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보톡스-독을 치료로, 치료를 미용으로

by 8기여다은기자 posted Aug 24, 2018 Views 1007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피부과70.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여다은기자]


 우리는 보톡스라는 용어를 실생활에서 많이 접해봤다. 아마 피부과나 성형외과와 같은 곳에서 접한 경험이 대부분일 것이다. 그러나 사실 보톡스는 미용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 아니다. 게다가 보톡스의 주성분인 보툴리눔 독소는 사실 약 130g 정도만 있으면 전 세계 인구를 전멸시킬 정도의 파급력을 가진 화학 물질이다. 얼굴 주름을 없애기 위해 이용한다고 알고 있는 보톡스가 그렇게 무시무시한 물질이라고? 이렇게 의문을 가지는 이들이 많을 것이다. 그럼 보톡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보톡스의 주성분인 보툴리눔 독소는 박테리아에서 생성되는 신경독성 단백질이다. 이 독소는 신경근접합부의 시냅스전에서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이 분비되는 것을 억제하여 마비성 질환인 보툴리눔 독소증과 구토, 식중독, 운동장애, 시각장애 등을 유발한다. 한 마우스 실험에 따르면 이 독소 1g으로 약 10억 마리의 마우스를 죽일 수 있으며, 사람의 경우에는 1g으로 약 2백만 명을 치사시킬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보툴리눔 독소는 미용용으로 이용되기 전에는 치료용으로 이용되었다. 이 독소는 근육의 수축을 마비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어 의학적으로 비뚤어진 눈(사시), 눈꺼풀 경련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었다.

    

