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9시 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가

by 이지원 posted Sep 25, 2014 Views 2642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9시 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가



 9월부터 경기도 지역 초··고교 90%가 시행에 들어간 ‘9시 등교를 둘러싼 논란이 뜨겁습니다. 지난 6월 의정부여중 3학년 학생들이 경기도교육청 홈페이지에 정책 제안을 올린 것을 이재정 경기교육감이 받아들이면서 논란이 시작되었습니다. 9시 등교는 이에 앞선 5인권 친화적 학교+너머운동본부가 초··고교생 167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에서 학생이 원하는 교육정책’ 1위로 꼽히기도 했습니다. 반면 보수 투표결과.jpg성향의 교원단체인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등교 시간을 정하는 것은 학교장 권리

라며 법적 대응을 거론했습니다.

 중·고등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9시 등교에 대한 입장을 조사한 결과 ‘9시 등교, 찬성한다.’에 대한 입장은 100명 중 30명으로 30%를 차지하며 ‘9시 등교, 반대한다.’에 대한 입장은 100명 중 61명으로 61%를 차지하고 있습니

우리학교 10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한 투표결과


. 또한 ‘9시 등교, 잘 모르겠다.’에 대한 입장은 100명 중 9명으로 9%를 차지하였습니다. 9시 등교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이 압도적으로 차지하고 있습니다. 9시 등교에 대해 찬성한다는 학생 1아침을 거르는 때가 많았는데 아침도 먹을 수 있고, 매일 아침에 시간이



여유로워서 좋은 것 같아요.” 라고 하면서 기뻐하였습니다. 반면, 학생 2학교에 늦게 가게 되면 늦게 끝나니까 싫어요.”라고 비판적으로 말하였습니다. 9시 등교에 대한 문제는 학생들뿐만 아니라 학부모들에게도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학부모 1원래는 딸이 아침을 굶고 시간에 쫓겨 허겁지겁 학교에 가는 일이 많았는데 9시 등교를 시행하면 아침도 먹을 수 있고, 여유롭게 학교를 갈 수 있어 좋을 것 같아요.”라고 대답하였지만 학부모 2맞벌이 가정 입장에상일고 학생의 하루.jpg서는 학교에 늦게 가는 아들이 걱정이 될 것 같아요.”라고 학부모 1과는 전혀 다른 입장을 표현하였습니다.

오른쪽 표와 같이 중·고등학생은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와 학원에서 보내 잠을 잘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드는 것을 물론입니다. ·고등학생의 평균 수면시간은 한국 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 아동 청소년 인권실태 연구 2013 아동 청소년 인권실태조사 통계를 보면 전국 초등학생, ·고등학생 9521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초등학생이 8시간 19분 중학생 7시간 12, 고등학생 5시간 27분으로 집계되었다고 합니다. 9시 등교를 시행하면 수면시간이 평균 1시간 정도 늘어날 수 있어 수업시간에 집중력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상일고 ○○○양의 하루

반면 맞벌이 부모들은 자녀의 등교 공백시간에 대해 걱정하고 있습니다. 일찍 등교한 학생들을 위한 아침 프로그램을 준비하지 않은 학교의 학생들은 학업시간이 줄어들어 성적 부진이란 결과를 초래하지 않을까 우려가 무성합니다. 수능이 오전 820분부터 시작하는 만큼 고3 수험생에겐 생활 패턴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런데 갑작스러운 9시 등교 시행으로 수험생의 학습 리듬에 영향을 주지 않을까 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습니다. 9시 등교 정책이 장단점을 가지고 있지만 여론 수렴 과정을 거쳐 제대로 된 검증과 충분한 연구결과를 가지고 시행됐다면 보다 바람직하지 않았을까.

9시 등교 정책이 단지 학생들의 아침 수면시간 보장만을 위한 것이 아니듯 학생들은 9시 등교로 좀 더 여유로워진 아침시간을 자율적으로 효과적으로 쓸 수 있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9시 등교 정책을 시행하는 학교와 경기 교육청은 그 효과와 문제점을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KYP 인턴기자 이 지 원(cherry00001@naver.com)

