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이 노래는 언젠가 고향땅에 닿을 겁니다.

by 5기여승헌기자 posted Jan 17, 2018 Views 1470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하늘이여, 땅이여, 사람들이여. 저 죽음을 응시해주기 바란다. 저 죽음을 끝내 지켜주기 바란다. 저 죽음을 다시 죽이지 말아주기 바란다.” 김중배의 칼럼 <하늘이여, 땅이여, 사람들이여>의 첫 구절이다. 저 죽음은 당시 1987 1 14일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사망한 박종철 군의 죽음을 뜻했다. 하지만 저 죽음은 한 사람의 희생만을 가리키진 않았을 것이다. 해방 직후부터 시작된 이념 갈등과 분단을 이용해 독재의 무기로 사용한 위정자들에 의해 지울 수 없는 상처를 받은 수많은 사람들을 가리킬 것이다. 국가 치안유지와 반공을 명목으로 쿠데타를 일으킨 어느 군인과 민주를 부르짖던 5월의 광주를 피로 붉게 물들인 또 다른 군인들의 군홧발이 아직도 우리를 짓누르고 있다. 그 군홧발이 짓누르고 있는 것은 국가도, 민주주의도 아니다. 치안본부 대공분실, 국가보안법, 국가안전기획부 등 어제의 것들이 가리키고 있는 그것이다. 바로 그것, 북한이다.


 ‘빨갱이’, ‘무장공비’, ‘북괴’, ‘기쁨조’ 북한 하면 떠오르는 키워드들이다. 70, 80년도에도 북한은 테러집단이며 악의 축이었다. 그리고 이 인식은 2000년도에만 반짝 나아졌을 뿐, 현재도 이 인식은 쉽사리 바뀌지 않고 있다. 지난 9일 성사된 남북회담만 하더라도 그렇다.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대부분의 시선은 냉담하다 뿐일까 오히려 비판적인 내용이 지배적인 듯하다. 애초에 통일 필요성에 대한 국민인식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였다. 지난 2017년 박주화 통일연구원 연구관리본부 연구부장이 발표한 <평화적 분단과 통일: 2017 통일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 결과와 합의보고서에 따르면 남북한 통일의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57.8%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지난해보다 11.5%p하락한 수치이다


 분단의 군홧발이 우리를 짓밟고 있다. 군홧발이 짓밟고 짓밟을수록 우리의 허리에 매어진 철조망이 조여 온다. 하늘이여, 땅이여, 사람들이여! 저 죽음을 응시해주기 바란다. 매년 분단의 아픔을 안고 살아가다 가족 얼굴 한 번 만나보지 못한 채 희생되는 저 죽음은 약 2400명에 달한다. (2017 9 26일 발표된 현대경제연구원의 자료) “그의 죽음 앞에서 하늘이여, 땅이여, 사람들이여,’의 호곡이 피어난다. 그 호곡을 잠들게 하라. 새로운 하늘, 새로운 땅, 새로운 사람들이 피어나게 하라. 그것이 그의 죽음을 영생으로 살리는 길이다.” <하늘이여, 땅이여, 사람들이여>의 마지막 구절이다. 사실 본 칼럼과 통일과는 거리가 멀다. 내용 맥락도, 상황도 배경도 다르다. 결정적으로 1987년의 저 죽음은 마침내 6월 항쟁과 2017년 촛불 항쟁으로 피어났다. 하지만 매년 죽어가는 이산가족들의 저 죽음은 조용히, 북한에 대한 혐오감에 묻히어 시들고 있다.


