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유엔 자유 대한민국을 위해 나서다

by 5기전보건기자 posted Aug 14, 2017 Views 1685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유엔의 6·25전쟁 참전 과정

유엔기.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전보건기자]

제1, 2차 세계대전 이후 유엔은 지구상에 다시는 전쟁이 일어나지 않으며 국제 평화를 유지할 목적으로 연합국을 중심으로 1945년 10월 24일 창설되었다. 국제 평화 유지와 회복을 담당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이하 안보리)는 북한의 기습남침으로 6 · 25 전쟁이 일어나자 미국의 요청으로 회의를 열고 대한민국을 지원하기 위한 결의안을 채택하였다. 이후 유엔 회원국은 자국의 군대를 한국에 파병함으로써 유엔 창설 이후 최초로 유엔 현장에 따른 집단안전보장 조치를 취하게 되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1차 결의

1950년 6월 25일 북한이 대한민국에 대해 불법적으로 무력공격을 감행하자 주한 미국대사 무초는 이 사실을 미 국무부에 보고하였다. 미국을 이를 유엔에서 해결하기로 결정하였다. 미국의 요청에 의해 유엔 안보리는 한국시간 6월 26일에 개최되었고 소련을 제외한 10개국이 회의에 참석하였다. 미국 대표가 제출한 결의안은 찬성 9표, 반대 0표, 기권 1표로 가결되었다. 유엔 안보리는 결의를 통해 북한 정권에게 즉각적인 전투행위 중지, 북한군의 38도 선 이북 철수를 권고하였다.

제 1차 결의문.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전보건기자]


트루먼 대통령의 참전배경

트루먼 대통령은 에치슨 국무장관으로부터 한국에서의 전쟁 상황을 보고받았다. 그는 북한의 남침을 방치하면 제3차 세계대전의 도화선이 될 뿐만 아니라 유엔의 평화정신과 존립이 위태롭게 될 것으로 판단하였다. 더불어 트루먼 대통령은 자유세계의 힘으로 공산세력을 단호하게 응징하며 나아가 유엔의 권위를 수호하겠다는 신념에 따라 한국 참전을 결정하였다.

-트루먼 대통령의 최초 조치

트루먼 대통령은 한국 사태가 심상치 않게 돌아가자 국방, 외교 관련 참모들을 소집하여 대책 회의를 주재하였다. 그는 한국에 조사단 파견과 한국이 요구한 미 해군과 공군을 지원하고, 대만 해협에 미 제7함대를 파견하라고 지시하였다. 특히 "미국은 유엔의 권위 아래 행동할 것이며, 미국의 철수를 보호하기 위한 군사행동은 제한할 것"을 강조하였다.

유엔 한국 위원단 보고.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전보건기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2차 결의

북한이 유엔 안보리 제1차 결의안을 무시한 채 전쟁을 계속하자, 한국시간 6월 27일(1950년) 유엔 안보리는 다시 회의를 개최하였다. 회의에는 소련 대표를 제외한 10개국이 참여하였다. 미국이 제출한 결의안은 8시간의 마라톤 회의 끝에 찬성 7표, 반대 1표, 기권 2표로 가결되었다. 유엔 안보리는 결의를 통해 유엔 회원국에게 "대한민국이 무력 침략을 격퇴하고, 그 지역에서 국제 평화와 안전을 회복하는데 필요한 원조를 제공하여줄 것"을 권고하였다.

2 차 결의문.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전보건기자]


유엔군사령부 설치 결의

유엔 안보리는 1950년 7월 7일 유엔 회원국의 군대를 통합 지휘하게 될 유엔군 사령부 설치에 대한 영국과 프랑스의 공동 결의안을 가결하였다. 결의안은 "유엔군 사령부의 설치 및 사령관의 임명권을 미국에 부여하고, 유엔기 사용을 승인한다."는 것이다. 이는 유엔이 국제 평화를 파괴하거나 침해하는 국가나 단체에 대해 최초로 무력을 행사할 수 있는 군사지휘기구를 설치했다는 점에서 중요했다.

