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우리가 류샤오보를 기억해야 하는 이유

by 6기박우빈기자 posted Jul 18, 2017 Views 114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7 7 13. 중국의 인권운동가인 류샤오보(劉曉波 | Liu Xiaobo) 6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이 사람을 사람들이 기억하는 이유는 중국의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기도 했지만, 중국 민주화 운동을 위해 열심히 노력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류샤오보는 1955 12 28일 지린 성 장춘에서 태어났다. 지린 대학 중문과를 나온 그는 이후 베이징 사범대를 거쳐 뉴욕의 컬럼비아 대학의 버나드 컬리지에 방문 학자로 일하게 되었다. 그는 문학을 전공했으며 미학과 인간의 자유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까지 받았다.

1989 6 4, 중국에서 톈안먼 사태가 발생했다. 중국의 학생, 노동자, 시민 등이 민주화를 요구하며 톈안먼 광장에서 대규모 시위를 벌인 사건이다. 이때 정부에서는 계엄령을 선포하고 탱크 등 각종 무기를 동원해 시위 진압을 했다. 이 사건이 일어나자 미국에서 방문 학자로 일하고 있던 류샤오보는 바로 중국에 돌아와 톈안먼 사태에 동참하게 되었다. 당시 중국에서 류샤오보를 포함한 4명을 4군자라고 불렀는데, 저우둬, 류샤오보, 허우더젠, 가오신이 그들이다.

이후 류샤오보는 체포되어 유죄 선고를 받지만 톈안먼 사건 당시 대규모 유혈사태를 막으려 했다는 그의 공적이 인정되어 바로 사면된다. 하지만 그가 다시 감옥을 가게 된 것은 한참 후인 2008년이었다. 2008 12 10일은 유엔의 세계인권선언 기념일이었다. 이 뜻깊은 날에 그는 중국의 톈안먼 사건이나 문화대혁명같은 독재 정권 치하에 일어난 민간인 학살 사건을 비판하고 이런 사건이 다시 일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통치 체제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하려고 했다. 이 헌장이 바로 [08헌장]이다. 하지만 그는 이 헌장을 준비하다가 발각되어 국가정권 전복선동혐의로 징역 11년을 살게 된다. 이후 류샤오보는 중국의 인권을 위한 운동을 했다는 평가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기는 했으나 아직도 류샤오보는 감옥에 갇혀 있었다. <08헌장>의 이름이 <08헌장>이 된 계기가 된 [77헌장]을 작성한 체코슬로바키아의 초대 대통령 바츨라프 하벨은 사람들을 모아 류샤오보의 석방을 청원하였다. 참고로 [77헌장]은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일어난 반체제 운동을 상징하는 문서이다. 유럽의 중국학회 또한 36개국의 학자 800명의 서명을 담은 서한을 후진타오 당시 중국 국가 주석에게 전달했으나 중국에서는 내정간섭이라며 강력하게 반발하였다. 결국 노벨 평화상 수상은 류샤오보 없이 진행되었다.

류샤오보는 간암 말기 판정을 받고 가석방돼 치료를 진행하다 다발성 장기 기능 상실로 세상을 떠났다. 이에 류샤오보가 이렇게 병으로 죽게 내버려둔 중국 정부에 대한 비판이 생겨나고 있다. 그렇다면 왜 류샤오보가 병에 걸린 것이 중국 정부의 책임도 아닌데 그들이 비판을 받는 것일까? 지난 5월 간암 말기 판정을 받고 난 후 류샤오보는 유럽이나 미국에 가서 치료를 받고 싶다고 강력하게 요구했으나, 중국은 그의 말을 들어주지 않았다. 이후 독일과 같은 유럽 국가들과 국제기구, 인권 단체, 미국 등 많은 사람들이 그를 도와주기 위해 애썼다. 역대 노벨상 수상자 154명이 나서 류샤오보와 그의 아내인 류샤를 미국에서 치료받게 해주자며 중국 정부에 요청했고, EU, 미국 등 많은 국가들과 단체에서 그를 돕기 위해 노력했지만 중국 정부에서는 "중국 사법기관이 수감자의 각종 권리를 법에 따라 보장하는 만큼 다른 국가는 중국 사법주권을 존중하고 내정에 간섭하지 말길 바란다"며 그들의 의견을 들어주지 않았다.

이런 사건은 결국 중국이 아직 완벽한 민주화를 해내지 못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중국인도 아닌 우리가 그를 기억해야 하는 이유는, 그가 단순한 중국의 애국자가 아닌, 중국의 민주화를 위해 노력한 사람이고, 그가 살아온 행적과 발자취가 우리나라의 민주화 운동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언젠가는 중국도 우리나라와 같이 완전한 민주화를 이룰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사람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우리는 그를 기억해야 한다.


