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삼성그룹 회장 이건희, 78세의 나이로 별세

by 17기조은우기자 posted Nov 02, 2020 Views 910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20년 10월 25일, 삼성그룹 이건희 회장이 별세했다는 소식이 전해졌고 이어 많은 정당인들과 언론매체가 앞다투어 긴급뉴스를 전했다. 이건희 회장은 2014년 5월 10일 급성 심근경색으로 인한 심장마비를 겪으며 건강이 악화되어 삼성서울병원에 입원해있었다. 고인은 1999년 11월 폐 림프암 수술을 받으며 호흡기 건강이 좋지 않아 일본에서 지내기도 하였다. 고인은 '어떤 승리에도 우연은 없다.', '여성 활용 못하면 손해다.', '남의 발목 잡지 말아라.' 등 경영자로서 여러 가지 발언을 남겼다. 고 이건희 회장은 탁월한 미래 모습을 제시하고 삼성그룹을 한국 대표 기업을 넘어서, 글로벌 대표 기업으로 키운 장본인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스마트폰, 반도체, TV 부문에서 세계 시장 1위를 기록하며 세계 최고의 정보기술 기업으로 성장시켰다. 회장의 별세에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고인의 빛과 그림자를 차분히 생각하며 삼가 명복을 빈다"고 했다. "고인의 여러 말씀은 활기 있고 창의적인 기업문화를 만들었다. 우리 사회에도 성찰의 고민을 던져줬다"고 했다. 그러나 "재벌 중심의 경제 구조를 강화하고, 노조를 불안정하게 하는 등 부정적 영향을 끼치셨다는 점도 부인할 수 없다"는 말을 덧붙였다. 또, 정호연 정의당 수석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조의를 표하면서 정경유착, 무노조 경영 등 초법적 경영 등으로 대한민국 사회에 어두운 역사를 남겼다고 언급했다. 


10월기사그림.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7기 조은우기자]