미국은 7월 10일 맥아더 원수를 유엔군 사령관에 임명하였고, 맥아더 원수는 7월 24일 도쿄에서 유엔군 사령부를 창설하였다. 모든 유엔 회원국 군대는 통합하여 군사작전을 수행하였고 국군도 작전지휘권을 유엔군 사령관에게 이양함으로써 유엔군의 일원으로 싸우게 되었다.

유엔 군 결성.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전보건기자]

파병된 유엔 군의 모습

유엔 군 모습.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전보건기자]


참전국가와 지원국가


미국.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전보건기자]

6 · 25 전쟁에는 연합군이라는 이름과 함께 16개의 국가가 참전하였다. 가장 많은 병력을 지원한 미국은 1,789,000명이라는 거대한 규모의 육···군, 해병대를 지원하였고 33,642명의 전사자, 92,134명의 부상자를 기록하였다. 영국은 영연방 군을 편성하여 지원하였고 "형제의 나라 " 터키는 대규모 여단급 부대를 지원하였으며 필리핀은 아시아 국가 중 가장 먼저 참전하였다.

그 외에 남미의 유일한 참전국 콜롬비아, 캐나다, 호주, 태국, 네덜란드, 그리스, 에티오피아, 뉴질랜드, 프랑스, 벨기에, 남아공, 룩셈부르크가 전투부대를 파병하였고 또한, 인도,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이탈리아가 의료지원부대를 파병하였으며 일본, 이스라엘, 리히텐슈타인 등 39개국(파병국 제외)이 물자 및 재정을 지원하였다.


추모 동판.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전보건기자]

그들의 숭고한 희생

그들은 알지도 못하고 듣지도 못한 나라가 전쟁을 한다는 소식을 들었다. 동양에 있는 먼 나라에 자식과 친구, 애인을 오랫동안 어쩌면 영원히 보내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을 것이다. 군인들 또한 먼 타국에서의 전쟁에 대한 두려움을 가질 것이다. 그러나 전쟁이 일어난 지 이틀 만에 미국 참전, 나흘 만에 영국 참전, 그리고 일 년도 채 되지 않아 콜롬비아 까지 총 1,938,285명의 군인들이 참전하였다. 그들은 듣도 보도 못한 나라에 목숨을 걸고 왔다, 자유를 위해, 평화를 위해, 가장 공정하고 아름다운 민주주의를 위해. 그들은 누구보다 용기 있고 용맹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전쟁 후에도 세계에서 가장 못 사는 나라를 위해 우리가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그리하여 우리는 세계에서 손꼽히는 뛰어난 나라이자 원조를 제공하는 나라로 성장하여 우리가 받은 도움을 되돌려 주고 있다. 바람직한 모습이다. 그러나 우리는 자유 대한민국을 위해 싸운 그들을 종종 잊는다. 원조를 제공하는 모습도 매우 아름답지만 이러한 일을 하게 싸워주고 봉사해준 그들을 잊지 않고 감사한 마음으로 살아야 한다. 이 자리를 빌려 대한민국을 위해 희생하신 참전국, 지원국에 감사를 표합니다.

마지막.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전보건기자]


The names of UN forces soldiers killed in the Korean War inscribed on the wall liveth?

forevermore.

