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누구의 외교부인가?

by 4기구성모기자 posted Feb 25, 2017 Views 1488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5 굴욕적 합의]


KakaoTalk_20170225_231955288.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구성모 기자]




-20151228일 대한민국의 박근혜 정부와 일본의 아베 신조 정부는 ‘2015 -일 일본군 위안부 협상 타결을 하였다. 이 협상 자리에서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의 해결 방안에 양국 간 합의했다고 밝혔으며,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기시다 후미오 외무상은, 1228일 서울정부청사 별관에서 외교장관 회담을 한 뒤 공동기자회견을 통해 위 합의사항을 발표하였다. 이번 합의의 주요 내용은 이렇다. “본 정부는 다수의 여성의 명예와 존엄에 깊은 상처를 입힌 문제로서 책임을 통감하며, 아베 내각 총리는 내각총리로서 사죄와 반성의 마음을 표명한다. 일본 정부의 예상에 의해 위안부 분들의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는 방법을 찾아, 위안부 재단을 설립하고 상처 치유를 위한 사업을 진행하기로 하였다.” 라는 등의 내용이었다.


-일부는 이 합의에 대하여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당시 새누리당과 반기문 UN사무총장도 진일보된 합의라며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하지만, 다수의 국민 그리고 대부분의 야권 정당들은 이 합의를 형태만 갖춘 실질적으로는 회피한 협상이라는 평가를 하였고, 민감한 외교 문제를 빨리 털어버리려는 욕심이 부른 결과로 매우 졸속적이고, 굴욕적인 합의라고 비난하였다. 또한, 피해 당사자인 위안부 할머니들은 돈 때문에 싸우는 것은 절대 아니며, 진정한 사과를 다시 한 번 주장하였다. 이 협상으로 많은 의견이 엇갈린 가운데 진정한 사과가 아닌 이 합의 결과에 따라 국가적으로는 중대한 외교문제를 잠시 털어버릴 수는 있어 정부는 속 편했을지 모르지만, 위안부 할머니들 그리고 대다수의 국민들은 더 무거운 마음을 가져야 했다.


-‘2015 -일 일본군 위안부 협상 타결’(이하 한일 합의)로 인하여 일본은 한국 정부의 신용을 문제 삼으며 부산의 소녀상을 철거하라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소녀상 설치는 한일 합의의 불가역성 위반이라고도 주장했다. 과연 이 한일 합의가 공정한 것일까? 객관적으로 보았을 때 당연히 협의를 타결하여 그 합의를 이행하는 것은 당연한 약속이자 의무일 것이다. 하지만, 이 합의는 실제 피해 당사자인 위안부 할머니들의 동의 없이 진행되었다. 진정성이 보이지 않았고, 그저 역사를 지우려고, 잊으려고 한 일본 정부의 모습이 드러난 합의였다. 가장 잔인한 것은 아베 총리가 사죄를 한 이후 아베 총리를 비롯한 일본의 보수층 정치인들은 망언을 쏟아내며 입장을 도리어 번복했다는 것이다. 이 합의는 위안부 할머니들에게 더 큰 고통이 되었고, 그와 더불어 우리 국민들은 일본의 진정성 없는 사과를 수용하는 정부에 대해 많은 실망을 했다.


[2017 소녀상 철거 공문]


KakaoTalk_20170225_231955883.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구성모 기자, '인천 부평 공원 평화의 소녀상']



-지난 14일 외교부가 평화의 소녀상 관련 지자체 등에 공문을 발송했다. 일본 총영사관 앞 소녀상을 적절히 옮기는 방안을 검토하라는 것이었다. 하지만 부산 동구청은 소녀상 철거 및 이전은 없다고 한 기존 입장은 변함이 없다고 못 박았다. 외교부가 이러한 공문을 발송한 이유는 급속하게 얼어있는 한 일 관계를 회복하고 일본으로 귀국한 대사들을 다시 복귀시키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적반하장으로 일본정부는 이번 공문을 어림없다는 반응으로 일축시켰다.