그림1.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박우빈 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4기 박우빈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이지현기자 2017.07.23 10:52
    이 기사를 통해서 류샤오보라는 분에 대해 알게되었어요. 그리고 중국과 우리나라의 민주화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해 보게 된 것 같네요. 개인적으로 나라의 민주화는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한 개인이 나라의 민주화를 위해 나섰다는 것에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우리나라도 민주화의 역사가 길지 않은 편이라 아직 확실히 자리 잡히지 않은 것 같은데 더 완전히 민주화를 자리잡게하기 위해 노력을 계속 해야 할 것같다는 생각을 이 기사를 읽고 하게 되었습니다.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4기이지현기자 2017.07.23 10:52
    이 기사를 통해서 류샤오보라는 분에 대해 알게되었어요. 그리고 중국과 우리나라의 민주화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해 보게 된 것 같네요. 개인적으로 나라의 민주화는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한 개인이 나라의 민주화를 위해 나섰다는 것에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우리나라도 민주화의 역사가 길지 않은 편이라 아직 확실히 자리 잡히지 않은 것 같은데 더 완전히 민주화를 자리잡게하기 위해 노력을 계속 해야 할 것같다는 생각을 이 기사를 읽고 하게 되었습니다.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4기박민서기자 2017.07.25 00:19
    류샤오보의 생애와 중국의 문제점을 잘 분석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급속한 성장을 이룬 중국도 이러한 문제점은 개선이 필요할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388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047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4147
선거 연령 하향의 효과와 우려 7 file 2017.05.31 김지민 26941
사드 아직 끝나지 않은 3 file 2017.05.30 김도연 12110
새 정부의 5.18 4 file 2017.05.30 이주현 10670
아리아나 그란데, 맨체스터 아레나 공연 중 테러 7 file 2017.05.30 서주현 12532
미세먼지, 이렇게 계속 안심하고 있어도 되는가? 2 file 2017.05.30 김보경 10217
조금은 특별했던 장미대선, 투표율은 어땠을까? 2 file 2017.05.29 정경은 11514
5대 비리 고위공직 원천 배제 공약 위배 논란, 그것이 알고 싶다. file 2017.05.29 4기박소연기자 12067
강경화, 문대통령의 5대 인사원칙 무시하고 외교부장관 되나 file 2017.05.28 천세연 12070
문재인 시대, 새로운 외교부 장관 후보 강경화 3 2017.05.28 김유진 14054
괘씸한 일본… 일본의 역사 수정주의 file 2017.05.28 남희지 14137
당연하게 된 사교육, 원인은? 3 file 2017.05.27 김혜원 14501
문재인 대통령의 주황색 넥타이··· 독도가 우리나라 땅인 이유는? 3 file 2017.05.27 이다호 10949
한류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한령 2 file 2017.05.26 유수연 12178
2017 대선의 숨은 모습을 찾다 file 2017.05.26 구성모 10663
같은 하늘, 같은 시간, 다른 곳에서 2 2017.05.25 류지현 13014
문재인 대통령, 국민의 바람 이뤄줄까 file 2017.05.25 서은주 12453
참정권 없는 청소년, 또 한 번의 권리개혁 이루어질까 1 file 2017.05.25 최유진 15426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8주기,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file 2017.05.25 임재우 12938
민주주의 대한민국의 한 줄기 빛이 되어줄 그대 2 file 2017.05.25 김재원 10508
J노믹스의 경제인은? file 2017.05.25 김찬 10423
외감법 개정, 때로는 엄격하게 때로는 자유롭게 file 2017.05.25 홍은서 10439
문재인 정부의 대북 정책, '달빛 정책' file 2017.05.25 최서진 11318
헛되지 않은 우리의 선택, 문재인 대통령 4 2017.05.25 성유진 12350
치열했던 선거 경쟁, 이후 후보들의 행적은? 2 file 2017.05.25 정유림 10289
선거연령 하향, 이제는 시작될 때 3 file 2017.05.24 김혜빈 12646
‘만 18세 선거권’, 그 양날의 검 2 2017.05.24 김윤혁 12920
청천 프로젝트: 한중 공동의 미세먼지 해결법 2 file 2017.05.24 임형수 12286
1270차 수요집회-1270번째 대답없는 메아리 2 2017.05.24 이하은 10573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발포명령자들 file 2017.05.24 박민서 9820
제19대 ‘문재인 대통령’에게 바란다 1 file 2017.05.24 김소희 10529
제25대 프랑스 대통령, ‘마크롱’그가 내세운 공약은? 1 file 2017.05.24 최현정 11505
'소프트 타깃' 테러 언제까지 이어질까 file 2017.05.23 유규리 11207
트럼프 역대 최저 지지율, 등돌리는 여당 지지자들 1 file 2017.05.23 장진향 10144
문재인 정부 15일, 야 4당의 자세는? file 2017.05.23 박찬웅 10247
문재인의 대한민국 file 2017.05.23 최우혁 10482
북한인권법은 미국의 정치적 카드? 2 file 2017.05.23 김윤혁 11034
제임스 코미의 해고 사건, 트럼프에게 위협적인 존재? file 2017.05.23 류혜원 10494
SBS, 또 터진 일베논란 3 file 2017.05.22 추연종 15859
한중관계, 깊어지는 감정의 골 1 2017.05.21 유승균 11088
문재인 대통령이 지켜야 할 경제 공약들 file 2017.05.21 박민우 9331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모두가 행복할 변화인가? file 2017.05.21 한윤정 10982
10대 청소년, “우리를 위한 정책은 어떻게 만드나요?” 2 file 2017.05.21 홍세영 9868
19대 대선의 여담 2 file 2017.05.21 강민 10550
19대 대선, 대한민국의 미래 file 2017.05.20 이동준 10467
끈임 없이 존재하는 지역별, 세대별 투표 경향성에 대하여 file 2017.05.20 안준혁 11034
청소년에게 듣는 '19대 대선과 대한민국' 1 file 2017.05.20 박상민 10766
국정 교과서 논란, 무엇이 옳은가 file 2017.05.20 박하영 10333
5·18 퍼지고 있는 거짓들 7 2017.05.19 김형주 1046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