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나라별 신년을 맞이하는 이색적인 방법들

by 6기서예진기자 posted Feb 07, 2018 Views 1763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Screen Shot 2018-02-06 at 9.12.58 AM.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6기 서예진 기자]


새해는 전 세계 모든 사람들에게 중요하고도 즐거운 연휴다. 모두에게 즐거운 날이지만 새해를 맞이하는 방법은 각 나라마다 색다르다. 개인적으로 소소하게 지내는 새해가 있는 반면 다 같이 모여 보내는 새해까지 나라마다 신년을 맞이하는 색다른 방법들이 있다.  


먼저 한국과 가깝고도 먼 곳에 위치해 있는 일본은 독특하게 신년맞이를 한다. 일본은 새해 전날에 음식을 만들어 식히고 다음 날 다 같이 먹는다. 이 풍습이 생긴 데에는 음식을 준비하는 여자들도 같이 신년을 맞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우리나라와는 사뭇 다른 모습을 띠고 있다. 일본의 새해 음식은 '오조니'라는 찹쌀떡을 미소된장국에 넣은 음식을 먹는다. 


북유럽에 위치한 덴마크는 다소 과격하게 새해를 맞이한다. 이웃이나 지인의 집 앞에서 접시나 컵을 깨는 재밌으면서도 신기한 풍습을 가지고 있다. 접시를 깸으로 지난해의 안 좋은 일들이 사라지길 염원하기에 하는 행동이라고 한다. 


튤립의 나라 네덜란드는 덴마크처럼 새해를 격렬하게 맞이한다. 새해의 아침에 아세틸렌가스를 폭파시키며 새해를 맞는다고 한다. 지난날의 안 좋은 일들이 모두 태워 없어지고 또 불꽃처럼 좋은 일들이 많이 일어날 수 있길 바라는 마음에서 나오는 풍습이다. 현재 네덜란드의 일부 지방에서는 이 관습을 금지시켰지만 여전히 전통이 내려오고 있다. 


마지막으로 근래에 들어 평창올림픽과 정상회담 등 한국과 많은 일을 다루고 있는 가깝고도 먼 나라 북한의 새해맞이 방법이다. 잘 알려지지 않은 나라인 만큼 북한이 새해를 맞이하는 방법에는 많은 상상이 오고 갈 수 있다. 하지만 예상외로 다소 평범하게 새해를 맞이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불꽃놀이와 신년맞이 공연들이 펼쳐지며 신년을 기념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6기 서예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강지희기자 2018.02.12 06:15
    그렇게 신년을 맞이하는 지 몰랐던 몇 개 국가들에 대해 신기하고 유익한 정보 알게 해 주신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61416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33151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376983
평창 성화, 홍천을 밝히다 file 2018.01.31 박가은 17541
北과의 화해의 길? 남북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 1 file 2018.02.21 김예준 17452
2018 평창동계올림픽 기념 특별전 '동아시아의 호랑이 미술-한국·일본·중국' 열려... file 2018.03.01 류태원 17447
평창과 사랑에 빠지다 2 file 2018.03.09 백예빈 17441
패럴림픽, 한계에 도전하다 file 2016.09.25 이하린 17436
2017 쇼트트랙 세계 선수권 대회, 한국 선수들에게만 깐깐한 심판들로 인해 억울한 패배를 맛본 한국 선수들? file 2017.03.25 이예성 17412
이번 동계올림픽은 평창, 바로 나야나! 2017.07.27 김규리 17357
대한민국 그 자체, 아름다웠던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 5 file 2018.02.12 서태란 17302
동백의 딸들, 성화 봉송에 참여하다 file 2017.11.07 이유진 17115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기원하며 2017 서울아리랑페스티벌 한마당 1 file 2017.11.06 단승연 17046
안양 한라, 폭발적인 13연승 5 file 2017.01.25 김연수 17027
뜨거웠던 현장 코엑스 c-festival file 2017.05.31 안수현 16946
평창동계올림픽 G-1, K-드라마 페스타 in 평창 행사 개최 1 file 2017.02.20 고주연 16924
청주 체육관을 찾은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영웅들 2 file 2018.03.22 허기범 16917
강릉에서 느끼는 조선시대 전통문화 file 2018.03.09 마하경 16917
<청소년 근현대사 교실, 스포츠의 정신이 함께한다!> file 2018.01.19 김현재 16888
누가 '동장군'을 화나게 했나 10 file 2017.01.14 권지민 16887
언론인을 꿈꾸는 강원도교육청학생기자단 2017.04.20 박민선 16806
평창동계올림픽 기념 2천원권 지폐, 11월에 나온다 file 2017.08.29 디지털이슈팀 16783
평창으로 맞이할 해외 관광객, 어디로 가야할까 1 file 2018.01.09 김정환 16778
대한항공, 평창올림픽 기간동안 인천-양양 국내선 운항... 효과는? 4 file 2018.01.09 마준서 16745
눈 위의 마라톤, 평창동계올림픽 크로스컨트리 경기를 보러 가다. 6 file 2018.02.22 마준서 16705
평창 동계올림픽, 성공적인 마무리 file 2018.03.03 김세빈 16696
평창 굿즈 열풍, 올림픽 성공적 개최의 신호탄일까? 2 file 2017.12.15 윤정민 16620
1000원? 5000원? 아니, 이제는 2000원! 2 file 2017.09.28 이승희 16609
이스라엘 청소년 대표단, 국립평창청소년수련원 방문 1 file 2017.09.14 디지털이슈팀 16595
제천시 별새꽃돌 자연탐사과학관에서 자연을 배우다 file 2018.08.22 조정원 16586
서대문구 주민이라 행복해요~ 서대문구와 함께 즐기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 1 file 2018.03.01 박세진 16559
수호랑이 가고 반다비가 온다 1 file 2018.03.02 신소연 16541
2017 ISU 피겨스케이팅 선수권대회 4 file 2017.02.18 박승미 1653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