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9시 등교] 상존하는 양면적 모순은 누구의 책임인가

by GenieThinker posted Sep 14, 2014 Views 2041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9시 등교, 상존하는 양면적 모순은 누구의 책임인가

김해외국어고등학교 1학년 박현진<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대한민국에서 학생으로 살아가기란 그리 쉬운 일은 아닌 것처럼 보인다. 새벽부터 일어나 아침밥도 제대로 먹지 못하고 덜컹거리는 버스를 타고 손에 쥔 영어 단어장을 보며 학교에 간다. 아침밥과 충분한 수면이 학생들의 공부에 도움을 준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두뇌의 인지능력을 향상시켜 학업 수행 능력에 긍정적 효과를 줌으로써 성적 향상에 기여한다는 연구결과들을 많이 접할 수 있다. 아무리 학생의 본분이 공부하는 것일 지라도, 학생들에게는 따뜻한 아침밥과 충분한 잠이 가장 기본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되어서 지난 9 1일부터 시작된 9시 등교에 경기도내 초··고교 2,250개의 93.6% 2,107개교가 하면서 많은 사람들 사이에 논쟁이 되고 있다.

가장 큰 논쟁은 아침밥을 먹고, 충분한 수면시간을 가지는 것이라는 본질적 취지를 9시 등교 제도가 잘 지키고 있느냐였다. 9시 등교를 시작한 지 2주가 된 날, 조사 결과를 분석해보니 9시 등교 이전과 별반 다를 것 없이 학생들은 아침밥을 먹지 않았고, 충분한 잠을 자지 못했다. 이는 대한민국 교육 현실의 악순환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 경기지역 학부모 대상 모바일 공동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경기도 학부모 다섯 명 중 세 명은 9 1일부터 실시하고 있는 ‘9시 등교에 대해 부정적 의견을 나타냈다. 수능에 맞춰서 신체 리듬을 만들기 까지 하는 학생들에게 있어서 등교시간과 하교시간의 조정은 번잡하고 버거운 일로 다가 왔다. 이 논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9 13일 오전 9시에 학부모 두분, 교사 두분, 학생 두 명과 함께 자유로운 인터뷰를 하게 되었다.

학생, 학부모, 교사 모두 찬성과 반대로 갈리었다. 그들의 의견을 정리를 해보자면 이렇다. 학생들은 우선 9시등교라는 것의 취지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자신들이 처한 교육환경과 사회 분위기 속에서는 이 제도가 궁극적 목적을 실현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입장을 드러냈다. 또한 시간이 금인 고등학생들에게는 경쟁구도의 입시제도 아래에서 조금이라도 시간을 아끼기 위해 잠을 줄이고, 부모님과 함께 등교하는 등의 전략들이 이미 자리 잡은 상황에서 많은 부담감을 준다고 생각하였다. 교사들은 아침에 자습을 하거나 보충수업을 할 당시에는 졸거나 집중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많았는데, 그 시간을 없애고 수업시간에 충실한 태도로 임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수능이 코앞으로 다가온 수험생들에게는 생체리듬을 맞추는 데 있어서 무리가 따른다는 입장을 밝히었다. 학부모들도 마찬가지다. 각자 가정의 상황에 따라 개인차가 있겠지만, 가장 고려하는 것은 학생들의 공부와 집중력이었다.

