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한국식 나이' 폐지하고 '만 나이'로 통일?

by 8기김서진기자 posted Mar 01, 2018 Views 3328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한국식 나이' 폐지와 '만 나이' 통일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만 나이 통일을 주장하는 청원이 끊이지 않고, 여론조사 결과도 국민적 관심을 증명하는 듯 보인다.


한국은 3가지의 나이 셈법을 사용한다. 만 나이, 연 나이, 그리고 한국식 세는 나이이다. 만 나이는 태어난 날로부터 1년이 지났을 때 나이를 더해간다. 연 나이는 현재 연도에서 태어난 연도를 빼는 방식이다. 그리고 한국식 세는 나이는 태어난 날부터 1살로 세고, 그 후 매년 해가 바뀔 때마다 한 살씩 나이를 더해가는 방식이다.


세는 나이 방식은 옛 고대 중국에서 유래되어 동아시아 지역 국가에서 주로 사용했다. 하지만 세는 나이를 사용하던 국가들도 이미 수십 년 전 만 나이 셈법으로 바꿨기 때문에 한국식 세는 나이는 말 그대로 한국에서만 사용하는 나이 셈법이 되었다. 북한도 1980년대 이후부터는 만 나이 사용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1.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김서진기자A]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지난 2016년 2월 17일에 전국 19세 이상 52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인원의 46.8%가 한국식 세는 나이 유지가 옳다 응답하였고, 44%는 만 나이 통일이 바람직하다 응답하였다.


2.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김서진기자A]

또한 L포인트 리서치 플랫폼 라임이 지난 1월 3일부터 4일까지 남녀 2만 8000여 명을 대상으로 한국의 나이 계산법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8.3%는 만 나이로 통일하는 것이 옳다 주장했다. 응답자 가운데 지금처럼 한국식 세는 나이를 같이 사용하자는 의견은 31.7%에 그쳤다.


위 여론조사들의 결과는 현재 한국의 나이 셈법을 바꿔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국은 현재 일상생활에서는 세는 나이를 사용하지만 행정적으로는 만 나이와 연 나이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국민들이 느끼는 혼란이 늘고 있다. 이로 인해 불편함을 느낀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의 나이 셈법도 만 나이로 통일시켜서 한국식 세는 나이를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한국만 유일하게 세는 나이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외국인과 의사소통을 하거나 국제적인 서류를 작성할 때 혼란이 생긴다는 이유도 그 주장을 뒷받침한다.


반대로 한국식 세는 나이는 우리나라만의 고유문화일뿐더러 이미 오랜 관습으로 굳어진 한국식 나이를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면 국민들은 오히려 불편함을 느낄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볼 수 있다. 이를 폐지하게 되면 형, 언니와 같은 호칭이 애매해져 큰 혼란이 올 수 있다는 것이다.


