 개최 file 2021.11.08 최우석 9190
청년들의 꿈과 희망을 키워줄 'MBN Y 포럼 2019' 2019.02.12 오승엽 14131
청년들에게 희망을, 서울 밤도깨비 야시장 2017 1 file 2017.11.06 오소현 16956
청년 예술가를 찾아서! file 2021.09.27 김동은대학생기자 11430
청년 실업 대란 속 일본과 한국의 프리터족 file 2018.08.08 이승철 17732
청년 수당, 본격 시행되다 file 2017.05.24 송다원 13534
첫 '남녀부 분리 운영'의 V-리그, 무엇이 달라졌을까 1 file 2018.11.12 김하은 15017
첨단 의과학캠프의 현장으로 file 2017.08.12 김민지 12990
천헤의 속살, 천지연 폭포를 바라보다 file 2016.06.12 박도은 16215
천진 모의유엔 2019 file 2019.11.22 김수진 18960
천재교육, 그 이념과 목표의 깊이에 대해 알아보다. file 2017.05.25 김해온 17214
천왕동청소년문화의집, 서울오케스트라와 업무협약 체결 file 2023.03.07 디지털이슈팀 7758
천안에 도시락 배달 천사들이 떴다! 1 2017.08.25 오세민 15729
천안시, 빵의 도시를 위한 새로운 발돋움...베리베리 빵빵데이 개최 file 2023.03.24 박상연 6862
천사가 될 수 있는 가장 따뜻하고 든든한 방법? 10 2017.03.03 하영서 16874
천년의 역사 속 무지개 행렬, 전주 퀴어 문화 축제 file 2018.04.20 김수인 16059
천고마비의 계절, 독서와 함께 마음을 살찌우자! 2 2017.10.31 홍서영 13652
처음으로 부산에서 열린 2016-2017 KCC프로농구 올스타전! 3 file 2017.01.22 김다정 19002
책읽어주는 언니오빠와 함께 알아가는 책 읽는 즐거움 1 file 2017.02.22 곽문주 15498
책의 도시, 군포시! file 2014.10.23 이효경 23262
책을 꾸준히 읽을 수 있는 좋은 습관, '독서 마라톤' 4 file 2017.03.11 최영인 19993
책으로만 본 국회의사당, 직접 만나보세요! 7 file 2017.02.08 김수오 17610
책으로 떠나는 '언택트 피크닉' 5 file 2021.02.25 정다빈 14646
책소개 - 미움 받을 용기 1 file 2016.09.26 이지은 17929
책나눔터가 뭔지 알아? 4 file 2017.03.01 김경민 15490
책과 함께, 경의선 책거리 file 2018.05.30 최금비 14451
책과 과학의 만남 1 file 2022.02.14 현예린 9947
책가방 대신 카메라를 메고 교실 밖으로 나온 여고생 슬구를 아십니까? 2 file 2016.05.27 김윤정 16769
책 <조선 국왕의 일생>을 통해 조선시대 왕들의 삶을 보다 file 2018.12.03 이태권 15973
채식으로부터 오는 모든 것 file 2019.03.20 김지현 18494
창조경제 도시 포항, 포항운하로 여행을 떠나요~ file 2016.07.25 권주홍 14733
창원서, '전국특례시시장협의회' 개최 file 2021.04.26 김진영 10117
창원 시민들의 화합의 장 '제15회 창원야철마라톤대회' file 2019.04.18 민서윤 16583
창문으로 넘어오는 담배 냄새 싫어요! 1 file 2017.08.29 김예닮 28182
창동 예술촌으로 놀러오세요~ file 2016.04.02 이서연 16229
참외씨, 먹어야 할까? 2017.07.25 박수연 18273
참여와 소통을 통한 화합의 장을 마련하다, '2017 오송읍 주민화합 한마음 축제' file 2017.06.13 김다빈 15741
참신한 최신 스마트기기가 궁금하다면 스마트 디바이스 쇼로! file 2017.08.16 이승아 14409
참된 되살림의 현장, 안양 교복은행 나눔장터 3 file 2017.02.18 김효림 1789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