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2020년 한국에게 필요한 조언_고전으로 살펴보기

by 14기임효주기자 posted Apr 29, 2020 Views 1328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존 스튜어트 밀은 자신의 저서 자유론에서 그 어떤 의견이든 자유롭게 표출될 수 있고 똑같은 비중으로 가치를 인정받지 못한다면 주장의 담긴 내용들이 빛을 발할 기회를 얻지 못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가 이토록 자유를 절대적 권리로 규정하는 까닭에는 개인의 개별성을 보장하고자 함이 있다. 개별성은 행복한 삶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로, 개개인이 검열의 위협이나 관습의 맹목적 추종에서 벗어나 자신의 다양한 선호를 마음껏 펼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이의 맥락에서 그는 진리에 대한 확신과 여론에 의한 호도를 몹시 경계했으며 개인의 욕망과 충동의 개별성이 발현되는 사회야말로 건강한 사회라고 하였다. 자유가 가지는 모순점 혹은 한계에도 불구하고, 그는 인간과 사회 전반을 위해 자유, 그리고 개별성은 꼭 필요하다고 본 것이다.

 

그렇다면 존 스튜어트 밀의 주장이 현 한국 사회에 어떤 처방을 내릴 수 있을까?

자유론.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4기 임효주기자]



현재 한국 사회의 가치 판단의 기준은 유용성이 되어가고 있다. 어떠한 사상이나 주장을 지지하는 이유가 그 주장이 옳아서라기보다는 사회의 복리를 위해, 유용성에 기반을 한 바람직한 선택이라는 믿음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사는 것이 힘들다는 이유로, 정작 중요한 사안이나 문제에 대해서는 토론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못한 채, 효용이라는 논리가 지배적이게 되는 것이다. 즉 다시 말하자면, 진리인지 아닌지보다는 유용성을 기반으로 토론의 자유가 억압되는 것이다. '이것이 효율적이야, 이것이 사회적인 효용을 주기 때문에 이는 토론의 대상이 아니야.' 효용성을 바탕으로 현명한 선택을 내리는 듯 보일 수도 있지만, 존 스튜어트 밀이 말했듯 이는 결국 내 생각은 결코 틀릴 수 없다.’라는 과신이 형태를 달리한 것에 지나지 않다.

 

또한 이와 함께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효용의 논리를 기반으로 한 확정된 결론들의 확산이다. 확정된 결론이 위험한 까닭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 하나를 꼽자면 이분법적 사고, 흑백 논리의 확산이다. 하나의 결론이 옳은 것처럼 유용성을 바탕으로 결론지어진다면, 이는 결국 명백히 구분이 존재하지 않는, 진리를 따져 물어야 하는 사안에 대해서도 논리와 진리에 대한 논의가 부재한 채 양극단의 입장으로만 치닫고 소통이 결여되는 결과를 야기하는 것이다. 실제로 한국 사회의 가장 큰 문제점이 이러한 소통의 결여, 이분법적 사고의 성행으로부터 나오는 것이 아닐까 싶다. 이런 양극단의 논리는 사회 전반의 공론화에 대한 피로도를 쌓이게 하고, 건강한 토론을 가로막는다. 이런 상황에서 자유의 추구가 방해받는 상황이 연출되는 것이다.

 

