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부르카 안 썼다고 총살" 또다시 여성 인권 암흑기 접어드나

by 20기양연우기자 posted Aug 31, 2021 Views 794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아프가니스탄을 다시 장악한 탈레반이 “이슬람법의 틀 안에서 여성의 권리를 존중하겠다”라고 발표한 당일, 길거리에서 총살을 당한 여성의 모습이 보도되며 많은 이들이 충격을 금치 못했다.


지난 18일(현지 시간) 아프가니스탄의 북동부 타카르 지방에서 한 젊은 여성이 총에 맞아 숨진 채 발견되었다. 부르카를 입지 않은 채로 외출했다는 이유로 탈레반 대원의 총에 맞은 것이다. 이외에도 아프가니스탄 방송국의 여성 직원들이 무기한 정직당하며, 탈레반의 재장악으로 여성 인권이 또다시 처참히 박탈되는 것이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부르카는 이슬람의 여성 복장 중에서도 가장 폐쇄적인 복장으로, 머리부터 발끝까지를 천으로 감는 의복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강도 높은 여성 의복 제한 방침은 샤리아법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부르카 외의 분야에서도 탈레반이 기반으로 두는 이슬람 율법, 샤리아법은 본래 기도, 단식, 빈자들을 위한 기부와 같이 무슬림들이 지켜야 할 삶의 규범을 뜻한다. 다시 말해, 샤리아법은 신도들이 삶의 모든 면을 신의 뜻에 따라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 목적을 가진다. 몸을 가리는 보수적인 복장을 명하거나 불륜을 저지른 사람을 공개 처형하는 등 처벌 방식에 대해서는 국가마다 해석 방식이 상이하다. 그러나, 아프가니스탄이 이와 같이 늘 폐쇄적인 복장을 요구했던 것은 아니다. 1970년대 아프가니스탄은 미니스커트를 입고 거리를 활보하는 여성들을 볼 수 있을 정도로 중동 국가 중 개방적인 편에 속했었다.


이번 사건을 통해 많은 여성들은 “억압적인 과거로 돌아갈까 봐 두렵다”라며 탈레반의 재장악으로 인해 앞으로 여성들이 어떤 상황을 면하게 될지 불안해하는 모습을 보였다.

양연우2.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0기 양연우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20기 양연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336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9963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3593
2018학년도 수능 연기, 땅이 준 기회의 7일. 2 file 2017.11.17 임하은 13817
2020년 의사 파업 그리고 현재 file 2021.03.03 이채령 8052
2020년 팬데믹에 빠진 지구촌 7대 뉴스 file 2021.01.25 심승희 9368
2021년 '중국' 수입제품 세율 변화 file 2021.03.02 김범준 8574
2021년 최저임금 130원 인상된 8,720원 결정…역대 최저 인상률, 그 이유는? 1 file 2020.07.24 이민기 12577
2022 부산도시재생박람회 연기 및 축소 개최 file 2022.11.04 이지원 5606
2022년 대선, 국민의힘에선 누가 대선주자가 될까? file 2021.09.30 이승열 7643
2022년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차 정기 심포지엄 개최 file 2022.08.19 이지원 5417
2022년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청년자살예방토론회 개최 file 2022.08.25 이지원 5494
2022년 차기 대선, 20대의 '보수화' file 2021.09.23 김준기 7105
2050년, 다시 찾아올 식량 위기 ➊ 2 file 2018.02.07 김진 11165
2050년, 다시 찾아올 식량 위기 ➋ 2 file 2018.02.07 김진 10560
20대 국회의 변화! 1 file 2016.04.17 구성모 19039
20대 국회의원 선거, 새로운 정치바람이 불다 2 file 2016.04.16 황지연 16469
20대 대선에 출사표를 던진 군소후보들 file 2021.10.29 노영승 6599
20만이 외친다! 박근혜는 하야하라 4 file 2016.11.06 박채원 17104
21대 총선에서의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첫 시도, 결과는? file 2020.05.07 장민서 9109
25일 코로나 확진자 현황 file 2021.05.27 박정은 8285
27년 만에 깨어난 사람도 있다! 안락사는 허용되어야 할까? file 2019.05.27 배연비 24832
2년 만에 한국 정상회담…성공적인가? file 2021.05.27 이승우 7344
2년만에 진행된 남북 고위급 회담 file 2018.01.12 정성욱 10208
2살 아들 살해한 20대 父...늘어가는 아동학대 1 file 2017.02.24 조유림 15488
2월 14일, 달콤함 뒤에 숨겨진 우리 역사 16 file 2017.02.14 안옥주 16815
2월 14일, 밸런타인데이에 가려진 슬픈 역사 20 file 2016.02.14 김혜린 18697
2월 탄핵 불가능에 촛불이 다시 타오르다! file 2017.02.17 조성모 14766
2주 남은 국민의힘 2차 컷오프 경선, 최후의 4인은 누구 file 2021.09.27 윤성현 10594
2차 북미정상회담, 평화를 위한 발걸음 file 2019.03.04 김주혁 9162
3.11 이것이 촛불의 첫 결실입니다 2 file 2017.03.18 김현재 10537
3.1운동 100주년, 배경과 전개 양상 및 영향을 알아보자 file 2019.04.01 맹호 12977
30년 만에 발의되는 개헌안, 새로운 헌법으로 국민의 새로운 삶이 펼쳐진다. 2 file 2018.03.27 김은서 12419
32번째를 맞이하는 2020년 도쿄 올림픽, 과연 예정대로 열릴 수 있을까? 6 file 2020.02.28 장민우 15030
365일 우리와 함께 하는 화학물질 file 2020.05.06 이유정 7785
3년동안 끝나지 못한 비극 1 2017.09.28 윤난아 11433
3대 권력기관 개혁, 경찰 수사권 독립이란? 2018.01.23 김세정 15016
3월 9일 부분일식 관찰 2 file 2016.03.25 문채하 16906
3월 9일부터 실시된 마스크 5부제의 현재 상황은? file 2020.03.27 박가은 8065
3월, 어느 봄날의 노래 file 2017.03.25 박승연 10469
3주째 지속되는 미국 캘리포니아 토마스 산불, 그 사태의 현장은? file 2017.12.22 이수연 12798
3차 재난지원금 지급,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file 2020.11.27 김성규 24097
4.13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과제 1 file 2016.04.25 강예린 17152
4.13 총선! 야당은 분열 여당은 균열 1 file 2016.04.09 최다혜 17329
4.3 민중의 아픔 속으로 1 file 2018.04.06 오수환 11617
4.7 보궐선거 이후 범야권의 반응은? file 2021.04.19 최원용 7826
4.7 보궐선거가 보여준 민심 file 2021.04.20 서호영 7678
4.7 보궐선거의 결과 그리고 그 이후의 행보 file 2021.04.26 백정훈 104179
4.7 재보궐선거 승리한 야당... '혼돈의 정국' file 2021.04.26 오지원 7023
40년 전 그땐 웃고 있었지만…국정농단의 주역들 구치소에서 만나다 file 2018.03.30 민솔 10673
47만 명의 청소년이 흡연자, 흡연 저연령화 막아야…. file 2014.08.16 김소정 2263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