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퇴직연금 수익률 디폴트 옵션으로 극복 가능할까, 디폴트 옵션 도입 법안 발의

by 하수민대학생기자 posted Mar 29, 2021 Views 1317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디폴트 옵션 프로세스.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기 하수민 대학생기자]


최근주식시장이 호황을 누리면서 이에 비해 수익률이 현저히 낮은 퇴직연금 운영 방식이 논란이 되었다이에 따라 지난 2안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디폴트 옵션의 도입을 통해 투자 수익률을 높이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했다.


디폴트 옵션이란퇴직연금 가입자가 연금 운용 방법 미지정 시 사전에 금융투자업자가 지정한 펀드 등의 실적배당상품에 자동으로 투자되는 제도를 말한다한국의 퇴직연금 제도에는 확정급여형인 DB형과 확정기여형인 DC형이 있는데, DB형은 기업이 책임을 지고 연금을 운용하는 반면, DC형은 근로자가 직접 운용 지시를 내려야 할 뿐만 아니라 근로자가 운용에 대한 책임을 진다. 디폴트 옵션은 이 DC형에만 적용된다. 현재 한국 연금 시장에서 DC형의 경우, 80.4%에 해당하는 규모가 오직 원리금 보장 상품에 집중되어 있고수익률이 높은 실적배당형에 투자된 규모는 15%에 불과하다원리금 보장 상품은 원본을 초과해 손실할 위험이 없는 대신 수익률이 낮다실제로 지난 5년간 퇴직연금의 수익률을 살펴보면평균 연 1% 후반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국민연금사학연금공무원 연금 등 타 연금 수익률과 비교했을 때 현저히 낮다.


디폴트 옵션을 도입할 경우근로자가 운용 지시를 하지 않을 시기업의 위탁을 받은 은행보험업계자산운용사가 자동으로 연금을 타깃데이트펀드(TDF), 단기투자상품(MMF), 뉴딜펀드에 투자해 굴려준다적립금을 예·적금 대신 자본시장에 투자해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해당 발의안에 대한 찬반양론이 거세게 맞붙고 있다먼저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측면에서는 낮은 수익률을 제고해야 한다는 주장이 골자를 이룬다퇴직연금은 국민의 노후를 책임질 수 있는 자원임에도 불구하고저금리 기조가 계속되고 대부분의 근로자가 원리금 보장 상품에만 투자를 하다 보니 연금이 본래의 역할을 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또한 근로자의 입장에서 선택권이 넓어질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TDF, MMF, 뉴딜펀드 등은 펀드이지만 비교적 위험성이 낮은 상품에 해당한다특히, TDF는 개인의 생애주기별로 가장 적합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투자를 진행한다수익이 비교적 큰 30-40대에는 위험이 높지만 수익률이 높은 상품에 투자하고은퇴 시점이 가까워질수록 안전자산에 투자하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한편반대 측에서는 디폴트 옵션이 안정적이고 규칙적인 자금 지급이라는 퇴직연금의 본질을 훼손할 가능성이 있다며 우려를 표한다디폴트 옵션의 적용을 받는 상품은 원금손실 가능성이 있으며근무지 평균 근속기간이 6년 정도로 짧은 한국의 노동시장을 고려했을 때 해당 위험 확률이 더욱 커진다는 것이다또한 해당 발의안은 투자 손실에 따른 책임자 규정이 명확하지 못하며면책 조항 또한 부재하여 불필요한 민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근로자가 선택 가능한 상품 중 뉴딜펀드가 존재하기 때문에현 정부의 핵심 과제인 뉴딜정책 중 뉴딜펀드로의 유입을 유도하기 위한 정치적 의도가 숨겨져 있는 것은 아니냐는 비판도 존재한다.  


퇴직연금의 주인은 근로자즉 국민이다해당 발의안이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에 대해 국민 모두가 주목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2기 대학생기자 하수민]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60995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77423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989454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21200
9시 등교, 새로운 제도를 대하는 학교의 방법 2014.09.25 최희수 21468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20782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20674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21554
9시 등교, 이대로 진행해야 하는가 2014.09.11 배소현 23394
9시 등교, 적합한 시스템인가 2014.09.11 양세정 22621
9시 등교, 주사위는 던져졌다. file 2014.09.21 최한솔 21247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20463
9시 등교, 폐지 아닌 개선 필요 2014.09.21 김민기 21324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3847
9시 등교, 확실한가 2014.09.29 오선진 27331
9시 등교는 꼭 필요하다!! 1 2014.09.25 김영진 22493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23936
9시 등교를 원하세요? 2014.09.25 명지율 24768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20880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20815
9시 등교제, 지켜보자 2014.09.18 정진우 22800
9시 등교제,9시 '하원'제로.. 2014.09.20 최아연 27820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22244
9시등교 과연 옳은것일까 2014.09.25 이지혜 24248
9시등교 누구를 위한 9시등교인가? 2014.09.06 박인영 22307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20746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20692
9시등교 아싸! 2014.09.24 박승빈 26599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20543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21803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4753
9시등교, 개선이 필요하다. 2014.09.04 이세영 27438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21548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20558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2014.09.19 황유진 25208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21994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2154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20610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3697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22875
AI 가니 구제역 온다 2 file 2017.02.10 유근탁 16808
AI 사태 100일 째, 아직도 끝나지 않은 AI(조류 인플루엔자) 1 file 2017.03.26 윤정원 12887
AI 온지 얼마나 되었다고 이젠 구제역?! 5 file 2017.02.15 정소예 16151
AI 직격탄 계란값....도대체 언제쯤 복귀할까? 6 file 2017.01.23 김서영 19344
AI의 완화... 계란 한 판 '6~7000원'대, 닭고기 가격 상승 2 file 2017.02.21 이수현 17777
Because you are right, Bernie. You're right! file 2016.05.04 박정호 20212
BMW 차량 화재, EGR만이, BMW만이 문제인가 1 file 2018.08.30 김지민 14687
CGV 좌석차등제, 영화관 좌석에 등급이 웬말인가 5 file 2016.03.20 정현호 37700
D-15 19대 대선, 달라지는 sns 선거운동 4 file 2017.04.25 윤정원 15946
EPR. 생산자도 폐기물에 대한 책임을 문다. file 2018.04.30 이기원 13487
EU의 중심, 영국마저 저버린 의무적인 배려...과연 누가 따를 것인가? 1 file 2016.07.25 김예지 187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