기사 작성: 2014-09-25 17:15




(대전=이지원 기자)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전송: mail@teenet.org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085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826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2504
한 여성의 억울한 죽음, 그리고 그 이후의 논란 5 file 2016.05.24 유지혜 21040
한 여성의 죽음, 그리고 갈라진 여성과 남성 3 file 2016.05.22 김미래 16993
한-카자흐스탄 경제협력, 카자흐 경제발전의 발판되나 file 2021.08.26 허창영 8001
한·중 수교 25주년, 사드에 한중관계 흔들 file 2017.09.01 한결희 10620
한·중 통화스와프 연장 합의, 관계 개선될까? file 2017.10.20 박현규 11293
한겨레교육, 꼭 알아야 하는 글쓰기 교육 11월 개강 file 2022.11.01 이지원 13352
한결 나아진 무더위, 안심할 수 있을까? file 2018.08.22 안혜민 10952
한국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결선 진출 2 file 2020.10.21 차예원 11067
한국 관광업의 미래, 관광데이터분석가 file 2018.11.05 이승철 11748
한국 남성, 일본 여성 폭행... 과연 반일감정? 1 file 2019.09.26 김지은 10269
한국 드디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하나? 김빛내리 교수와 코로나19 바이러스 file 2020.04.24 윤혜림 15089
한국 첫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1차 선거 통과 file 2020.09.23 차예원 11908
한국 청소년들, 정치에 관심 없다 2 file 2019.11.25 이세현 15225
한국 최초 기관단총 K1A 2020.05.27 이영민 12923
한국 해군의 경항모에 제기된 의문들과 문제점 file 2021.02.22 하상현 12072
한국, 디지털화 수준 60개국 중 7위…"성장성은 49위에 그쳐" file 2017.07.17 온라인뉴스팀 11056
한국, 백신 부족 해소돼 ‘위드 코로나’ 준비 2 file 2021.10.25 안태연 9154
한국, 소비자신뢰지수 22년만에 최고.."1995년 이후 최고 수준" file 2017.08.22 디지털이슈팀 11117
한국거래소, 러시아 ETF 거래 정지 발표 file 2022.03.07 윤초원 6573
한국도서관협회 입장문, '2023년 신규 사서교사 정원 동결, 즉각 철회하라' file 2022.08.05 이지원 8057
한국디스펜서리 주관 ‘2022 식약용 대마 분석·보안 컨퍼런스’ 12월 23일 개최 file 2022.12.16 이지원 6125
한국목재재활용협회, 오염된 폐목재의 무분별한 중고거래 대책 마련 촉구 file 2022.09.13 이지원 6276
한국문학의 거장, 최인훈 떠나다 file 2018.07.25 황수환 10333
한국사 국정교과서, 역사 왜곡 논란에도 결국.. 2 file 2017.02.21 이주은 18341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의회, 그룹홈 아동 원가족복귀 지원 사업 완료 file 2022.08.25 이지원 5675
한국은 지금 마스크 전쟁중 1 file 2020.02.27 차현서 9242
한국의 보수가 영국의 보수당에서 배울점은 무엇인가? file 2018.03.08 김다윗 12403
한국의 조용한 축제 제21대 총선 file 2020.05.18 이가빈 7883
한국인은 잠재적 확진자? 늘어나는 한국인 입국 금지 국가 file 2020.03.02 김예정 8647
한국전쟁 70주년인데...20일간의 일촉즉발 남북 관계 file 2020.06.26 김대훈 11445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산불 진화 현장 속 '숨은 영웅' 자원봉사자 활약 소개 file 2022.06.07 이지원 7123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수해 복구 대응 자원봉사 활동 지원 추진 file 2022.08.19 이지원 6902
한국청소년재단, ‘투표한다람쥐’ 캠페인 실시 1 file 2022.05.30 이지원 5665
한글날 맞아 '한글날 휘호 대회' 가봤더니...한류 열풍에 외국인도 몰려 file 2023.10.12 조이현 6551
한글문화연대, ‘제2회 외국어 남용에 불편했던 이야기 수기·영상 공모전’ 개최 file 2022.07.01 이지원 5788
한나라의 대통령이...비난받는 브라질 대통령 1 2020.04.17 조은우 8751
한류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한령 2 file 2017.05.26 유수연 12306
한마음으로 뭉친 시민들의 광화문 집회 1 file 2016.11.06 김관영 18644
한미 미사일 지침 47년 만에 폐지! 자주국방에 한 걸음 더 가까이! 1 file 2021.05.24 하상현 10311
한반도 문제의 판이 커진다? - 북러 정상회담과 중국의 반응 file 2019.05.02 맹호 12462
한반도 비핵화 운전대 잡은 韓, 떨떠름한 中,日 file 2018.03.08 박현규 10445
한반도 평화 물꼬 튼 '평창 동계올림픽' 1 file 2018.05.02 이선철 11873
한반도, 통일을 외치다! 2018.05.02 김하영 10878
한반도를 둘러싼 외교전쟁 file 2016.09.24 이민구 16743
한반도에 봄이 온다 1 file 2018.05.02 강예진 11037
한반도의 판도라의 상자, 고리 1호기의 영구폐로 3 file 2017.06.22 이빈 11350
한일 갈등과 불매 운동, 그 속으로 file 2019.08.27 박은서 11361
한일 무역전쟁과 깊어지는 한일 갈등 file 2019.08.19 윤대호 114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