이곳에 새겨진 유엔군 전사자들의 이름은 영원히 살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5기 전보건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5기정용환기자 2017.08.20 01:14
    칼럼같은 기사네요.
    알던 사실에 대해 더욱 자세히 알게 되었어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61247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77695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992199
신고리 원전, 팽팽한 숙의민주주의·· 갈등의 끝은 존재하는가? 2017.10.23 조영지 12880
중국의 아픈 곳을 건드린 호주 왜 그랬는가 file 2020.12.28 김광현 12879
문재인 대통령 지지율 하락세 ... 그 이유는? 2018.08.22 고아름 12878
'기생충' 축하로 시작해 '코로나바이러스'로 끝난 수석·보좌관 회의 1 file 2020.02.14 김도엽 12876
인류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전 세계적 노력 file 2017.03.25 노태인 12873
사라지는 통일의 필요성.. 대책은 무엇인가 3 file 2017.08.17 김정환 12869
원전 찬반집회가 울산에서 열리다 2017.10.10 박채리 12865
누가 영웅을 쓰러뜨리려 하는가 3 file 2017.05.02 김수민 12861
좌파가 정말 몰락하고 있을까? - 대중영합주의에 대한 유럽의 반발 file 2017.03.21 신연수 12861
폐의약품 올바른 분리배출 방안, 사람들은 알고 있나? 2020.06.29 서지은 12851
세상에 진실을 알리는 우리의 목소리: 1365차 수요시위 2018.12.26 하예원 12847
국민이 선택한 19대 대통령 문재인 1 file 2017.05.17 김상원 12847
PB상품, 득일까 독일까? 4 file 2017.07.26 서주현 12846
‘디지털 성범죄’, 언제까지 솜방망이 처벌인가 1 file 2018.08.28 강수연 12840
남북 경제협력주, 안전한 걸까? 2 file 2018.05.25 오명석 12839
마음을 울리는 노란 나비, 국제사회로 '1295번째 날갯짓' 2 file 2017.08.11 김유민 12836
살충제 달걀 파동, 그 결과는? 1 file 2017.08.25 김민 12834
청소년, 권리를 외쳐라! - 'Be 정상회담' 성료 2 file 2017.10.23 김현서 12833
아직 종로에 남아있는 삼엄한 분위기의 잔재 file 2017.04.23 오주연 12831
위안부 할머니들의 눈물. 1 2018.01.22 서호연 12826
독도는 일본땅? 어이상실한 日 학습지도요령 해설서 논란 6 2017.06.30 김성미 12825
푸른 하늘에 뜬 노란리본, 세월호를 기억하다. file 2017.03.25 최윤선 12817
3년동안 끝나지 못한 비극 1 2017.09.28 윤난아 12816
제19대 대선 총 투표율 80% 못 미쳐… 77.2% 기록 4 file 2017.05.10 이가영 12816
한·중 통화스와프 연장 합의, 관계 개선될까? file 2017.10.20 박현규 12813
산업부 삭제된 ‘北 원전 건설’ 문건 공개...원전게이트인가? file 2021.02.05 이승열 12810
장·차관 세비 30%반납에 이어 국회도 반납 릴레이 1 file 2020.03.30 김다인 12809
하와이, 38분의 공포 4 file 2018.01.22 전영은 12809
교칙, 은근한 차별과 편견... 1 file 2018.10.18 유하늘 12807
기다리던 탄핵 봄이 다가오고 있다. 1 file 2017.03.12 김윤정 12802
다시금 되새겨 봐야하는 소녀상의 의미 file 2017.03.26 박서연 12801
더 이스트라이트 폭행사건, 결국 계약해지까지... file 2018.10.29 박현빈 12795
작지만 큰 그녀들의 외침 4 file 2018.07.26 김하은 12793
[속보] ‘포항 지진' 여파로 수능 연기… 23일 시행 2017.11.15 디지털이슈팀 12789
'세월호 기억의 벽'을 지켜주세요 2 file 2020.01.17 하늘 12786
시리아 미사일 공격? 그래, 미국은 좋겠지. 그러면 타국은? file 2017.04.29 김유진 12783
유가족의 간절한 기도, 떠오르는 세월호 1 file 2017.03.25 김수희 12774
GM 군산공장 폐쇄, 그 속내는? file 2018.03.02 백다연 12766
미투의 끝은 어디인가 file 2018.08.02 박세빈 12762
국정교과서, 앞으로의 운명은? 2 file 2017.03.27 유희은 12760
젊은 층이 관심을 두는 투자, 비트코인은 건강한 투자인가? file 2021.03.30 조민서 12757
한반도에 봄이 온다 1 file 2018.05.02 강예진 12753
세월호 희생자들 이제 보내드리자 2 file 2017.05.11 김지민 12752
지방의회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9.02.08 이남규 12751
백악관에서 출입금지시킨 CNN기자 백악관 귀환 file 2019.01.07 강신재 12749
美 관세와 폭풍 같은 세계의 반응 1 file 2018.08.06 노시현 12749
최저임금, 청소년들은 잘 받고 있을까? 2 2018.09.17 박세은 12748
해외 거주 가족에게 마스크 묶음 배송이 가능해지다? 3 file 2020.04.09 이윤우 1274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