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차이, 그리고 갈등

by 4기유승균기자 posted Jul 25, 2016 Views 1598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인간이라는 생명체를 두 종류로 나누어보자. 어른 아이, 동양인 서양인... 많은 분류 방법이 존재할 것이다. 그 중에서도 여성, 남성으로 나누는 경우가 가장 보편적일 것이다. 이 둘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일단 신체적인 차이가 있다. 신체기관에 차이가 있고, 신체능력도 어느 정도 차이가 나는 경우가 있다. 과거에는 이 둘의 차이를 빌미로 심한 차별을 하였다. 과거 우리나라의 유교적 관념은 남자만의 사회적 지위를 높게 하는 등 그 역할을 다르게 하였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현대사회가 되고, 이러한 차별은 어느 정도 사라지게 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몇 가지 문제가 있고, 이것을 해결하려다보니, 또 다른 차별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현재에는 이로 인해 심한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일단 갈등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몇 가지 그 원인에 대해 논해보겠다. 과거부터 이어진 남녀사이에 있었던 차별, 이것이 해결되어야 하지만, 위에서도 말했듯이 오히려 역차별을 낳는 등의 경우가 생긴다. 예를 들어보자. ‘노약자석버스, 지하철 등에서 임산부, 노인 등을 위한 좌석이었다. 노약자들을 규칙으로 배려할 수 있고, 그것이 바람직하다는 문화까지 형성해준 제도였다. 그런데, 몇 몇 시에서 여성을 위한 좌석을 만들었다. 사실 보편적으로, 여자가 남성에 비해 신체적인 능력이 약한 감이 있기는 하다. 하지만, 여성좌석을 만든 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임산부처럼 분명히 배려를 받아야 되는 경우가 아닌 여성을 위한 좌석이 마련되어 있다는 것은 여성을 사회적 약자로 보았다는 것이다. 단순히 남성에 대한 역차별로 볼 수 있지만, 그것을 떼놓고 보더라도 이것은 여성을 배려를 받아야만 하는 존재로 보았다는 것이다. 이것은 남녀의 차이를 확대해석하여 오히려 여성의 사회적 위치를 낮추어 버린 제도라는 것이다. 또한 여성 전용 도서관을 마련한 경우도 있다.’여성만이 사용하는 도서관이라는 것도 비판의 여지가 있지만, 더한 것은 여성전용 도서관을 만든 이유 중 도서관 내 성범죄로부터 여성을 보호하기 위해서 라는 사항이 있었다는 것이다. 성범죄를 분명히 예방해야 하지만, 그것의 형태가 꼭 여성 전용 도서관이라는 것은 큰 논쟁거리가 될 수밖에 없다. 가로등 설치, 신고 시스템 및 CCTV 설치 등, 같은 혹은 그보다 저에산으로 진행 할 수 있는 형태의 성범죄 예방 방법이 있는데, 여성 전용 도서관을 지은 것은 비합리적이라고밖에 볼 수 없다. 또한 여성만이 성범죄의 피해자가 된다는 고정관념도 이 속에 뿌리내려져 있다.

위에 예시로 주로 여성 전용시설 등을 들었지만, 여성이 차별을 받는 경우도 그만큼 많이 존재한다. 특히 관념적인 부분에서 강하게 작용하고 있는데, 이런 상황에서 남녀간 갈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인터넷 상에서 이런 갈등구도가 심화되고 있는데, 몇몇 특정 사이트에서 이러한 갈등이 더욱 조장되는 추세이다.

 179b2322fd044947e9d517cc31540219.png

 -인터넷에서 가장 논쟁점이 되었던 남녀차별 관련 문구-


최근 가장 화제가 되었던 사태는 모 사이트에서 ‘girls do not need princes’라는 문구가 기재된 티셔츠를 팔고, 그 셔츠를 구매한 사실을 SNS에 인증한 성우가 게임 회사에서 그 성우의 음성파일을 삭제 한 사례이다. 모 사이트는 여성들의 권리를 주장하는 사이트라 자신들을 소개한다. 여성이 피해를 본 경우, 또 그들의 권익이 실추당한다고 생각되면, 그에 대해 항의를 하는 등 적극적인 남녀차별 해결을 위한 행동을 진행한다. 여기까지의 설명만 들으면 상당히 좋은 사이트라고 느껴진다. 하지만, 이 사이트의 몇몇 유저들이 고인모욕을 하거나 남녀차별이라는 것을 빌미로, 예술가들의 작품을 확대해석하여, 여성의 명예를 실추시킨다고 악플을 다는 등 문제를 일으켰다. 가장 큰 문제는 사이트에서 일부유저들이 악플을 달아 고소를 당하면, 위의 티셔츠 판매금으로 배상금을 지원해주었다는 것이다. 이는 분명 여성의 권익 향상을 빌미로 다른 사람들에게 상처를 주고, 사회적인 파장을 일으킨 일이었다. 게임회사에서는 문제를 일으킨 성우를 해고한 것이 아닌 정당히 비용을 지불하고, 받은 성우의 음성파일을 사용하지 않았을 뿐인데, 남녀차별의 사례라 하며 게임회사앞에서 시위를 진행하는 등 사회적인 물의를 일으키고 있다.