-이 공문 발송을 두고 몇몇 시민 단체에서는 어떤 나라의 외교부냐?” 라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분명 대한민국을 위한 외교를 하는 부분들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국민의 마음을 무시하고 외면하고, 다른 나라 기 살리는 데에만 열중하는 모습이 대다수인 걸 보면 국민의 한 사람으로써 한숨이 나온다. 돈으로 무책임하게 합의하고, 독도 문제 시 불러서 불평만 하는 정부가 도대체 어느 나라 정부인지 의문이 든다. 국민들이 하는 얘기가 단순한 얘기라고 정부는 볼 수 있다. 하지만 어쩌면 그 국민들의 단순한 생각은, 어떻게든지 부담 덜고, 일본 기 살려주려는 그런 잔머리보다는 더 현명하고, 애국일 것이다. 그러나 그런 국민들에게도 숙제가 있다. 우리가 기억하지 못하는 이상 그 진심어린 사과를 받아야한다는 것도 잊혀 지게 되어 우리에게는 또 다시 이런 불행한 역사가 되풀이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4기 구성모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조민기자 2017.02.25 23:55
    정말 화나네요ㅜㅠ 마지막 문장이 진짜 인상깊어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4기양수빈기자 2017.03.01 16:32
    정말 어느 나라의 외교부인지.. 가슴이 아프네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
    4기양수빈기자 2017.03.01 16:32
    정말 어느 나라의 외교부인지.. 가슴이 아프네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
    4기사회부정지윤기자 2017.03.01 22:40
    한일합의... 당사자들의 의견을 더 듣고, 배려했다면 이러한 합의가 등장하지는 않았을 것 같아요. 역사를 모르는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말처럼, 우리가 우리의 역사를 기억하는 것은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숙제라고 생각합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4411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1155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26466
누구를 위한 건강보험인가 1 file 2017.08.20 김주연 14346
누구를 위한 법인가? 2 file 2018.05.24 심윤지 10870
누구에 의한, 누구를 위한 9시 등교인가 2014.09.30 권경민 25587
누구의 외교부인가? 4 file 2017.02.25 구성모 14887
누군가의 대변이 치료제가 될 수 있다? 2020.06.18 박혜린 8272
누림센터,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콘텐츠 제작 및 보급 file 2022.12.30 이지원 5865
누이 좋고 매부 좋은 '공유 경제' 1 file 2016.03.24 김태경 16908
누진세 완화 정책 발표, 전기료 부담 줄일 수 있을까? 2018.08.20 김원준 10258
눈 감을 수 없는 아이들, 눈 감아서 안되는 우리들 2 file 2016.03.25 이봄 15558
눈물 흘리며 대회장 떠난 초등생들...부산시교육청 드론대회 '수상자 내정' 의혹 file 2023.11.07 김가빈 7399
뉴욕 연은 총재 빅 스텝 가능성 시사…본격적 긴축 시작되나 file 2022.03.28 윤초원 6475
뉴욕타임스 전직기자 앤드류 새먼이 전하는 "한국이 매력적인 이유" 2019.05.31 공지현 10528
뉴질랜드 모스크 사원 테러, 어떻게 된 것인가? file 2019.03.29 배연비 12552
뉴질랜드 속 코로나19 2020.04.28 박혜린 8215
늘어나는 다문화 가정, 한국인 인식은 제자리걸음 2017.12.22 김민지 27967
늘어나는 아동학대... 4년 새 2배 늘어 7 file 2016.03.13 남경민 24450
늘어나는 평화의 소녀상에 관하여 5 file 2017.05.16 정수빈 12097
늘어난 14만여 명의 유권자들, 총선거에 어떤 영향 미칠까 file 2020.03.13 이리수 8796
늙어가는 대한민국, 위기? 기회! 5 file 2016.04.02 김지현 16634
닌텐도 스위치의 가격 폭등 file 2020.05.27 백진이 10113
다가오는 대선과 떠오르는 수개표 3 file 2017.05.03 박윤지 10766
다가오는 추석,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file 2020.09.25 김민지 9532
다가올 민중총궐기, 혼란의 정치권 file 2017.02.24 진우성 13769
다뉴브강 유람선 침몰 사고 file 2019.06.07 최예주 10794
다문화 가정의 증가, 혼혈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나 2019.05.02 박경주 13302
다수를 위한 소수의 희생? 4 2017.03.14 추연종 21411
다스는 누구 겁니까? 3 file 2018.02.20 연창훈 11505
다시 도마 오른 소년법, 이번에는 바뀔까? file 2020.04.06 한규원 12198
다시 돌아보는 일본불매운동, 과연 성과는 어느 정도일까? 4 file 2020.10.16 정예람 15777
다시 모습을 드러내기까지 '1073'... 엇갈린 입장 1 file 2017.03.31 4기박소연기자 14435
다시 보는 선거 공약... 20대 국회 과연? 1 file 2016.04.24 이예린 21009
다시 불거진 문단 내 성폭력, 문단계도 '미투' file 2018.02.28 신주희 12407
다시 시작된 코로나19 file 2020.08.26 손혜빈 9951
다시 일어난 미국 흑인 총격 사건, 제2의 조지 플로이드 되나 2020.08.31 추한영 9308
다시 재현 된 우리 민족의 역사, 전주 3·13 만세운동 file 2015.03.25 김진아 31401
다시 찾아오는 광복절, 다시 알아보는 그 의미 5 file 2017.08.10 홍동진 11761
다시 한번, 국민의 힘을 증명하다. file 2017.03.21 정영우 11785
다시금 되새겨 봐야하는 소녀상의 의미 file 2017.03.26 박서연 10890
다음, 카카오톡에 이어 이제는 네이버까지... file 2019.06.26 이채린 12130
다이지에서 울산 고래 전시간까지...돌고래의 끝없는 고통 3 file 2017.02.28 박설빈 14960
다함께 외쳐요, “사지 말고 입양하세요!” 11 file 2016.02.24 박예진 17870
단식 투쟁으로 얻은 작지만 큰 희망. 2018.01.15 서호연 12502
달걀 가격 4000원대로 하락...농가들은 울상 file 2017.10.11 김주연 12127
달라진 미국 비자 발급... 내 개인정보는? file 2019.08.16 유예원 15545
달콤한 휴식처? '졸음쉼터'의 이면 2 file 2017.01.31 김성미 18530
닭 쫓던 개 신세 된 한국, 외교 실리 전혀 못 찾아 4 file 2016.02.28 이민구 15120
닭의 목을 비틀어도 새벽은 왔다. 3 file 2017.03.11 김지민 12801
담배 회사의 사회 공헌 활동,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2 file 2020.07.27 김민결 119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