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다수를 위한 소수의 희생?

by 4기추연종기자 posted Mar 14, 2017 Views 2106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북한은 연평도 포격사건, 천안함 사건 등 끊임없는 도발과 각종 미사일 발사체 실험으로 위협을 가해오고 있다. 정부는 이에 'THAAD' (이후 사드) 즉 사드를 성주에 배치하여 북한의 도발에 대응하고 핵 공격에 대비하겠다고 2016년 7월 발표했다. 이에 성주 시민들은 반대했으나 정부는 사드 배치 장소인 성주골프장 주위에 철조망을 둘러 접근하지 못하게 막았다.

한국의 사드 배치 발표 후 중국, 러시아에서 한반도의 사드 배치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강하게 밝혔다. 중국은 한한령(限韓令) 즉 한류 제한령이라 하여 K-POP, 한국 제품 수입 제한, 전세기 운항 금지 등 사드 배치 반대에 대하여 한국을 강하게 압박했다. 그렇다면 왜 중국이 이렇게 강하게 사드 배치에 반대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사드는 미국에서 개발한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로 대기권 내의 성층권과 전리층 사이에서 탄도미사일을 요격한다. 사드는 "Hit-to-kill"이라는 방식으로 탄도미사일을 요격하는데 이는 요격체가 직접 탄도미사일에 부딪쳐 파괴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핵과 화학탄 등을 탑재한 탄도미사일 요격에 가장 좋은 방식이라고 하는데 그 이유는 엄청난 운동에너지로 탄도미사일의 탄두를 완전히 파괴하여 파편으로 인한 피해, 핵이나 화학물질로부터의 2차 피해를 크게 줄여주기 때문이다. 사드의 미사일 탐지거리는 600~1800km 정도로 북한은 물론 중국과 러시아까지 탐지할 수 있다. 요격 가능한 사거리는 200km로 미군기지가 있는 평택, 군산까지 요격할 수 있다.

이는 북한의 공격에 방어할 수 있는 좋은 무기이지만 동북아시아에서의 미국의 군사력이 증가할 뿐더러 중국, 러시아 입장에서는 자신들의 군사작전범위가 미국의 감시하에 들어가기 때문에 사드 설치를 달가워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에 한.미는 중국의 반발을 우려하여 탐지거리가 600km로 축소된 사드를 배치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나 중국은 레이더 탐지거리는 사실상 식별이 불가능하고 북한의 위협으로부터의 방어범위를 훨씬 넘어섰을 뿐 더러 미국의 군사 위협은 북한에 효과가 없고 오히려 역효과로 북한을 자극하여 더 상황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a33f1086bf87e7fb26f6ce550e81abad.jpg
[이미지 제공=평화뉴스 http://www.yonhapnews.co.kr]'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사드 배치장소인 성주골프장은 롯데 소유의 부지로 국방부가 롯데로부터 매입 후 지역 주민들에게 알리지 않고 바로 공사를 시작했는데 이에 3월 1일 400여 명의 성주 시민들은 시위하며 성주골프장으로 행진했으나 1000명이 넘는 경찰에 막혔고 시위 참가자들은 소성리 마을회관으로 내려가 시위를 계속했다. 당일 저녁 7시 30분부터는 성주 구청 건너편 주차장에서 사드 배치 철회를 요구하는 촛불집회가 열렸다. 성주에서 타오르는 232일째 촛불이다.

