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올해만 7차례 지나간 것은 무엇인가

by 12기김선우기자 posted Nov 15, 2019 Views 1042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DLRJ이거.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2기 김선우기자]

 

2019년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이 7차례 지나갔다. 올해 태풍은 1959년 이후 60년 만에 가장 큰 피해를 주었다. 특히 9월에는 3개의 태풍이 불어오면서 1904년 근대 기상관측을 시작한 이후 가장 많이 불어왔다. 부분지역이 아닌 전국으로 비상이 걸려 태풍과 관련한 특보가 많이 발령되었다.

 

 DLRJ.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2기 김선우기자]

 

태풍이 많이 온 이유는 해수면 온도, 북태평양 고기압 확장 등이 원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태풍은 적도 부근이 극지방보다 태양력을 더 많이 받기 때문에 열로 인한 불균형을 없애기 위해 저위도지방의 따뜻한 공기가 바다로부터 수증기를 공급받으면서 강한 바람과 많은 비가 같이 고위도로 이동하는 기상 현상 중 하나이다. 또한 우리나라 주변 해수면 온도는 1991년부터 2010년까지 약 0.8도 올랐는데 해수면의 온도가 올라가면서 태풍이 세력을 유지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1959년 제14호 태풍 사라는 고온수역을 지나면서 강도가 세지면서 우리나라에 접근해 많은 사람들이 심각한 인명피해를 받았다. 최근 한반도에 영향을 끼친 태풍 미탁 같은 경우 차량이 침수되고, 지붕이 붕괴하는 등 전국 곳곳에 큰 피해를 주었다. 이외에도 제13호 태풍 링링, 17호 태풍 타파 외 4개의 태풍은 수확에도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목숨에도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태풍으로부터 대비하는 방법에는 먼저, 집에 있을 때 창틀과 유리창 사이에 틈이 생겨 효과가 크지 않는 X자로 테이프를 붙이는 것이 아닌 틈이 생기지 않도록 테이프를 붙여준다. 그리고 혹시 모를 상황을 대비하여 비상용품을 준비해놓고, 태풍 경보가 울렸을 때 상수도 공급이 중단될 수 있어 물을 미리 받아놓는다. 그리고 태풍이 불 때 외출을 삼가는 것이 좋지만 외출을 해야 할 상황에는 위험 시설물(상가 간판이나 흔들리는 곳 등)을 피하고, 맨홀뚜껑이 튀어 오를 수 있어 맨홀을 피해 걷는다.

 

