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광주로 오세요! 천만관객 달성 '택시운전사' 광주 5·18 현장 탐방 프로그램 열어.. 정치계 반응은?

by 4기조영지기자 posted Sep 04, 2017 Views 1539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82일 개봉한 영화 택시운전사825일?자정 기준 누적 관객 수 10,740,689명을 달성하며 흥행을 이어가고 있다.

택시운전사1980518일 역사적인 순간에 있었던 한 독일 기자와 택시 운전사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영화로,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소재로 한 영화 중 최초로 천만 관객을 넘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전 국민적 관심에 힘입어 광주시와 광주문화재단에서는 영화 택시운전사의 현장 탐방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외지에서 광주를 방문한 승객들을 대상으로 한 ‘5·18 택시 운전사‘5·18 버스투어 프로그램은 오는 93일까지 진행되며 택시투어 2개 코스와 버스투어 1개의 코스로 운행한다.

택시투어의 운전사는 문화관광탐험대 활동을 한 개인택시가 맡아 5·18에 대한 해설을 직접 들을 수 있도록 했다.

광주시는 이와 더불어 광주시청 1층 시민 숲에서 영화 택시운전사에 등장하는 실존 인물인 독일기자 위르겐 힌츠페터 추모사진전을 열고 있다.

여기서는 그 시대의 택시와 안경, 여권 등 영화 속 소품 및 당시 언론인들이 기록한 사진과 동영상을 함께 관람할 수 있다.

또한 투어 코스인 전일빌딩에는 헬기 사격 총탄흔적 조형물을 설치하는 등 광주시는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5·18 사건의 참상을 알리고 의식을 함양하는데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광주문화재단을 통해 알아볼 수 있으며 문의전화도 가능하다.


 광주.png

[이미지 출처=광주문화재단 누리집]




한편 영화 택시운전사’를 통해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커진 지금, 정치계에서의 반응은 어떨까. 지난 13일 문재인 대통령은 위르겐 힌츠페터 기자의 부인 에델트라우트 브람슈테트 여사를 초청해 장훈 감독, 배우 송강호, 유해진과 함께 택시운전사를 관람했다.

문 대통령은 광주에서 민주화운동이 벌어지던 당시, 다른 지역 사람들은 그 진실을 전혀 알지 못했다. 그 사실을 보도한 기자들은 모두 해직당하거나 처벌을 받아야 했다. 남편인 위르겐 힌츠페터 씨 덕분에 우리가 그 진실을 알게 됐다라며 에델트라우트 브람슈테트 여사에게 감사의 뜻을 전했다.

이어 아직까지 광주의 진실이 다 규명되지 못했다. 이것은 우리에게 남은 과제이다. 이 영화가 그 과제를 푸는 데 큰 힘을 줄 것 같다. 또한 광주민주화운동이 늘 광주에 갇혀있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이제는 국민 속으로 확산되는 것 같다. 이런 것이 영화의 큰 힘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한 문 대통령은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의 전투기 출격대기와 헬기 사격 의혹 관련 긴급조사를 특별지시하기도 하였는데, 이에 대해 바른정당이 4당 중 유일하게 반대의사를 표명했다.

박정하 바른정당 수석대변인은 북핵 위협이 연일 계속되고 을지훈련이 한창인 이때 국방부에 대한 특별지시가 적절한지 납득하기 어렵다.”고 입장을 밝혔다.

바른정당은 지난 12택시운전사를 단체 관람했는데 보수정당에서 광주민주화운동을 다룬 영화를 시청한 것은 이례적인 일로 관심을 받은 바 있었다.

한편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대통령이었던 전두환 전 대통령은 택시운전사에 대해 완전히 허위날조고 나는 보지도 않았지만 군인이 도열해서 일제사격했다고 하는데 그런 일은 없었다."고 민정기 전 청와대 비서관을 통해 밝혔다.

