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삼성 갤럭시 노트 7 발화 원인의 진실 수면 위로 떠오르다!!

by 4기양민석기자 posted Jan 23, 2017 Views 1918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ㅇㅋ.jpg

[사진 제공=삼성전자/ 저작권자로부터 허락받음]


지난해 10월 단종된 삼성 스마트폰 '갤럭시 노트7'의 발화 원인이 오늘 23일 서초 사옥에서 국내외 언론 3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공식적으로 입장을 발표하였다.


삼성전자 측은 "지난 몇 달간 철저한 원인 규명을 위해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각각의 검증 단계와 제조 물품 보관 등 전 공정에서 원점에서부터 총체적이고 깊이 있는 조사를 했다"라고 설명했다.


고동진 삼성전자 IM 부문 무선사업부장 사장은 "노트7 소손 원인이 배터리 자체 결함으로 최종 분석됐다"라고 말했다.


고동진 사장은 “노트7에 탑재된 두 회사(삼성SDI, 중국 ATL)의 배터리에서 서로 다른 원인으로 발화 현상이 생기는 것을 확인했다”라고 밝혔다. 삼성SDI가 공급한 배터리는 음극 판이 눌리면서, ATL의 배터리는 양극판에 생긴 비정상적으로 큰 돌기가 절연 테이프와 분리 막을 뚫고 음극판까지 닿으면서 발화의 ‘씨앗’이 됐다는 설명이다.


또 "혁신적인 갤럭시 노트7을 만들기 위해서 배터리 사양에 대한 목표를 제시하였고 배터리 설계와 제조 공정상의 문제점을 제품 출시 전 최종적으로 확인을 제대로 검증하지 못한 점에 대해서 통감한다"라며 "경영 전반을 걸쳐서 품질 최우선의 경영 체제를 강화하여서 제품 안정성에 있어서 새로운 혁신을 지속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8가지.jpg

[사진 제공=삼성전자/ 저작권자로부터 허락받음]


삼성은 "발화 사건 이후 테스트 검사, 제조 품질에 역점을 둔 8단계 프로세서를 만들었다. 그리고 배터리 밀도를 조금 낮추거나 발열 시 전원을 차단하는 기준 온도를 조금 낮추는 방안 등을 고려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이어 "노트7에서는 많은 실망감을 안겨드리고 불편함을 많이 끼쳐드렸는데 의미 있는 혁신과 여러분들이 기뻐할 수 있는 그러한 갤럭시 S8으로 소비자에게 찾아가는 것이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모든 임직원이 해야 할 일"이라고 말했다.

KakaoTalk_20170120_174636000.jpg

[사진 출처= 제보자 인스타그램/ 저작권자로부터 사용 허락받음]  발화된 갤럭시 노트7 사진


갤럭시 노트 7은 지난해 8월 예약판매로만 40만 대 이상 팔려나가는 등 국내에서만 100만 대 이상,

전 세계적으로 300만 대 이상 판매량을 올렸으며 노트 시리즈 중 가장 사랑을 받은 제품이다.


하지만 노트7 발화로 신고가 들어왔고 삼성 측은 삼성SDI의 배터리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고 중국의 ATL 배터리로 교체하지만 계속되는 발화 신고로 인해 10월 삼성은 단종을 선언하였다.


단종을 선언하고 회수한 지 수개월이 흘렸지만, 회수율은 96% 나머지 4%는 여전히 노트7 사용하고 있다. 삼성 측은 안전을 위해서 각 통신사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서 노트7 배터리 충전을 15%까지 제한하였다.


하지만 노트7 사용자들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하지 않는다던가 핸드폰을 끄고 보관을 해서라도 노트 7을 쓰고 싶다."라고 밝혔다.


차기 스마트폰 갤럭시 S8을 준비 중인 삼성전자는 배터리 안전 검사를 강화하고, 제품 생산의 전문성과 평가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 장치 등을 마련했다고 강조하였다. 그리고 "갤럭시 노트7로 잃어버렸던 신뢰를 반드시 회복하도록 하겠다"라고 강조했다.