문제를 없애려고 만든 제도는 오히려 새로운 문제를 끌어왔다. 9시 등교는 일몰 후 하교를 가져왔고, 많은 학생들에게 자유라는 포장 안에 새로운 부담감을 담아주었다. 지금, 대한민국 학생들에겐 시간이 모자라는 것이 문제가 아니다. 사회에서는 학생들에게 너무 많은 것을 요구하고 또 기대한다. 어른들은 9시 등교라는 제도를 최선책이라고 생각하기 이전에 본질적으로 어떤 점이 대한민국 교육 현실에서 모순점을 가지고 있는가를 더 숙고해보아야 했다. 등교 시간이 늦춰 졌음에도 불구하고 아침밥을 먹지 않는 학생들, 잠을 보충하지 않는 학생들에게 그 모순점이 있는 것일까? 학생들이 아침밥을 먹는 것이 아니고 먹지 하는 것은 아닐까? 잠을 드는 것이 아니고, ‘드는 것이 아닐까?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467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134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5109
힘의 가치 2017.10.10 최지원 11846
희망을 주는 무료 급식소와 취약계층의 피해... file 2020.02.12 정다현 9778
흡연자와 비흡연자, 갈등은 담배 연기를 타고... file 2017.11.29 오태준 16638
흡연부스, 개선이 필요 합니다. 17 file 2016.02.25 최호진 29893
흡연, 줄일 순 없는 걸까? file 2020.08.03 이수미 9315
흔들리던 새벽, 우리도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 file 2020.01.06 정다은 11372
흉물속의 리그 file 2016.10.23 한종현 19963
휴가를 반기지 않는 반려견들 5 file 2016.08.11 임지민 16838
후성유전, 이것의 정체는? file 2018.10.22 여다은 13345
황교안의 선택... 그 방향은? 3 file 2017.02.18 최우혁 16028
황교안, 주목해야 할 보수진영의 대선주자 9 file 2017.02.22 김나현 19719
환영받지 못하는 종이 빨대, 이대로 괜찮을까? 4 file 2019.02.25 이하랑 18694
환경을 파괴하는 아보카도? file 2019.06.10 김예진 14444
환경영향조사 마친 나주SRF 결정은? file 2020.05.14 김현수 9235
환경실천연합회, 대기 환경 개선 위한 ‘대기를 살리는 청년들’ 서포터즈 모집 file 2022.06.13 이지원 6371
환경부의 층간소음 해결책..쓸모있나? file 2015.02.10 이광제 41090
환경 오염의 주범 일회용 컵, 정부가 규제한다 2 file 2018.09.11 이승은 15320
확진자 급등세에도 2달만에 봉쇄 완화하는 인도네시아 1 file 2020.06.30 오윤성 16001
화재는 언제, 어디서 일어날지 모른다 1 file 2020.09.22 정주은 11247
화재경보기가 울렸을 떄 2 file 2016.05.25 유승균 19693
화재 발생의 원인, 외장재 및 건물 구조가 영향 크게 미쳐 file 2018.03.01 정예현 19429
화장하는 청소년들 4 file 2016.04.24 신수빈 31132
화이트 데이 상술...소비계획 세워야 6 file 2016.03.20 이은아 19636
화성에 원숭이를? 3 file 2016.03.22 백미정 25320
화성 동탄신도시 센터포인트 몰 건물화재 발생, 현재 화재 진압 중... (속보) 6 file 2017.02.04 최민규 21881
화려했던 팬택, 역사 속으로 사라지다 3 file 2017.08.28 정용환 15420
홍콩의 외침, 송환법을 반대한다! file 2019.08.30 박고은 10881
홍콩, 자유를 지키기 위해 거리로 나가다 file 2019.09.02 선혜인 11619
홍콩 시위, 소녀는 왜 싸늘한 시신으로 돌아왔나 file 2019.10.21 박채원 12182
홍콩 국민들을 하나로 모은 범죄인 인도법 file 2019.06.21 이서준 16851
홍콩 국가보안법 발의 이후 변화,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21.09.28 이원희 7876
홍준표 정부·여당과 합의한 의료계에 "합의된 안의 지켜지지 않을 때 투쟁을 해도 늦지 않다" 3 file 2020.09.09 최성민 9998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 "또다시 갈등의 대한민국으로 들어갑니다." 2 file 2018.09.27 마민찬 11268
홍준표 32% 윤석열 25% ‘무야홍’ 실현되나 야권 대선주자 선호도 1위 역전한 洪 file 2021.09.16 이도형 8508
혼용무도(昏庸無道)인 대한민국, 필리버스터는 왜 등장했는가? 2 file 2016.03.01 최지환 19075
혼밥을 아시나요? 16 file 2017.02.19 민소은 20777
혼란스러운 부동산 문제, 부동산 특위의 해결방안은? file 2021.05.25 백정훈 8985
형광등 대신 LED가 선호되는 이유는? file 2019.03.05 심선아 13286
현실로 다가온 미래 기술 file 2019.04.22 박현준 16538
현대판 코르셋, 이대로 괜찮은가? 2 file 2019.02.22 문혜원 17336
현 러시아 연방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에 대해 알아보자 file 2022.01.11 오유환 7364
혁신학교, 시스템을 체계화 해야... file 2017.03.19 김영민 11871
헝다그룹, 유동성 위기 극복 기대난 file 2021.09.29 윤초원 7962
헛되지 않은 우리의 선택, 문재인 대통령 4 2017.05.25 성유진 12359
헌팅턴 무도병이란? 1 file 2020.08.11 이한나 11850
헌정사상 최초 현직 대통령 박근혜 탄핵! 1 file 2017.03.12 장인범 13508
헌정 사상 첫 대통령 파면, 이후 조기 대선은? 1 file 2017.03.10 최예현 13672
헌재소장 임명 부결... 문재인정부 사법개혁 '적신호' 1 file 2017.09.21 고범준 112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