전 전 대통령은 '전두환 회고록'에서 “5·18 사태는 폭동이란 말 이외에는 달리 표현할 말이 없다고 주장한 바 있으며 현재 영화 택시운전사는 왜곡 정도가 지나치다며 법적 대응도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놓은 상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4기 조영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1.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3.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4. "앞으로 생리대 뭐 써요?" 아직도 논란이 되는 생리대 해결방안은

  5. 일탈 행위에 빠진 청소년 이대로 괜찮은가?

  6. 임용고시...교사희망자 불만!

  7. 소년법, 처벌의 강화가 최선인가?

  8. 북한의 도발과 중국의 태도

  9. 돌아오지 못한 눈물, 스텔라 데이지호

  10. 세계의 논쟁 거리, (한국의) 개고기 식용 찬반 논쟁

  11. 청소년 보호법 폐지, 그리고 청소년

  12. 블라인드 채용 득인가 실인가

  13. 구별되고 분리되었던 공진초, 그리고 지금은?

  14. 청소년보호법과 소년법은 다르다?

  15. 헌재소장 임명 부결... 문재인정부 사법개혁 '적신호'

  16. 학교의 민낯 - 창살 너머의 아이들

  17. 런던의 또 한 번의 테러: 지하철역 안에서

  18. 재정 운영의 투명성이 중요한 이유

  19. 삐까뻔쩍한 아파트를 가진 가난한 사람들, 당신이 몰랐던 이유

  20. 도를 넘는 북한의 도발, 국민들은 안전한가?

  21. 6차 핵실험, 또다시 북한을 감싸는 중국

  22. 노동계의 사각지대. 비정규직 그들의 외침....

  23. 사과, 어려운 일 입니까?

  24. "법을 악용하는 청소년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들끓는 소년법 폐지 요구

  25. 청소년들에게 물어보다, 청소년 범죄 처벌 강화 찬반

  26. 기싸움 중인 제주도와 도의회, 정책협의회 개최

  27. 서울 광화문 미국 대사관 앞 대규모 "사드 배치 반대" 집회

  28. 초강력 허리케인 '어마', 카리브 해 연안 도서 및 美 남부 강타해 피해 속출

  29. 소녀상 지킴이들 '소녀상 농성 대학생 단체', 600일 맞다.

  30. 노동인권을 다룬 만화, '송곳'을 통해 알아보는 노동3권

  31. 실질적 사형 폐지국 대한민국, 아직도 뜨거운 사형제도 폐지 찬반 논란

  32. 만 18세 선거권 하향, 그 논란의 주 요지는?

  33. 살충제 계란, 지금에서야 밝혀진 이유

  34. 커지는 소년법 폐지 여론..‘소년법 개정’으로 이어지나

  35. 북한, 6차 핵실험

  36. 불안한 일회용 생리대, 천 생리대는 어때?

  37. “졸업이 실업” 청년층 체감 실업률 22% ‘사상 최악’

  38. 5060 신중년 정책, 국민들의 많은 관심이 필요합니다.

  39. 철원 자주포 사고, 2년 전과 똑같은 비극이 반복되다.

  40. 문재인 대통령 광복절 경축사, 그 안에 담겨 있는 새 정부의 메세지

  41. 생리대, 과연 안전한가?

  42. 살충제 달걀 사건으로 알아보는 살충제 이야기

  43. 우리 사회 이대로 안전한가?

  44. 우리나라 먹거리의 잔혹사 첫 번째, 우지파동

  45. 국민의당 27일 전당대회 통해 새 지도부 선출

  46. 정부기관 사칭하는 ‘한국청소년역사진흥원’ 등장..네티즌 주의 필요

  47. 부산 여중생 폭행사건 여파로 '청소년 보호법 폐지' 처벌 강화 청원 2만명 넘어

  48. 통화녹음 알림 법, "사생활 침해 vs 약자 보호"

  49. 04Sep
    by 4기조영지기자
    2017/09/04 Views 15395 

    광주로 오세요! 천만관객 달성 '택시운전사' 광주 5·18 현장 탐방 프로그램 열어.. 정치계 반응은?

  50. 5·18 광주 민주화운동 진실 규명 이뤄지나 … 발포 명령 문서 첫 발견

  51. 우리가 기억해야 할 그 날의 용기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