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한국, 디지털화 수준 60개국 중 7위…"성장성은 49위에 그쳐"

by 온라인뉴스팀 posted Jul 17, 2017 Views 1094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마스터카드, 미국 터프츠대 플레처스쿨과 ‘2017 디지털진화지수’ 발표 
한국, 현재 기준 디지털 수준 높지만 최근 10년 성장속도 더뎌… ‘정체군’ 단계 분류

마스터카드가 미국 터프츠대 플레처스쿨과 공동으로 조사한 ‘2017 디지털진화지수(Digital Evolution Index 2017)’를 17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60개국의 디지털 경제 발전 정도와 온라인 연결성 등을 총 170개의 지표를 활용해 측정한 결과다. 

3698601005_20170717085313_9648819794.jpg

[이미지 제공=마스터카드, ⓒ마스터카드]

이번 조사에서 한국은 높은 수준의 디지털 변혁을 경험했지만, 앞으로 더욱 성장할 수 있는 동력이 부족한 국가로 진단됐다. 현재의 디지털진화지수는 조사 대상 60개국 중 7번째로 높았다. 하지만 2008년부터 2015년 사이의 디지털 변혁 속도를 기반으로 미래 성장 가능성을 측정한 순위에서는 49위에 머물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은 미국, 캐나다, 호주, 네덜란드 등 대부분 서구 선진국들과 함께 ‘정체’ 단계에 속했다. 

◇각 단계별 국가 분포 
우월군(Stand Out): 싱가포르, 영국, 뉴질랜드,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이스라엘 등 
정체군(Stall Out): 한국, 미국, 캐나다, 네덜란드, 호주, 노르웨이, 스웨덴 등 
잠재군(Break Out): 중국, 케냐, 러시아, 인도, 말레이시아, 필리핀, 인도네시아 브라질 등 
부진군(Watch Out): 서아프리카, 페루, 이집트, 그리스, 파키스탄 등 

마스터카드와 플레처스쿨은 조사 결과 리포트를 통해 현재의 디지털 진화 수준이 향후 미래의 성공까지 보장하지는 않는다며 혁신에 얼마나 개방적이고 지원을 아끼지 않는지가 국가의 미래 성장을 결정짓는 결정적 요인이며, 정체 단계에 속한 국가들은 디지털 경제에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추가적인 혁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또한 국가별로 디지털 신뢰 수준을 평가했다. 디지털 경제와 관련한 실사용자의 경험이나 수용 방법, 국가 및 당국의 정책 방향 등을 통해 소비자들이 디지털 경제를 얼마나 신뢰하고 있는지를 가늠한 결과다. 한국은 당국의 정책이나 규제적 요소 등을 평가한 환경, 소비자의 디지털 경제 신뢰수준 등을 분석한 경험 등 카테고리에 조사 대상 42개국 중 8위와 3위를 각각 기록했다. 

아제이 발라 마스터카드 글로벌 엔터프라이즈 리스크 및 보안 부문 회장은 “첨단 기술은 경제를 발전시키고 모두의 삶을 더 윤택하게 만들 수 있지만 이 같은 성장은 건전한 디지털 생태계에 대한 신뢰와 확신이 있을 경우만 가능하다”며 “현재의 연결사회에서 신뢰와 보안은 디지털 발전의 중추적인 요소”라고 말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온라인뉴스팀