매년 초마다 한국인들이 한 살을 먹게 됨과 동시에 한국식 나이 폐지에 대한 논란은 끊이지 않고 일어난다. 이에 대해 국민청원을 한 청원자들과 현재의 나이 셈법에 불만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실생활에도 만 나이와 연 나이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국민들의 의지뿐만 아니라 정부의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6기 김서진기자A]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정진화기자 2018.03.04 12:21
    제 생각에는 만 나이 대신 한국식 나이로 완전히 통합시키는 것이 더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우리나라의 여러 제도들이 한국식 나이를 기반으로 시행되고 있는 경우가 의외로 많거든요. 만 나이로 통합한다면 제도를 수정하는 등의 많은 과정들이 필요하여 비용과 시간도 만만치 않게 들 것으로 보입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1386121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1400565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822992
미래로 가는 길을 엿보는 현장 「2017 스마트 디바이스 쇼」 1 file 2017.08.16 윤혜슬 17697
미래를 그리다, 현재를 즐기다. 2017 서울모터쇼 오는 3월 31일 개막 1 file 2017.03.31 김홍렬 17664
미래를 내다보는 [KITAS 스마트 디바이스 쇼] 2017.08.17 유나경 19082
미래를 만나다, 울산과학제전! file 2017.05.27 권지민 17998
미래를 위한 도약, 서울환경영화제 file 2018.05.30 장서진 18538
미래를 이끌 사람은 바로 우리! 공주시 청소년 참여위원회 위촉식에 가다! file 2017.04.17 정가영 21933
미래를 이끌어 갈 창의적 인재는 누구? 4 file 2017.02.20 박민경 17085
미래의 꿈나무가 더 큰 미래의 꿈나무에게 ‘2017 신나는 과학 놀이마당' 7 file 2017.01.22 김민준 25153
미래의 성실납세자, 전국 청소년 세금문예작품공모전 참여하자! file 2017.03.26 한혜빈 22015
미래의 음악가들에게 꼭 추천해주고싶은 책들 3 file 2017.03.26 박윤서 20236
미래의 희망... file 2016.07.17 3기박준수기자 19981
미로탈출의 끝-<메이즈러너: 데스큐어> 5 file 2018.02.06 김나림 20917
미생물과의 끝나지 않은 전쟁 1 file 2020.09.08 홍채린 17304
미세먼지 해결 방법은 바로 너! file 2018.07.24 최영서 23077
미세먼지, 그 해결책은? 4 file 2017.04.02 박민경 19623
미세먼지, 치매를 유발할 수도 있다. file 2018.04.03 이유진 18263
미세먼지에 이은 오존주의보 1 file 2017.05.22 장예진 17252
미추홀도서관, 2022 多북多북 인천 페스티벌 10월 1일개최 file 2022.09.28 이지원 11020
민간 외교 사절단 반크 --- 거리로 나서다 1 file 2016.08.25 김은형 22001
민간 우주 관광 시대 개막…일반인은? 2021.07.23 민호윤 15841
민족 대명절 설 제대로 알고 보내자 13 file 2016.02.08 김상원 25031
민족의 혼이 담긴 서대문형무소역사관 1 file 2017.05.29 김미성 20733
민주주의의 꽃이 피워지기까지 file 2016.06.24 최원영 20204
민주화 운동의 역사를 되돌아보다 5 file 2017.06.21 김다빈 17642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인권 기록 주제로 '알쓸신잡 - 기록하다 편' 특강 마련 file 2022.06.21 이지원 16595
믿을 수 없는 대역전극! 3 file 2018.02.22 김수린 18763
밀려오는 인공지능, 우리가 가져야할 자세는? 1 file 2017.03.22 윤지현 18420
바나나 더이상 못 먹게 될 수도 있다? 1 2018.12.04 안종현 21030
바다를 옥죄는 플라스틱 쓰레기 2017.08.30 황혜림 18749
바다를 위한, 가치 있는 카약 타기 file 2021.09.28 최서연 14329
바다에도 돼지가 산다? 3 file 2017.08.13 남지우 18456
바다에서 올라온 서핑보드 file 2021.09.15 류태영 13546
바둑의 신, 알파고 file 2017.07.20 윤정원 17559
바람처럼 지나가버린 가슴아픈 그날, 경술국치일 2 file 2017.09.06 김나림 17210
바른말 고운말, 아름다워지는 청소년 언어문화 2014.07.27 정인영 28757
바쁜 일상이 시작되기 전 서울의 야경에 취해보자! file 2018.03.03 임진상 21043
바이러스가 항상 인류 곁에 있었다고? file 2020.08.31 박선주 17573
바이오 헬스케어 file 2017.07.24 신규리 17681
박상진 의사, 그는 누구인가 1 2017.12.04 김명빈 20938
박원순 서울시장,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기자들에게 축하 메시지 보낸다 file 2017.07.18 온라인뉴스팀 30116
밖에 못 나가는 지금, 책으로 여행 떠나기 2 file 2020.04.22 송준휘 17922
반도체 인쇄 걸림돌 '마랑고니 효과' 역이용해 반도체 성능 높이는 데 성공 file 2021.07.01 한건호 22072
반도체 패러다임의 변화? file 2021.03.22 이준호 20962
반려동물 1000만시대의 부작용, 유기동물의 아픔 7 file 2017.04.09 류서윤 20771
반려동물 천만가구 시대.., ‘펫티켓’ 필요할 때 file 2017.05.16 박현규 22048
반려식물 키우기로 '마음건강' 챙기기 7 file 2020.04.13 진효원 20382
반지 사이즈를 알고 싶다고? ‘링게이지’ 1 file 2020.07.03 손서연 22013
반지를 끼는 위치에 따라 다른 숨겨진 의미 8 file 2020.04.17 박서현 290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