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사회 풍자의 정석, 동물농장을 읽다.

by 4기박소이기자 posted Apr 14, 2017 Views 217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17880519_1787012761627962_3549165132225293809_o.jpg

 사회 비판의 기능을 해야할 "신문" 위에 놓인 사회 풍자 소설 "동물농장"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박소이 기자]



 매너 농장의 주인 존스는 농장의 동물을 이익을 위한 수단으로 취급, 최소한의 먹이로 연명시키며 부려먹는다. 당시 여느 농장들과 별다를 게 없었지만, 어느 날 메이저 영감(책의 후반부를 읽으면, 그가 마르크스를 상징함을 알 수 있다.)이라는 돼지의 연설을 시작으로 동물들의 반란이 일어난다. 그들은 농장주 존스를 내쫓고 자신들끼리의 삶을 영위해 나간다. 동물 7계명을 정해 모든 동물이 그를 따르도록 하며, “네 다리는 좋고, 두 다리는 나쁘다”라는 좌우명도 정한다.


 그러나 존스의 아래에서보다 풍요롭고 행복했던 시간은 금세 지나갔다. 대신 나폴레옹과 스노볼이라는 돼지들 사이의 갈등이 발생, 스노볼이 쫓겨나는 참사가 벌어진다. 스노볼이 나폴레옹에 의해 쫓겨난 날부터 동물 농장 내의 독재 정치가 시작된다. 여기서 스탈린의 상징인 나폴레옹과 그에 의해 살해당한 트로츠키를 나타내는 스노볼의 갈등과 그 결말이 드러나며, 작가는 본격적으로 러시아 혁명과 스탈린을 풍자, 비판한다.나폴레옹이 몰래 키워온 아홉 마리의 개들은 동물들(민중들/국민들)을 억압하는 비밀경찰을 나타내고 양들은 멍청하지만 목청이 좋아 선전대의 역할을 한다. 또한 나폴레옹의 측근이자 성실하고 우직한 일꾼 말은 당시 피지배 계층인 프롤레타리아 계급을 상징한다.

 그렇게 나폴레옹의 독재 정치 아래서 고생스러운 날들을 버텨내던 동물들의 세대는 점차 교체되고, 독재 이전의 생활을 기억하는 동물은 거의 남지 않게 된다. 또한 돼지들은 점점 더 기고만장 해져 두 다리로 걷는 연습을 하고, 인간의 복색을 하며 인간과 적극적 교류를 해 나간다.



이 책을 읽는 동안 독자는 꽤 여러 번 독서를 멈추게 될지도 모른다. 날카롭게 들어오는 비판의 문구나 씁쓸하게 체감하는 현실의 무게가 실린 문장들이 자연히 책장을 넘기던 손을 붙잡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밖에서 지켜보던 동물들의 눈길은 돼지에게서 인간으로, 인간에게서 돼지로 분주하게 왔다 갔다 했다. 그러나 어떤 것이 어떤 것인지, 사람이 돼지인지 돼지가 사람인지 분간할 수가 없었다.“라는 문단의 경우 소설의 마지막 부분에 등장하며 직접적으로 돼지와 인간을 동일시 한 표현이다. 방금 화합의 건배를 하고서도 별것 아닌 일로 금세 싸우며 아우성치는 모습과 탐욕스러운 돼지의 모습들 모두 인간을 묘사한 듯해 씁쓸하면서도 뇌리에 남게 만드는 부분이다.


한편, 상당히 많은 이들이 이 소설의 주제 의식을 직접적으로 드러낸다고 말하는 문장인 “모든 동물은 평등하다. 그러나 몇몇 동물은 다른 동물보다 더욱 평등하다.”라는, 사회주의의 부정적 변질을 드러내는 문장 또한 현실을 되새김질하게 만든다. 평등사회가 실현되었다고 하나, 실질적 불평등이 남아있고 잠재적인 차별이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는 암울한 현실을 너무나 잘 나타내는데, 당시 러시아뿐만 아니라 현재 우리 사회가 떠오르게 만들기까지 한다.


 동물농장을 단순 소설로 보고 읽으면, 동물들이 단합해 인간의 농장을 빼앗고 독자적으로 운영, 심지어 번영해나가는 현실성 없는 이야기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 당시 시대 상황을 떠올려보면 작가가 러시아의 독재 정치와 그 중심인 스탈린을 강하게 풍자하고 비판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 동물들에 계급이나 인물을 대입하며 읽다 보면 훨씬 흥미롭고 감명 깊게 그 내용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조지 오웰은 이 소설에 “내 평생에 피땀을 쏟아부은 유일한 작품”이라는 평을 남겼는데, 인간의 현실을 동물로 의인화하여 보다 가볍게 보여주면서도 심오하고 뜻깊은 내용을 잃지 않았다는 점에서 충분히 그런 호평을 받을 만 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조지 오웰이 표현한 농장의 풍경이 현대 사회와 상당 부분 비슷한 양상을 띄는 점이 놀라움과 안타까움을 느끼게 될지도 모른다.