피로할지라도, 모순적으로 느껴질지라도, 존 스튜어트 밀은 한국에게 자유를 추구할 것을 당부한다. 그 피로와 모순으로 의견을 억압한다면, 이는 공정하고 엄밀한 평가를 가로막을뿐더러 정말 필요한 생각의 날개를 꺾어 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존 스튜어트 밀은, 당장의 효용보다는 미래의 자유를 외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4기 임효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35943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33161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54785
미래의 음악가들에게 꼭 추천해주고싶은 책들 3 file 2017.03.26 박윤서 17038
한국에서만 유일하게 사용하는 것? 3 file 2017.03.26 전인하 15886
달콤함에 묻힌 영웅, 안중근 의사 2 file 2017.03.26 노혜원 14110
봄처럼 따스한 우리 동네 나눔 곳간 1 file 2017.03.26 남예현 15341
당신의 청춘을 불러드립니다. file 2017.03.26 김다은 12581
매월 넷째 주 수요일은 대중교통 이용의 날 file 2017.03.26 손유정 13433
학원.... 나도 다녀야 하나...? 3 2017.03.26 박소민 17383
미래의 성실납세자, 전국 청소년 세금문예작품공모전 참여하자! file 2017.03.26 한혜빈 18192
우리 서해 바다, 지켜주셔서 감사합니다. file 2017.03.26 송인준 13003
‘3.1절 98주년’ 양주 광적면에 “태극기”가 휘날리다. file 2017.03.26 김소희 14687
인형 뽑기 범죄, 해결책은? file 2017.03.26 이호균 13207
제 4회 Y-kiki 선한음악회 1 file 2017.03.26 정수민 14758
여행에 대한 변화된 생각, ‘현지화’를 꿈꾸는 여행객들 file 2017.03.26 백지웅 14986
밤길에 수놓은 빛무리, 원주 고니골 빛 축제 file 2017.03.26 염가은 15404
마천청소년수련관에서 청소년 동아리 발대식 열려 1 file 2017.03.25 박지현 13134
작은 관심의 즐거움, 이제는 주어야 할 때 file 2017.03.25 홍선민 12418
영화 속에서 과학을 보다, 국립부산과학관 ‘영화 더하기 과학’ 특별기획전 2 file 2017.03.25 김혜진 16959
상해를 바라보다(관광 취재) 1 2017.03.25 홍주리 13706
'이상문학상'을 아시나요? file 2017.03.25 정준서 14661
페미니스트 대통령 file 2017.03.25 안예현 13261
맨발로 나아가는 청소년들, 청소년 장기 프로젝트 file 2017.03.25 박벼리 13168
유행어, 신조어라는 거울 속에 나타나는 2017 사회 모습 3 file 2017.03.25 성채리 26234
'한정판'의 유혹 file 2017.03.25 주은채 13365
과학 호기심이 활짝 피다-국립대구과학관으로 오세요 file 2017.03.25 이영준 16683
어스아워 2017: 60분동안 불을 끄고, 생명을 켜다. file 2017.03.25 조윤수 13090
당신의 양심은 아직 세모 모양입니까? file 2017.03.25 박유은 16240
빅맥지수로 세계경제를 보다? file 2017.03.25 김나영 15307
Earth Hour: 지구를 위한 시간. 2 file 2017.03.25 유광호 14104
전세계가 함께하는 지구촌 전등끄기 행사가 열리다. 1 file 2017.03.25 김혜린 13062
눈의 의지로 별을 기리다. file 2017.03.25 임소진 14565
프리온, 단백질성 감염인자 file 2017.03.25 백준채 17029
“어른이 되는 게 무서워요” …… 현실이란 틀 안에 갇혀버린 학생들 2 file 2017.03.25 김다희 18236
SWITCH OFF for Earth, right now. file 2017.03.25 최규리 12269
왼손잡이는 천재라는데 진실일까? file 2017.03.25 김선웅 17469
별 하나에 윤동주의 삶을, 윤동주 문학관을 탐방하다 1 file 2017.03.25 황새연 14626
세상을 조금씩 변화시키고 있는 냄비근성 2 file 2017.03.25 신유나 18021
일본군 '위안부' 청소년 단체, '마음을 찾는 아이들'의 새로운 도약 5 file 2017.03.25 김수연 14764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 오긴 오잖아? 2017.03.25 장민수 24290
인간 게놈 지도 발표 16년 file 2017.03.25 이정민 17785
보령시 청소년 문화의집, 보령시 청소년 운위영위원회 위촉식 진행 file 2017.03.25 이지민 13639
'구멍뚫린' 지역주택조합 file 2017.03.25 박다혜 12549
영화 '미녀와 야수'와 함께 동심의 세계로! 1 file 2017.03.25 연지원 15166
2017 쇼트트랙 세계 선수권 대회, 한국 선수들에게만 깐깐한 심판들로 인해 억울한 패배를 맛본 한국 선수들? file 2017.03.25 이예성 16737
Earth Hour : 지구촌 전등 끄기로 환경 보호를 실천하다 file 2017.03.25 장예진 13035
‘국제출판인들과의 북한인권 대화’를 소개합니다. file 2017.03.25 강지원 14023
3월 25일, 전등을 끄고 생명의 빛을 켜다. file 2017.03.25 김량원 15886
구일고등학교의 아이돌 'KD'를 소개합니다 file 2017.03.25 임수윤 20292
봄꽃의 신호탄! " 2017 양산 원동매화축제" file 2017.03.25 전현동 121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