korea@youthpress.net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463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129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5068
서울여중, 활기 찬 봄의 향연 속 백일장/사생대회 실시 1 file 2015.05.21 변유진 29342
[현장취재]25개국 90가지 음식을 맛볼수 있는 행사, '제 7회 성북세계음식축제' 2 file 2015.05.17 박성은 24752
[단독]대구황산테러사건 '태완이법' 4월 임시국회 통과 불발 1 file 2015.05.06 김종담 26302
학생들이 '직접' 진행하는 어린이날 행사열려 3 file 2015.05.05 박성은 30140
[단독]탈핵을 위한 청소년들의 9박 10일간의 일주, 성공리에 마쳐 2 file 2015.04.30 김종담 25774
대한민국의 미래, 청소년들은 실질적인 정치교육을 받고있는가? 5 file 2015.03.25 이원지 30714
다시 재현 된 우리 민족의 역사, 전주 3·13 만세운동 file 2015.03.25 김진아 31226
2018년 초,중,고 수학시간 계산기 사용 허용 file 2015.03.19 최재원 33446
손목만 잡아 당긴 것은 성추행인가 file 2015.03.19 김동욱 31683
학생의 안전을 위협하는 골프장 건설 4 file 2015.03.17 김다정 29475
[현장취재] 나눔의 참뜻을 배울 수 있었던 지난 2개월, 그 끝을 함께 장식하다 1 file 2015.03.03 최윤정 23789
고양시 어린이, 청소년 공모사업 심의 현장 file 2015.03.02 서다예 24258
저렴한 가격에 교복사고 사랑을 나눠요! 3 file 2015.02.26 김민주 32428
반려동물에서 한순간에 유기동물로..대한민국 유기동물의 현주소 1 file 2015.02.26 신정은 27027
졸업식 현장 그곳을 취재하다. 2 file 2015.02.26 이도경 29889
[취재파일]대구황산테러사건 16년, 그리고 태완이법 file 2015.02.25 김종담 35720
2015년, 마침내 해방을 이루다 3 file 2015.02.24 황혜준 41626
세상에 사랑을 퍼뜨릴 홀씨 서포터즈, 그 발대식 현장으로! 2 file 2015.02.23 김다윤 32674
가사 소송법 24년 만에 전면 개정 추진, 미성년 자녀의 권익 보호된다 1 file 2015.02.21 김동욱 23421
환경부의 층간소음 해결책..쓸모있나? file 2015.02.10 이광제 41090
학생들을 위한 교육시스템이 정착되길 바라며... 2 2015.02.08 홍다혜 24793
[현장취재] 고등학생, 미래를 거닐다. 2015 YDMC 전공탐색의 날 열려...... 1 file 2015.02.07 최재원 27371
[현장취재] 서울의 관광안내소는 오늘도 움직인다 8 file 2015.02.07 최윤정 30416
대체 그 '9시'의 의미는 무엇인가 2 2014.10.30 이민지 23051
2014 제10회 골목골목 festival (마을 축제) 열리다. file 2014.10.19 권지영 23798
누구에 의한, 누구를 위한 9시 등교인가 2014.09.30 권경민 25307
9시 등교, 확실한가 2014.09.29 오선진 26078
과연 9시등교 좋은 것일까 안 좋은것일까? 2 2014.09.27 김민성 26809
9시 등교, 갈등의 기로에 있지만 보안한다면 최고의 효과 2014.09.25 김신형 26819
일찍 일어나는 새만이 모이를 먹을 수 있을까 2014.09.25 조윤주 22402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21357
지켜보자 9시 등교 2014.09.25 김예영 20505
9시 등교는 꼭 필요하다!! 1 2014.09.25 김영진 21107
‘9시 등교’로 달라진 일상에 대한 작은 생각 2014.09.25 이주원 22680
9시 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가 file 2014.09.25 이지원 26318
9시 등교를 원하세요? 2014.09.25 명지율 23311
교육현실 그대로....등교시간만 바뀌었다! 2014.09.25 명은율 22606
양날의 검, 9시 등교 2014.09.25 김익수 21151
9시 등교, 새로운 제도를 대하는 학교의 방법 2014.09.25 최희수 19727
9시등교 과연 옳은것일까 2014.09.25 이지혜 22712
9시 등교, 당신의 생각은? 2014.09.25 김미선 22355
학생들을 위한, 9시 등교제 2014.09.24 권지영 23712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9232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9072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20245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9271
2%부족한 9시등교 2014.09.24 이효경 21280
아침밥 있는 등굣길 2014.09.24 최희선 192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