분명 사드는 우리나라를 지키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다. 그렇다고 해서 다수의 국민을 위하여 누군가는 희생을 해야하기 때문에 소수의 성주 시민들이 희생하는 것이 과연 옳은 일일까? 모두를 지키기 위하여 누군가가 희생해야 한다는 말에는 희생하는 사람들은 지켜지지 않는다는 모순이 있다. 정부는 과연 사드 배치가 성주시민들의 희생을 감수하고서라도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지, 만약 설치되어야만 한다면 이를 반대하는 중국의 압박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명확하게 밝혀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추연종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최민규기자 2017.03.15 20:38
    대한민국이 중국과 미국사이에서 뚜렷한 결정권과 역할이 없는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점은 대한민국이라는 나라가 분단된 국가라는 사실이 큰 이유가 되는 것 같습니다. 휴전중인 나라이기 때문에 국방력에 신경을 안쓸 수가 없는 상황에서 사드배치 문제가 도출된 것 같습니다. 이번 사드배치 문제로 인해 중국수출량이 크게 줄어들었다는데 이것은 곧 우리나라의 경제에도 큰 영향을 끼칠 것 같아 우려됩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이수경기자 2017.03.15 21:41
    좋은 정보 감사해요. 한가지 궁금한점은 성주시민들이 촛불집회를 하면서까지 직접적으로 반대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무기 배치가 성주시의 경제적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인가요?
  • ?
    4기노유진기자 2017.03.15 23:57
    정부가 굳이 사드를 시민들의 희생을 보고서도 설치해야 할 만큼 중요한지 의문점이 드네요. 사드 때문에 중국과의 관계도 좋지 않은데 이를 어찌 대처할지도 궁금하고요.
    좋은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Jelly 2017.03.18 19:21
    사드 배치를 반대하는 것도, 찬성하는 것도 중요한 결정을 내리기 위해 꼭 필요한 과정이라고 생각해요. 하지만 우리나라가 결정을 하는 것에 다른 나라의 개입으로 영향을 받는 것은 우리나라의 국력이 아직 그만큼 약하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져 안타까운 마음이 들기도 하네요. 좋은 기사 잘 읽었어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473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142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5175
날개 꺾인 나비들의 몸부림, 그리고 두 국가의 외면 7 file 2016.02.25 최은지 16981
엑소 콘서트 티켓팅, 과한 열기로 사기 속출 19 file 2016.02.25 김민정 21084
간통죄 폐지 이후 1년, 달라진 것은? 8 file 2016.02.25 한서경 16935
日 첫 지카 바이러스 감염자 발생 6 2016.02.26 송채연 18419
국제유가 WTI 2.9% 상승, 그 원인과 영향 4 2016.02.26 송채연 22496
그야말로 혼용무도 삼권분립은 어디로? 6 file 2016.02.27 이민구 15116
고려대, 대학생들의 대자보가 시작되다 6 file 2016.02.27 황지연 19176
4차 민중총궐기, 서울광장에서 진행 5 file 2016.02.27 황지연 16845
[취재&인터뷰] 청소년, 정부에 시위로 맞서다. 16 file 2016.02.28 3기박준수기자 17623
닭 쫓던 개 신세 된 한국, 외교 실리 전혀 못 찾아 4 file 2016.02.28 이민구 14825
우리의 교과서에 '위안부'가 사라진다 18 2016.02.28 하지희 19702
스릴 넘치는 롤러코스터, 미국 대선 8 2016.02.29 송채연 34279
자유학기제, 과연 학생에게 도움이 되는 제도일까? 7 file 2016.03.01 이유진 23750
혼용무도(昏庸無道)인 대한민국, 필리버스터는 왜 등장했는가? 2 file 2016.03.01 최지환 19076
"함께 손잡고 정의를 되찾자" 삼일절 맞아 서울서 한일합의 무효집회 열려 6 file 2016.03.02 박채원 17821
증가하는 1월 졸업식의 필요성 6 file 2016.03.06 3기윤종서기자 19109
박근혜 대통령, 제48회 국가조찬기도회 참석 3 file 2016.03.07 구성모 16189
서울대 치대, 전원등록포기? 4 2016.03.08 임은석 20477
총선 투표율, 이대로 안녕한가? 3 file 2016.03.12 고건 17910
일본 「억지 독도의 날」 주장 범국민 규탄결의대회, 포항에서 열리다! 3 file 2016.03.12 권주홍 18174
늘어나는 아동학대... 4년 새 2배 늘어 7 file 2016.03.13 남경민 24139
세기의 대결 이세돌과 알파고 2 file 2016.03.13 백승연 16576
콘서트 티켓 한 장이면 "100만원" 벌기는 식은 죽 먹기? 8 file 2016.03.13 이소연 22430
세기의 대결, 이세돌과 알파고(Alpa Go) 9 file 2016.03.13 서지민 18678
이세돌, 4국 백 불계로 대승... ... 하지만 대두되는 AI 윤리 관련문제 11 file 2016.03.13 박정호 18774
국경일 태극기 게양실태가 심각하다 5 file 2016.03.17 신수빈 25966
천안시, 선거구 획정안에 ‘게리맨더링’ 의혹 2 file 2016.03.17 이우철 18681
국가 안보와 개인정보 보호, 무엇이 우선인가 3 file 2016.03.18 박가영 17434
여성가족부, 제1기 중앙청소년참여위원회 출범 4 file 2016.03.18 장태화 18463
이집트 대통령 17년만에 방한 2 file 2016.03.18 이아로 16724
외국어 간판이 ‘갑’, 쫓겨난 한글 간판 8 file 2016.03.19 반나경 38536
청소년들의 음주 문제 '심각' 5 file 2016.03.19 한지수 19081
인공지능의 발전, 사회에 '득'일까 '독'일까 8 file 2016.03.19 김나연 23027
정부와 부산시는 당장 영화인들을 향한 횡포를 멈추십시오 2 file 2016.03.19 이강민 15754
알아야 할 권리와 잊혀야 할 권리 3 file 2016.03.19 김영경 17290
CGV 좌석차등제, 영화관 좌석에 등급이 웬말인가 5 file 2016.03.20 정현호 35272
화이트 데이 상술...소비계획 세워야 6 file 2016.03.20 이은아 19636
주민들의 불청객이 되버린 관광버스 4 file 2016.03.20 김관영 18210
독도를 위해 할 수 있는 일 3 file 2016.03.20 정아영 45371
대한민국에 다시 돌아온 바둑 열풍 7 file 2016.03.20 유지혜 17766
청년 실업률 사상 최고치 기록, 취업못한 56만명… 8 file 2016.03.20 김지윤 23648
1년에 단 1시간, 지구의 휴식시간 7 file 2016.03.20 전지우 17965
청소년들의 고카페인 음료 오남용 실태 8 2016.03.21 이현진 23422
화성에 원숭이를? 3 file 2016.03.22 백미정 25321
[이달의 세계인] 알파고의 아버지, 데미스 하사비스. 그는 누구인가? 12 file 2016.03.23 정가영 17932
가좌역 유치가 절실한 저희 목소리를 들어주세요 2 file 2016.03.24 정향민 19473
지하주차장 LED전등교체공사의 경제적 효과 2 file 2016.03.24 박건 24090
장애인의 권리, 이제는 함께 지켜줘야 할 때 1 file 2016.03.24 전예린 164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