 조지 오웰이라는 작가에 대해, 그리고 그의 다른 작품들에 대해 더 탐구하고 싶은 생각이 든다면 1984 등과 같은 그의 다른 걸작들에도 시도해보는 게 어떨까?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 _ 4기 박소이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0735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7903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1289
파이썬 개발자들의 모임의 장, 파이콘 2017 컨퍼런스 file 2017.05.24 임수진 21825
과천과학관 방문기 1 2017.11.24 안정민 21814
놀이기구 속의 숨은 과학 1 2017.07.04 장민경 21810
[일본 관서지방 여행기] pt 3 교토 (2) 2 file 2017.02.22 박소이 21810
여성, 페미니스트에 대한 설문조사 5 2018.06.14 김서현 21803
도자기 속에 숨겨진 '독', 이제는 밝히겠다. 2018.04.05 유민울 21802
새로운 팬덤 문화의 시작, '아미피디아' 4 file 2019.04.03 김여진 21767
자장면?짜장면! 짜장면의역사를 알아보자! <짜장면박물관> 2018.10.29 심화영 21765
제63회 백제문화제, 공주와 부여에서 열려 file 2017.10.31 백지연 21761
베트남 사파를 아시나요? file 2020.01.14 정다솜 21728
한국 외교의 발자취가 담긴 외교사료관에서 외교관의 꿈을 키워보자! file 2019.02.11 이채빈 21727
일본 오사카 성의 화려함 뒤에 감춰져 있는 우리는 모르는 역사 file 2018.12.03 이수영 21724
'패드립', 도대체 왜? file 2016.07.31 박채원 21718
사회 풍자의 정석, 동물농장을 읽다. file 2017.04.14 박소이 21710
집 앞의 숨은 촬영 명소, 부산 동구 12 file 2016.02.24 이민지 21686
공포의 이안류, 갑자기 떠내려가... 5 file 2017.08.06 송가현 21681
서울역사지킴이, 새싹들에게 일월오봉도를 알리다 4 file 2017.01.24 박수연 21659
현대자동차 ‘코나 일렉트릭’ 출시, 전기차의 장단점은? 3 file 2018.04.25 김성백 21648
우리가 축제를 만든다고! <제5회 이천시청소년연합축제> file 2019.05.16 현승필 21637
일본군‘위안부’ 할머니들의 이야기를 담은 ‘마리몬드’ 5 file 2017.01.23 강예원 21630
생명이 살아 숨 쉬는 갯벌 속으로 ‘2019 고창갯벌축제’ file 2019.06.25 조햇살 21623
농업선진국을 향한 도약, 스마트팜(smart farm) file 2017.03.18 오지현 21611
개소리를 알아듣는 방법, 카밍 시그널 file 2017.08.27 김수현 21590
몽골, 이토록 아름다운데 한 번쯤은 가봐야 하지 않겠어? 2 2020.01.22 조하은 21580
1인 미디어 수익 기부, 이런 BJ도 있어요! 4 file 2017.03.05 정서희 21573
"문복아 췍길만 걷자", "어차피 우승은 장문복" 화제의 인물 장문복 1 file 2017.03.22 김다정 21569
“아임 파인 땡큐 앤 유?” 영어가 배우고 싶은 도깨비 할매, <아이 캔 스피크> file 2017.11.09 박세진 21561
달콤한 초콜릿의 유혹... 이겨낼 수 있을까? 14 file 2016.02.15 신경민 21549
일명 '픽미 세대'의 살아남기 경쟁 속 희망 '청년창업 지원정책' 11 file 2017.02.21 이현주 21526
모드리치, 호날두·메시 시대의 막을 내리다. file 2018.10.01 전도헌 21519
3·1절을 맞은 온양온천전통시장의 풍경 2 file 2016.03.02 이지영 21506
함께 만든 100년 함께 만드는 미래 file 2019.03.13 이서진 21491
땅 파서 버는 돈, 비트코인 file 2017.04.03 장혜련 21483
軍과 함께하는 '2017 원주 다이내믹 댄싱카니발' 개막 1 2017.10.09 김혜원 21470
세계 난민의 날- 세계 난민 현황 1 file 2016.06.22 노태인 21463
일상생활에 활용되는 과학 원리, 내부 저항값 측정으로 확인하는 배터리의 상태 2020.11.02 신찬우 21432
교육 기술의 모든 것을 한곳에서! 2017교육박람회(EDUTEC) 9 file 2017.01.21 노유진 21432
진로에 고민이 많은 10대를 위한 꿈수레 전공체험박람회 8 file 2017.02.04 이현지 21427
도심 속 환경으로, 서울환경영화제(SEFF) file 2018.05.31 박선영 21419
'어른이'들을 위한 한강 놀이터 2 file 2017.08.27 강유진 21410
탈북 여대생 박연미, 전 세계를 대상으로 북한의 실상을 드러내다 file 2019.06.19 이승하 21392
우리 아이들의 미래, 이젠 노란 신호등이 지킨다. file 2017.09.01 안소희 21378
국내 바다가 지겹다면 대마도 미우다 해변으로! 1 file 2017.09.05 이지원 21374
오감만족 1박2일부산여행코스 10 file 2016.02.22 문근혜 21369
'내 꿈을 소리쳐!' - 제8차 청소년 연설대전, 막을 올리다 file 2017.07.25 홍정민 21361
왜 가을 하늘은 높고 푸를까? 1 file 2017.10.18 김나경 21352
송도, 유튜버들의 집합소가 되다 file 2019.09.23 김민진 21346
카카오프렌즈 뮤지엄에 가다 9 file 2017.01.15 임수연 213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