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광주광역시 비둘기 폐사체 7구 발견

by 4기김소희기자 posted Feb 05, 2017 Views 1977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광주광역시 도심 속 비둘기 폐사체 발견, AI 의심

 

WIN_20170205_07_37_59_Pro.jpg

[이미지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김소희기자]

 

 지난달 30일 광주광역시 북구 임동에서 7마리의 비둘기 폐사체가 발견됐다. 현재 조류인플루엔자(AI) 감염 여부 확인 등 사인을 밝히기 위해 국립환경과학원에 검사를 의뢰한 상태다현재 농림축산식품부는 AI 발생 시 원천적으로 500m 내 관리지역의 가금류와 알 살처분 조치를 원칙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관계자들은 비둘기의 감염이 확진되면 유례 없는 도심 살처분의 위기에 처할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다행히도 AI 발병으로 살아있는 조류의 유통과 판매의 금지로 의심 지역의 500m 이내에서 사육 중인 조류는 거의 없다는 잠정적 조사 결과가 나왔다.  폐사체 AI 감염 여부는 4~5일 즈음 발표된다고 알려졌지만 25일 오전 7시 무렵인 현재에는 발표되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비둘기 폐사체가 AI 감염이라는 것은 아직 확실치 않다. 2012년 이후 비둘기 AI 감염 사례는 한 건도 없으며 현장 주변 독극물 포함이 의심되는 수상한 조류 먹이가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그 먹이는 경찰이 수거해 국과수에 감식 의뢰를 맡겼다. 또한 이렇게 집단으로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서 발견된 폐사체들은 AI에 감염된 것으로 보기 힘들다는 환경과학원의 의견도 AI 감염이 아니라는 주장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먹이 독극물 포함 여부는 7일 즈음 드러난다국과수 독극물 검사 결과가 양성으로 나오면 먹이 살포자를 검거하기 위한 수사를 착수할 계획이다.

 

현재 북구는 혹시 모를 AI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비둘기 폐사체가 발견된 임동 광주천 주변에서 매일 같이 방역과 감시활동을 하고 있다. 비둘기 폐사체의 AI감염 여부가 음성으로 판명될지라도 혹시 모를 AI감염과 확산을 막기 위해 당국의 AI 예방 수칙을 따르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권장하는 AI 예방 수칙은 철새도래지, 조류농가 방문 자제, 주인 없는 야생 동물, 동물 사체 접촉하지 않기, 외출 후 30초 이상 손 씻기 등이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김소희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424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087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4579
착취 당한 수많은 여성들과 26만 명의 남자들 "텔레그램 n번방" 12 file 2020.03.24 김예정 14661
차이나머니가 삼키는 제주도, 이대로 괜찮은가 1 2016.05.24 이소민 15373
차이나 리스크, 홍색 규제에 대한 나비효과 file 2021.08.02 한형준 8642
차세대 정치 VS 구세대 정치 '65세 정년 도입' 발언 6 2017.01.23 김가은 17568
차세대 교육 대통령은 누구? 대선 후보들의 교육 공약을 알아보자 10 file 2017.02.25 조민 17980
차별금지법 제정, 한국 사회가 직면한 과제 file 2021.06.16 김도희 8190
짧아서 행복했던 숏.확.행 틱톡의 이면 file 2020.08.24 정유리 9380
집중호우의 다른 이름 ‘기후변화’ file 2020.08.31 최지원 8398
집주인의 거주권 VS 세입자의 계약갱신청구권 file 2021.03.30 조혜민 7937
짐바브웨에서 쿠데타가 일어나다 file 2017.11.22 박형근 14841
질긴 고기 같은, 아동 학대 2 2021.02.15 이수미 12363
진짜 페미니즘이란 무엇인가 2 file 2017.02.24 이소미 19675
진정되어가는 마스크 대란, 전 세계의 상황은? 5 file 2020.04.06 유지은 15523
진실을 숨기는 학교와 언론사···그 내막을 밝히다. 7 file 2017.02.11 서상겸 53853
진선미 의원표 성평등정책, 해외서도 통했다..'미 국무부 IVLP 80인 선정' 화제 file 2020.12.21 디지털이슈팀 8671
직장 내 여성 왕따, 어디서 부터 잘못된 것일까 3 file 2018.05.25 하예원 10822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효과가 있었나 file 2021.03.02 이효윤 7777
직능연 "마이스터고 졸업생, 수도권 쏠림 현상 강해져" file 2023.01.18 디지털이슈팀 6078
지하주차장 LED전등교체공사의 경제적 효과 2 file 2016.03.24 박건 24090
지켜보자 9시 등교 2014.09.25 김예영 20498
지카 바이러스,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7 file 2016.02.12 오시연 22737
지카 바이러스 확산 대응 방법은? 2 file 2016.03.25 노태인 17209
지진여파로 수능시험 11월 23일 일주일 연기 1 file 2017.11.22 김도연 11950
지진, 과연 우리는 안전할까? 4 file 2017.02.18 김재훈 18527
지진 교육 이대로 괜찮은가, 지진 교육의 충격적인 민낯 3 file 2018.03.12 한유성 14145
지정학적 위기부터 연준의 긴축 가능성까지 … 증시 ’긴장’ file 2022.02.21 윤초원 6003
지역구 득표율로 바라본 제21대 총선 결과 file 2020.04.27 위동건 9807
지역 환경전문가와 돌고래 보호 운동 나선 제주도 청소년들 2023.11.22 박유빈 4417
지역 아동센터 지원, 이대로 괜찮을까? 9 file 2016.02.22 이하린 19484
지속되는 헝다그룹의 부진.. 위기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file 2021.12.24 이성훈 7474
지소미아로 보는 협정, 조약, 선언의 차이 file 2019.09.04 유승연 13232
지소미아 연기로 고비 넘겼지만...방위비 분담금 협상에 주목 2019.12.05 박채원 9468
지방의회의 발전, 말라버린 민주주의 치료에 기여할까 1 file 2017.02.19 김현재 16058
지방의회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9.02.08 이남규 10881
지방 인프라 부족 현상, 이대로 보기만 할 수 없다 3 file 2019.02.18 김지현 20210
지구촌을 공포에 빠져들게한, 여성혐오문제'페미사이드' 2 file 2016.05.25 장채연 17634
지구의 반란, 도대체 어디까지인가? 4 file 2016.04.25 김예지 15928
지구온난화 심각···몇십 년 내에 사과농장 사라져··· 1 file 2017.11.27 김정환 13050
지구상 마지막으로 여성 운전을 허용한 국가, 사우디아라비아 file 2018.07.26 김채용 10294
지구를 살리는 60분, 어스 아워 캠페인 1 file 2016.03.25 김영현 21577
지구가 인간에게 날리는 마지막 경고인듯한 2020년, 해결방안은? file 2020.09.25 박경배 14058
지구 온난화: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9.01.24 신지수 15827
증가하는 노인 복지 정책 예산.. 효과는? file 2019.01.23 허재영 10987
증가하는 1월 졸업식의 필요성 6 file 2016.03.06 3기윤종서기자 19097
중학교에 전면 시행된 자유학기제, 현 주소는? 2 file 2016.10.25 신수빈 16886
중학교 자유학기제 올해부터 전면시행, 작년 학생들의 반응은? 3 file 2016.04.24 김현승 18114
중앙선관위, 선거연령 18세로.. 2 file 2016.08.24 안성미 16827
중국인들 한국 부동산 매입 비율 62.5%...원인은? file 2021.08.26 성현수 68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