우리나라 최고기업 회장의 별세로 갑자기 많은 사회문제가 발생했다. 아직 보상받지 못한 노동자들과 피해자들, 이건희 회장의 상속세 등 해결해야 될 문제들을 차차 해결해나가자는 반올림(시민단체)의 의견이 있었다. 반올림은 "이건희의 삼성이 저질러 온 많은 문제들이 지금까지 해결되지 않았고 직업병 피해자들을 비롯해 시민사회에 대한 불법사찰 행위를 해결하라는 요구에는 답이 없고 과거 경영 사퇴, 비자금 사회 환원은 끝내 지켜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시는 이런 불행한 일들이 반복되지 않기를 바란다" 말했다. onebyone.gif?action_id=ff943dd20f460c899우리나라 기업, 정당뿐 아니라 외신들도 이건희 회장의 별세 소식에 애도를 표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17기 조은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7기김성규기자 2020.12.01 12:01
    이면의 평가가 존재하는 인물이긴하지만 경제발전에 힘을 썼다는 이유로 저는 좋은 경영인이라고 평가하고 싶네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8063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5003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66261
문재인 대통령의 유럽 순방, 무슨 성과가 있는가 2018.10.23 고아름 9492
혼란스러운 부동산 문제, 부동산 특위의 해결방안은? file 2021.05.25 백정훈 9480
연예 기사 댓글 폐지, 지속되어야 할까? 1 file 2020.05.18 서하연 9468
GDP 추정치로 알아본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타격, 어느 정도인가? 1 file 2020.11.23 김광현 9451
제약 산업에 대한 가격 규제, 누구를 위한 것인가? 2020.12.10 전민영 9442
한국은 지금 마스크 전쟁중 1 file 2020.02.27 차현서 9439
코로나 확진자 느는데, 의료진 파업? file 2020.08.25 이지우 9432
21대 총선에서의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첫 시도, 결과는? file 2020.05.07 장민서 9415
공급망 병목현상에 이어 전력난, 요소수 부족까지… 국내기업 “긴장” file 2021.11.10 윤초원 9409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윤석열 전 검찰 총장 file 2021.11.08 송운학 9409
트럼프의 대선 연기 주장, 반응은 싸늘? file 2020.09.22 임재한 9408
공기업의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청원, 하루 사이 20만 돌파 file 2020.06.29 박채니 9407
부정선거와 선거 불복...혼돈의 볼리비아 2019.12.26 신주한 9406
청주 서원구 미래통합당 최현호 후보 연이은 아쉬운패배 file 2020.04.28 한재원 9401
‘2020 삼성행복대상’ 수상자 발표..김하늘 학생 등 청소년 5명 수상 file 2020.11.11 디지털이슈팀 9397
문재인 대통령 '백신 유통' 합동훈련을 참관 file 2021.02.16 김은지 9390
미 하원에서 통과된 트럼프 탄핵안, 상원에서는? 1 file 2020.01.20 전순영 9382
버스 파업, 이대로 괜찮을까? 2 file 2019.05.31 방민경 9382
평등하고 자유로운 나라 미국의 인종차별 file 2020.06.02 임상현 9378
전 세계 학교 상황은 어떨까? 1 file 2020.04.01 여승리 9362
다시 일어난 미국 흑인 총격 사건, 제2의 조지 플로이드 되나 2020.08.31 추한영 9360
텔레그램 n번방 사건, 과연 '박사방'이 끝인가? file 2020.04.06 류현승 9359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원자재 수급 불안 가속화하다? file 2022.03.25 이성훈 9357
'경기도 청소년 교통비 지원', 작지만 큰 배려 1 file 2020.07.27 이도현 9336
코로나-19 사태 발발 4달, 지금은? 2020.04.08 홍승우 9315
'기생충' 축하로 시작해 '코로나바이러스'로 끝난 수석·보좌관 회의 1 file 2020.02.14 김도엽 9305
설탕세 도입 갑론을박 "달콤함에도 돈을 내야 하나","건강 증진을 생각하면.." file 2021.03.25 김현진 9297
교과서 속 부정확한 성(性) 지수 교체 시급 file 2020.06.02 박지훈 9290
미 전역서 4번째 '여성행진'..."여성들이여, 일어나 소리쳐라" file 2020.02.11 박채원 9288
“Return to MAX” 2021.01.22 이혁재 9286
변화하는 금리의 방향성 file 2021.03.10 신정수 9284
논란의 정답은 외인사로 끝나지 않는다.; file 2017.06.25 김유진 9283
이재명-김동연 → 윤석열-안철수, 막바지 판도 흔드는 단일화 변수 file 2022.03.04 김희수 9278
선거연령 하향 이후, 청소년들의 정치적 태도 변화는? file 2020.04.28 이승연 9265
75주년 광복절 & 태평양 전쟁 패전 75주년 1 file 2020.08.27 차예원 9262
코로나19 나흘째 확진자 200명 대, 좀처럼 끝나지 않는 줄다리기 file 2020.11.18 이준형 9249
아시아인 증오 범죄가 시발점이 된 아시아인 차별에 대한 목소리 file 2021.03.26 조민영 9239
11년 만에 한미 2+2 회담 2021.03.25 고은성 9238
코로나 자가격리 위반자에 대한 대응 file 2020.06.29 임지안 9238
KFX 인니 '손절'? file 2021.03.02 정승윤 9231
한중정상회담의 개최, 향후 전망은? file 2019.12.24 신주한 9229
인류를 돕는 인공지능, 코로나19에도 힘을 보탰다 file 2020.03.27 이소현 9222
코로나19 양성 의심 청소년 사망, 누구도 방심할 수 없다 2 file 2020.03.20 김수연 9220
모두가 방관하여 발생한 일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file 2019.09.27 유예원 9216
5·18민주화운동과 희생자를 기리며 file 2019.05.29 박고은 9215
투표하는 고3, 무엇이 필요한가?: 범람하는 가짜 뉴스의 인포데믹과 청소년 시민 교육의 필요성 file 2020.03.30 황누리 9208
일본 방사능 오염수 방류 결정에 반일 불매 운동? file 2021.04.16 지주희 9203
첫 코로나 백신, 앞으로의 문제는? 2020.08.24 이채영 920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