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하버드 교수의 ‘위안부’ 비하 발언

by 17기최연후기자 posted Mar 09, 2021 Views 927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미국의 명문대이자 전 세계적으로 명성이 자자한 하버드대학교의 법경제학과 교수인 존 마크 램지어 가 자신의 논문에서 일본군 '위안부'를 매춘부라 서술하여 논란이 되고 있다. 이에 반발한 여러 나라의 역사학자들은 램지어 교수의 논문을 비판하고 있다. 역사학자들은 램지어 교수가 매춘 계약서 등의 증거도 없이 주장을 하고 있으며, 심각한 역사왜곡을 하고 있다며 논문을 철회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램지어 교수는 2018년부터 2020년까지 2년 동안 총 7개의 논문을 작성하였고, 이 논문들 또한 심한 역사왜곡을 하고 있어 더욱 충격을 안겨주었다. 미국의 한 역사학자는 역사적 증거를 모아야 하기 때문에 2년 동안 7개의 논문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하였고, 7개의 논문 모두 역사를 왜곡한 것이 검증되었다. 


5F8C0AC2-56A3-4FB9-B2A2-191B4E2BE154.jpe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7기 최연후기자]


램지어 교수가 하버드대학의 교수가 된 것에는 뒷배경이 있다. 지난 1970년도, 일본의 전범 기업 '미쓰비시'는 하버드대학의 큰돈을 지불하고 석좌 자리를 따내었다. 그 후 미쓰비시는 하버드대학에 100만 달러를 기부하였고, 1998년 정식 교수 자리로 승격되어 그 자리를 램지어 교수가 맡게 되었다. 이 내용을 보면 램지어 교수가 왜 그런 내용의 논문을 썼는지 짐작할 수 있다. 


중국의 외교부에서는 램지어 교수의 논문 철회를 요구하고 있고, 하버드 대학의 학생회에서도 램지어 교수를 비판하며 논문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또한, 일부 국가에서는 미쓰비시 불매 운동이 일어나는 등 여러 방면에서 램지어 교수를 규탄하고 있다. 궁지에 몰린 램지어 교수는 "내가 실수했다"라고 말하며 매춘 계약서가 없다며 실수를 인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7기 최연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400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060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4265
코로나 확진자 느는데, 의료진 파업? file 2020.08.25 이지우 8999
코로나 자가격리 위반자에 대한 대응 file 2020.06.29 임지안 8797
코로나 이후 떠오르는 '언택트' 산업 2020.06.01 신지홍 8696
코로나 아직 끝나지 않았다, 생활 속 거리두기 함께 하기 file 2020.05.12 임효주 8274
코로나 시대.. 울고웃는 지역경제 file 2021.08.20 이성훈 7799
코로나 시대, 청소년에 대한 정부의 관심은? file 2021.04.27 이민준 10978
코로나 시대 1년, 일회용품 사용 증가로 환경오염 우려 커졌다 file 2021.01.26 이준영 14389
코로나 상황 속에서 등교 수업 1 file 2020.07.13 손혜빈 9891
코로나 사태로 인한 총선 판도의 변화 2020.04.13 김경민 9722
코로나 사태 탄소배출권 가격 안정화의 필요성 2021.02.10 김률희 10172
코로나 백신, 그에 대한 국내외 상황은? file 2021.05.18 마혜원 8503
코로나 백신, 가능할까? 1 file 2020.11.13 이채영 8286
커피 값으로 스마트폰을 사다?! 11 file 2016.02.20 목예랑 20407
커지는 소년법 폐지 여론..‘소년법 개정’으로 이어지나 9 file 2017.09.07 디지털이슈팀 14026
캐나다, '기호용 대마초 합법화' 발표 2018.10.23 정혜연 10055
카페 안에서 더 이상 일회용컵 사용 불가?, 환경부의 단속! 1 file 2018.10.08 김세령 10916
카타르, 고립되다? file 2019.03.18 이솔 9797
카카오톡 대화 삭제 기능, 득일가 실일까 3 2019.01.31 이현림 15415
카카오뱅크가 국내 금융시장에 불러올 파급효과 file 2017.08.31 김진모 10700
카카오 O2O 서비스, 일상에 침투하다 3 file 2016.07.24 권용욱 22431
카슈끄지 사건의 후폭풍 file 2018.11.14 조제원 10548
카멀라 해리스, 美 최초의 여성 부통령으로 당선 2 file 2020.11.09 임이레 9294
카드사의 3개월, 5개월... 할부 거래의 시작은 재봉틀부터? file 2019.04.16 김도현 16463
칭다오 세기공원의 한글 사용 실태 file 2019.08.02 유채린 14935
친환경포장기술시험연구원, 제품 포장재질 및 과대포장 검사 전문기관으로 지정 file 2022.08.22 이지원 6239
치열했던 선거 경쟁, 이후 후보들의 행적은? 2 file 2017.05.25 정유림 10290
치솟는 부동산 가격, 9.13 부동산 대책으로 잡나? file 2018.09.18 허재영 9858
치사율 100% '아프리카돼지열병' file 2019.06.07 이지수 11259
치명률 30% 메르스 우리가 예방할 수 있을까? 1 file 2018.09.28 박효민 9752
충격적인 살충제 계란, 이에 대해 방념한 정부의 대처 1 file 2017.08.25 이어진 11083
춘천에서의 맞불집회..김진태 태극기집회 vs 김제동 촛불집회 3 file 2017.02.22 박민선 29939
축구계 더럽히는 인종차별, 이제는 사라져야 할 때 1 file 2018.10.16 이준영 12549
추위 속 진행되는 ‘촛불집회’, 국민들의 한마음으로 추위를 이겨내다… 15 file 2017.01.14 이윤지 23944
추운 겨울, 계속 되는 수요 집회 3 file 2017.02.04 오지은 18466
추석 연휴 마지막 날도 진행된 제1354차 수요시위 file 2018.09.28 유지원 16168
최종적 무죄 판결, 이재명 파기환송심 무죄 file 2020.10.21 전준표 12695
최저임금, 청소년들은 잘 받고 있을까? 2 2018.09.17 박세은 10991
최저임금, 정말로 고용에 부정적 효과를 미칠까? file 2020.08.18 이민기 11194
최저임금, 어떻게 생각하나요? 2 file 2018.06.08 노시현 19451
최저임금 차등화, 불붙은 논쟁 1 file 2018.03.26 조현아 12624
최저임금 인상의 문제점 2 file 2018.05.14 유근영 23289
최저임금 인상과 자영업자... 그리고 사회적 공약 file 2021.07.15 변주민 10206
최저임금 인상, 양측의 입장 1 file 2017.12.11 원혜랑 12015
최저임금 상승, 경제 성장을 이룰 수 있을까 1 file 2017.07.25 이가현 14339
최저임금 8350원, 그 숫자의 영향력 4 file 2018.07.19 박예림 10736
최저시급 , 고등학생들은 어떻게 생각할까? 1 2020.08.21 이가빈 10093
최악의 폭염, 얼마 남지 않은 골든타임 1 file 2019.01.29 김사랑 9793
최순실의 특검 자진 출석..의도는? file 2017.02.13 박민선 217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