앞으로 평균 해수면 온도는 최대 3.4도까지 올라갈 것으로 예상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2기 김선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7기정예람기자 2019.11.24 19:57
    올 늦가을을 무섭게 보내게 해준 태풍입니다. ㅠㅠ 특히 농민분들의 피해가 막심하다고 하는데 신속히 잘 해결됬으면 좋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977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714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1368
과연 본인 돈으로는 본인 표만을 사면 안 되는 것일까? file 2019.11.14 조서윤 10632
미국 캘리포니아주 '한글날' 제정 1 file 2019.11.15 이지현 12103
올해만 7차례 지나간 것은 무엇인가 1 file 2019.11.15 김선우 10427
하늘의 별이 된 설리, 우리가 해야할 숙제는? 2 file 2019.11.15 정다은 13257
불거지고 있는 인터넷 실명제 논쟁... 해결책은? 3 file 2019.11.18 박수빈 13378
일본군 '위안부' 피해, 오해와 진실 file 2019.11.25 정혜인 10187
한국 청소년들, 정치에 관심 없다 2 file 2019.11.25 이세현 15218
클라우드 기술, IT 업계가 주목하는 이유는? file 2019.11.27 이선우 14192
어린이가 안전한 나라...? file 2019.11.28 김두호 10260
SNS는 사람이다 file 2019.11.29 전혜은 14671
국공립 어린이집의 확대 file 2019.11.29 임소원 12522
대한민국 가요계의 그림자, 음원 사재기 file 2019.12.02 조은비 11481
지소미아 연기로 고비 넘겼지만...방위비 분담금 협상에 주목 2019.12.05 박채원 9555
경제효과 5조 원, ‘방탄이코노미’ 1 file 2019.12.11 백지민 11270
영국 총선, 보수당 승리... 존슨 총리의 향후 과제는? file 2019.12.20 김지민 11942
영국의 조기 총선 file 2019.12.23 홍래원 8791
세계의 양대산맥, 미국-중국의 무역전쟁 file 2019.12.23 전순영 10787
한중정상회담의 개최, 향후 전망은? file 2019.12.24 신주한 9019
Netflix가 시작한 OTT서비스, 과연 승자는 누구일까? file 2019.12.24 이지현 13178
부정선거와 선거 불복...혼돈의 볼리비아 2019.12.26 신주한 9084
주한 외국인 증가율 file 2019.12.27 김희서 8392
학생참여가 가능한 캐나다 선거 Student Vote Day file 2019.12.30 이소민 11980
계속 더워지는 지구... 최근 5년이 가장 더웠다 file 2019.12.31 유승연 9411
미중 무역전쟁, 승패없는 싸움의 끝은? file 2020.01.02 임수빈 8294
음원차트 순위 꼭 있어야 하나? 1 file 2020.01.02 전혜은 9352
흔들리던 새벽, 우리도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 file 2020.01.06 정다은 11444
악성 댓글, 이대로 괜찮을까? 2 file 2020.01.13 조연우 11849
전쟁의 변화 속 고찰 2 file 2020.01.16 최준우 9649
불거지는 미국과 이란의 국제 관계...경제적 영향 끼칠것 4 file 2020.01.16 김수진 9386
조국 전 장관의 서초동집회 근황 file 2020.01.17 윤태경 8705
'세월호 기억의 벽'을 지켜주세요 2 file 2020.01.17 하늘 10651
미 하원에서 통과된 트럼프 탄핵안, 상원에서는? 1 file 2020.01.20 전순영 9138
'통제된 화재'가 무엇인지 아시나요? file 2020.01.22 권민서 9237
"그는 집을 잘못 골랐어" 괴한을 물리친 82세 할머니의 이야기 file 2020.01.22 김수현 10451
노동자들의 파업, 비난 아닌 연대의 시선으로 1 file 2020.01.23 박효빈 11458
중국 전역을 덮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이에 대한 우리 정부의 대책은? 3 file 2020.02.03 고기찬 11572
미 전역서 4번째 '여성행진'..."여성들이여, 일어나 소리쳐라" file 2020.02.11 박채원 9086
교육부, 대학 개강 시기 "4주 이내 조정 권고" file 2020.02.12 박가은 9760
희망을 주는 무료 급식소와 취약계층의 피해... file 2020.02.12 정다현 9865
리디노미네이션, 그게 뭐야? file 2020.02.12 박하진 11986
반복되는 바이러스 2 file 2020.02.13 전혜은 9363
점점 사라져가는 생물들...생물 다양성을 보전하자! 1 2020.02.13 윤혜림 14875
'기생충' 축하로 시작해 '코로나바이러스'로 끝난 수석·보좌관 회의 1 file 2020.02.14 김도엽 9003
우리가 한번쯤 생각해봐야 할 문제, 고독사 2020.02.19 이수미 11012
여성과 청소년들에게 뻗는 담배회사들의 검은 손 1 file 2020.02.19 남진희 10063
모두 마스크를 쓰세요, 코로나바이러스 5 file 2020.02.20 이도현 9675
대설주의보와 대설경보, 미리 알고 대비하자 1 file 2020.02.21 우선윤 10382
개 구충제인 펜벤다졸, 정말로 암 치료에 효과가 있을까? 5 2020.02.24 배선우 107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