maxresdefault.jpg

[이미지 제공=통일부,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3년 전, 2015 7 20일 분단 70주년을 맞아 통일부는 제일기획과 공동으로 철조망을 이용해 제작한 '통일의 피아노'를 공개했다. 또한 '통일의 피아노'에서 울려 퍼지는 '우리의 소원은 통일' 을 배경으로 미니 다큐를 제작한 바 있다. 영상에서 피아노를 연주하는 이대용씨는 "이 노래는 언젠가 고향땅에 닿을겁니다."라고 말한다. 어제의 것들이 오늘을 괴롭게 하고, 오늘의 괴로움이 내일을 가린다. 하지만 찾아올 내일을 위해 오늘을 버티는 사람들이 있다. 이 노래가 고향땅에 닿을 내일을 위하여.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5기 여승헌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1.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3.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4. 공연계 '미투 운동' 확산… 오는 25일 관객 집회 열린다

  5. 법원,'어금니 아빠' 이영학에게 사형선고, "사회에서 영원히 격리"

  6. 성범죄자들의 신상공개제도(처벌과, 또 다른 피해자)

  7. 의료기기법, 누구를 위한 법인가?

  8. 최순실 1심 판결, 징역 20년·벌금 180억 원·추징금 72억 원

  9. 청소년 인권 개선 위해 팔 걷고 나선 학생들

  10. 개인의 문제가 아닌 모두의 문제

  11. 사이버 폐가는 불법 마약 판매상의 놀이터

  12. 원전밀집도 세계 1위인 우리나라, 원전사고에는 無기력

  13. 비트코인 사용시 주의할 점

  14. 우버와 에어비앤비 더 이상 공유경제가 아니다.

  15. 울산 석유비축시설 지진에 안전한가?

  16. 다스는 누구 겁니까?

  17. 설날에도 웃지 못하는 그들, 지진 피해 직격탄을 맞은 경북 포항시 흥해읍

  18. 고대영 KBS 사장 해임, 다시 국민의 품으로!

  19. 가습기 살균제의 악몽, 액체괴물로 재발하나

  20. 자발이 확보하지 못하는 강제성, 어디서 찾을까?

  21. 2050년, 다시 찾아올 식량 위기 ➋

  22. 2050년, 다시 찾아올 식량 위기 ➊

  23. 강원도 표준 디자인 교복, 학생들은 '불편'

  24. 소년법 개정 (목적은 교화 먼저?/처벌 우선?)

  25. 국민의당 탈당파 민평당, 정의당과 연대?

  26. 비트코인, 엇갈리는 평가와 가치

  27. 서지현 검사의 폭로, "검찰 내에서 성추행을 당했다"

  28. 아동성범죄 가해자 어디까지 용서받을 수 있나

  29. 민주-보수 4당의 정치 구도, 향후 어떻게 전개될까

  30. 美정부의 무역 정책과 자승자박

  31. 제천 화재로 소방 관련 법 입법의 필요성 드러나.

  32. 왜 그것은 말할 수 없는 비밀이 되었는가?

  33. 브렉시트 투표 후 1년 반, 어디까지 왔나?

  34. 블랙리스트,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것인가

  35. 베르테르 효과와 미디어

  36. 국민의당-바른정당 통합, 정치권에 새로운 바람 불까?

  37.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중증 외상분야 지원 확대 청원에 대한 태도 밝혀

  38. 3대 권력기관 개혁, 경찰 수사권 독립이란?

  39. 하와이, 38분의 공포

  40. 위안부 할머니들의 눈물.

  41. 세스코 근무 환경, 1년이 지난 지금은?

  42. 가상화폐 속으로 빠져들다!

  43. 페루, 7.1의 강진

  44. 가상화폐의 실명제가 논란이 되는 이유

  45. 사법시험 폐지의 합헌 결정에 대한 반발, 그 이유는?

  46. 17Jan
    by 5기여승헌기자
    2018/01/17 Views 14704 

    이 노래는 언젠가 고향땅에 닿을 겁니다.

  47. 단식 투쟁으로 얻은 작지만 큰 희망.

  48. 압구정 현대 아파트 경비원 해고 사건, 진행 상황은?

  49. 남북 정상의 신년사에 담긴 의미는?

  50. 2년만에 진행된 남북 고위급 회담

  51. 2017에서 2018, 변화하는 ICT 10대 이슈들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