그리고 삼성이 늘 신제품 출시를 해왔던 "MWC(모바일 월드 콩그레스)에서는 갤럭시 S8을 발표 안 한다"라고 밝혔다.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IT부=4기 양민석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신예진기자 2017.01.24 22:01
    삼성 스마트폰이 많은 사람들에게 지지받고 애용되어온 상품인만큼 실망이 컸었죠. 이렇게라도 발화의 원인이 밝혀지고 해결하고있다니 다행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다시는 이런 사태가 일어나질 않길 바랍니다.
    좋은기사 감사합니다!
  • ?
    4기양민석기자 2017.01.24 22:03
    저도 같은 생각이에요. 갤럭시 s8은 잘나왔으면 좋겠네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358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057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3804
삼산고 학생들이 힘을 합친 '위안부 소녀상 건립' 캠페인 1 2017.10.24 주하영 11394
삼성 갤럭시 노트 7 발화 원인의 진실 수면 위로 떠오르다!! 2 file 2017.01.23 양민석 19184
삼성 휘청: 삼성 이재용 부회장 결국 포승줄에 묶이다 file 2017.02.21 송경아 16533
삼성,애플에 이어 LG까지...? 3 2017.01.22 안유진 17993
삼성그룹 회장 이건희, 78세의 나이로 별세 1 2020.11.02 조은우 8556
삼성물산 "우수품종 토종식물, 래미안 단지에 활용 계획" file 2023.02.02 디지털이슈팀 4585
삼성은 반도체 패권을 가져갈 수 있을까? file 2021.05.26 이준호 6937
삼성전자 이 부회장의 2년 6개월 실형 선고... 또 다른 리스크인 보험업법 개정 결과는? file 2021.01.19 김가은 7890
삼성전자, 갤럭시 노트7 소손 원인 발표 ··· "죄송하며 감사하다." 3 file 2017.01.23 이정수 64312
상암동 장례식장 건립, 주민들 반대 운동 확산 1 2018.05.03 도예준 11946
상업적 대리모 그리고 인간 존엄성 1 file 2020.05.06 임효주 12544
상인들의 시장문화도 바꾸어버린 김영란법 2 2016.09.26 류보형 14283
새 정부의 5.18 4 file 2017.05.30 이주현 10501
새로운 경제 정책, 대한민국을 바꿀 것인가 1 file 2017.07.25 홍은서 9528
새로운 코로나 변종 바이러스 발견, 이 팬데믹의 끝은 어디인가? file 2020.09.02 방지현 7692
새로운 형태의 자산 가치 상승, 현대 사회가 가지는 또 하나의 숙제 file 2021.05.26 한형준 7235
새롭게 바뀐 한국의 대통령, 중국과 한국과의 관계도 바뀌나? 2 file 2017.05.19 강지오 10422
샘 오취리, ‘preach' 성희롱 댓글 뒤늦게 논란 file 2020.08.31 유시온 8142
생계형 난민의 폭풍... 그리고 유럽의 반난민 정책 1 file 2018.09.05 조제원 11188
생리대, 과연 안전한가? 5 2017.09.04 박채리 11817
생리대를 둘러싼 진실게임 2 2017.10.10 제규진 11928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SOS생명의전화’ 운영 11년 차 맞아 누적 상담 빅데이터 분석 결과 공개 file 2022.08.12 이지원 6268
생존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 후원시설 “나눔의 집” 탐방 1 file 2016.03.24 서소연 18884
생활 방역 시대, 청소년이 가져야 할 마음가짐 file 2020.05.04 서하연 8623
생활 속에 파고든 알코올 중독, 더 이상 방치해선 안 된다 2018.04.18 정하현 10284
생활쓰레기문제, 한국인의 저력을 보여 주자. 2 2017.07.17 박수지 12465
서대문 청소년기관, 2022년 청소년 2800명 대상 종합실태조사 발표 file 2022.12.23 이지원 6423
서울 M 중학교 교사, 그동안 학생들 상대로 상습적인 성추행 일삼아·· 5 file 2018.03.15 허기범 11227
서울 광화문 미국 대사관 앞 대규모 "사드 배치 반대" 집회 1 file 2017.09.12 김승만 10731
서울 시내버스 음식물 반입금지조례 "과도한 규제 vs 합당한 대응" 1 file 2018.03.26 정준교 14877
서울 종로구 구민들 "출퇴근, 등하교 시간 02번 버스 증차 촉구" file 2023.07.26 박서율 4504
서울대 본관 점거 153일째, 물대포로 농성 해산...해산되기까지 과정 file 2017.03.15 최문봉 11777
서울대 치대, 전원등록포기? 4 2016.03.08 임은석 20352
서울대, 잇단 성추문에 몸살 24 file 2017.01.12 이승욱 19866
서울시립강북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10주년 기념 ‘온라인 캠페인 및 청소년 욕구도 조사’ 실시 file 2022.12.23 이지원 5234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022년 ‘서울 청년의 생명을 살려라! 100인 토론회’ 개최 file 2022.08.16 이지원 5865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청년자살예방 인식 개선 연합 캠페인 ‘서울 청년의 생명을 살려라’ 성료 file 2022.10.22 이지원 5758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9월 29일 ‘2022년 정신건강 정책 심포지엄’ 온라인 생중계 file 2022.09.16 이지원 4899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건강의 날 기념 및 제32대 정신건강지킴이 위촉 file 2022.09.19 이지원 5896
서울여중, 활기 찬 봄의 향연 속 백일장/사생대회 실시 1 file 2015.05.21 변유진 29187
서울연구원, '여건 변화에 대응하는 국토계획법 및 서울 도시계획' 주제로 세미나 개최 file 2022.12.14 이지원 5616
서지현 검사의 폭로, "검찰 내에서 성추행을 당했다" 2 file 2018.02.02 이승민 10523
선거 7번 출마, 허경영…. 서울시장 선거 3위 기록 file 2021.04.12 김민석 8296
선거 연령 하향의 효과와 우려 7 file 2017.05.31 김지민 26794
선거구 획정안, 국회는 어디로 사라졌나? 13 file 2016.02.07 진형준 20293
선거마다 발병하는 고질병들, 언제까지 유효할 것인가 3 file 2017.04.25 정혜정 11588
선거에 관련한 법률, 어디까지 알고 있을까 2 file 2016.04.24 김나연 15942
선거연령 하향 이후, 청소년들의 정치적 태도 변화는? file 2020.04.28 이승연 876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