 그렇다면 어쩌다 미용 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일까? 캐나다의 한 의사가 눈꺼풀 경련 환자에게 독소를 주사한 결과 환자의 눈 주위의 주름살이 없어지는 것을 찾아내어 미용 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주름이 있는 얼굴에 보톡스 주사를 주사하면 근육을 일시적으로 마비시켜 그 근육 근처의 피부가 펴지는 과정에서 주름이 사라지는 것이다. 기사를 읽다 보면 보툴리눔 독소와 같이 위험한 물질을 어떻게 미용에 사용하지? 라고 의문을 가질 수 있다. 성형외과와 피부과에서 사용하는 보톡스 한 병에는 약 0.4~0.6나노그램으로 70kg 성인 기준 치사량의 약 1/30인 미량이 들어있으며 보톡스 1회 주사에 보톡스 한 병의 양을 넘지 않는다고 한다. 그리하여 보톡스 주사를 주입하여 독성을 일으키거나 사망에 이르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8기 여다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8기임세진기자 2018.08.24 18:39
    헉 보톡스가 그런 물질로 되어있는 줄은 이 기사를 읽고 알게 되었어요. 그런 보톡스를 미용으로 사용하다니 처음엔 읽고 깜짝놀랐는데 다 읽고 난 후 안심을 했어요! 정말 신기한 것 같아요.
  • ?
    8기윤지원기자 2018.08.24 21:00
    많은 양의 보톡스는 위험하다는 것을 오늘 처음 제대로 알았네요, 보톡스는 성형 시술중에 가장 간단한 것 인줄 알았는데 다시 생각하게 되었어요. 기사 잘 보고 갑니다 !
  • ?
    9기김성백기자 2018.08.25 01:54
    새로운 정보를 알게 되었네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8기배아영기자 2018.08.26 20:27
    좋은 것도 많이 하면 해가 된다는 말을 이럴 때 쓰는 거 겠네요.. 하지만 양에 맞추어 사용 하니까 별 문제가 없을거라 믿어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215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944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3775
방학보충의 폐해, 고등학생의 현실 2 file 2017.02.04 손예은 16043
백두산이 폭발한다? file 2019.05.24 백지은 11053
백만 촛불의 간절한 외침 1 file 2016.11.24 박민서 18924
백신 안전성...결정의 기로에 놓인 프랑스 국민들 file 2021.01.26 정은주 8688
백신, 안전한가? 1 file 2020.10.22 홍채린 8473
백악관에 닥친 권력 전쟁, 백악관 내전 1 file 2017.08.11 박우빈 11323
백악관에서 출입금지시킨 CNN기자 백악관 귀환 file 2019.01.07 강신재 10444
밸런타인데이의 유래, 신생 기념일 vs 전통 기념일 14 file 2016.02.15 박민서 17429
버려져야 하는, 난민에 대한 고정관념 1 2019.01.02 권오현 15713
버스 정류장이 금연 구역이라고요? 2 file 2018.08.10 남지윤 20729
버스 파업, 이대로 괜찮을까? 2 file 2019.05.31 방민경 9160
범도민 총 결의대회 "군산조선소 존치시키라" file 2017.02.15 양원진 15609
법무부, '로톡'-'변협' 갈등 중재에 나서나… file 2021.08.26 오정우 6652
법무부, ‘벌금형 집행유예’ 활성화 추진.. 구체적으로 어떤 효과가 있을까 file 2021.04.02 이승열 10198
법원,'어금니 아빠' 이영학에게 사형선고, "사회에서 영원히 격리" 2 file 2018.02.23 이승민 11331
베네수엘라! 살인적인 물가 폭등 떠나는 국민들 file 2018.07.03 이소현 13691
베르테르 효과와 미디어 file 2018.01.26 정다윤 13728
베트남에서 점점 심해지고 있는 코로나19 2 2020.04.14 김정원 9652
베트남은 지금 '박항서 감독'에 빠졌다 2018.12.26 김민우 8879
벤앤제리스, 이스라엘 서안지구에 아이스크림 판매 중단해 file 2021.08.23 고은성 9223
벼랑 끝에 선 한의학, 해결 과제는? file 2019.08.19 최양현 11166
벽화, 주민들을 괴롭히고 있진 않습니까? 2 file 2016.03.24 이하린 16999
변종 코로나바이러스, 밍크에서 발견 1 file 2020.11.23 오경언 8892
변화와 격동 속의 인공지능 시대, 어떻게 해야 할까? file 2019.03.28 조원준 10561
변화하는 금리의 방향성 file 2021.03.10 신정수 8965
변화하는 보수만이 살아남는다 file 2017.03.05 이우철 14472
변화하는 아프리카, 세네갈 풍력발전소 출시 file 2020.03.04 정윤지 8794
변화해야 할 대학교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10 file 2016.02.22 박나영 17053
병든 위생, 여성의 안전이 위협받고있다. file 2017.08.29 김영은 10597
병봉급 인상, 병사들 어디에 쓸까? file 2018.03.27 윤보석 11832
보이저 2호, 태양권 계면 벗어나다 file 2018.12.24 김태은 10947
보이지 않는 공포 몰래카메라 3 file 2018.07.02 김영환 18419
보이지 않는 살상무기 말 2014.07.31 최정주 24323
보이지 않는 임산부 1 file 2018.12.26 황규현 9875
보이지 않는 재앙, '미세먼지' 1 file 2019.02.25 김현정 11392
보이지 않는 칼날 2 file 2018.03.26 김다연 11241
보톡스-독을 치료로, 치료를 미용으로 4 file 2018.08.24 여다은 10074
보행자의 안전을 지키는 LED 조명등 2 file 2018.05.04 박소윤 10357
복잡한 미국의 대선 방식, 어떻게 진행되고 왜 그럴까? file 2020.11.04 김진현 13850
복지를 통해 부의 불균형을 해결한다? file 2016.10.24 장은지 17425
볼펜도 만드는 중국... 위협적인 존재? 6 file 2017.01.25 김희수 18204
봄바람과 함께 떠나는 문학기행 file 2015.05.25 정영우 24495
부동산 투기, 대한민국 거주 외국인에게도 일어나는 문제 file 2021.05.27 이수미 7113
부르카(Burka) 착용 금지법, 이제는 우리나라에서도 생각해봐야 할 법률 8 file 2019.04.25 박서연 35173
부르키나파소의 총리와 내각, 사임하다 1 file 2019.02.13 이솔 11178
부산 여중생 폭행사건 여파로 '청소년 보호법 폐지' 처벌 강화 청원 2만명 넘어 file 2017.09.04 디지털이슈팀 14530
부산 위안부 소녀상, 홀로 앉아있는 소녀를 지키는 다른 소녀가 있다. 7 file 2017.01.22 최문봉 19023
부산 지하철, 연 2천억원 발생하는 적자 감소를 위해 약 1천여명의 구조조정 바람이 불 것 2 file 2017.02.02 최문봉 165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