남녀차별은 관념적으로 깊게 뿌리내려져 있다. 의식적으로는 그것을 깨려 노력하지만 쉽지는 않다. 에를 들어 여경찰이라는 표현은 방송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지만, ‘남경찰이라는 표현은 접하기 쉽지 않다. 이 안에는 경찰을 여자가 하는 것은 특이한 사례라는 고정관념이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사실 이정도의 고정관념은 우리 삶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하지만, 인터넷상 사이트간의 갈등 그리고 그것을 사회에 드러내 물의를 일으키는 등, 남녀차별로 인한 문제는 끊이지 않고 있다. 남성, 그리고 여성 이들은 같은 사람으로 항상 공존해 왔고, 앞으로도 함께 살아갈 존재이다. 한쪽이 대두되거나 사회적 지위가 높아서도 안 되고, 한쪽이 차별당해서도 안 된다. 애초에 남자 여자로 나누어 이 둘의 갈등을 정의하는 것도 웃기다 생각하지만, 사회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다. 분명 우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평등하게 화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3기 유승균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36024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894957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327057
차선규제봉 관리가 제대로 되고 있는 것인가? file 2021.07.26 이은별 12682
차세대 전자여권, 어떤 점이 달라졌을까? 1 file 2022.01.27 민유정 10857
차세대 항공기 보잉787 file 2017.03.17 신준영 13756
차세대 항공기 보잉787 2 file 2017.03.29 신준영 15313
차이, 그리고 갈등 file 2016.07.25 유승균 15980
차정원, 그는 누구인가 1 file 2018.08.27 노현빈 15892
차준환, 남자 피겨의 역사를 새로 쓰다 file 2018.11.01 정재근 21316
참 언론의 참 기능, 영화 <스포트라이트> 2 file 2016.03.20 임하늘 16476
참된 되살림의 현장, 안양 교복은행 나눔장터 3 file 2017.02.18 김효림 18268
참신한 최신 스마트기기가 궁금하다면 스마트 디바이스 쇼로! file 2017.08.16 이승아 14971
참여와 소통을 통한 화합의 장을 마련하다, '2017 오송읍 주민화합 한마음 축제' file 2017.06.13 김다빈 16366
참외씨, 먹어야 할까? 2017.07.25 박수연 18841
창동 예술촌으로 놀러오세요~ file 2016.04.02 이서연 16755
창문으로 넘어오는 담배 냄새 싫어요! 1 file 2017.08.29 김예닮 28757
창원 시민들의 화합의 장 '제15회 창원야철마라톤대회' file 2019.04.18 민서윤 17389
창원서, '전국특례시시장협의회' 개최 file 2021.04.26 김진영 10556
창조경제 도시 포항, 포항운하로 여행을 떠나요~ file 2016.07.25 권주홍 15242
채식으로부터 오는 모든 것 file 2019.03.20 김지현 19062
책 <조선 국왕의 일생>을 통해 조선시대 왕들의 삶을 보다 file 2018.12.03 이태권 16514
책가방 대신 카메라를 메고 교실 밖으로 나온 여고생 슬구를 아십니까? 2 file 2016.05.27 김윤정 17423
책과 과학의 만남 1 file 2022.02.14 현예린 10473
책과 함께, 경의선 책거리 file 2018.05.30 최금비 14891
책나눔터가 뭔지 알아? 4 file 2017.03.01 김경민 16017
책소개 - 미움 받을 용기 1 file 2016.09.26 이지은 18494
책으로 떠나는 '언택트 피크닉' 5 file 2021.02.25 정다빈 15123
책으로만 본 국회의사당, 직접 만나보세요! 7 file 2017.02.08 김수오 18191
책을 꾸준히 읽을 수 있는 좋은 습관, '독서 마라톤' 4 file 2017.03.11 최영인 20664
책의 도시, 군포시! file 2014.10.23 이효경 23839
책읽어주는 언니오빠와 함께 알아가는 책 읽는 즐거움 1 file 2017.02.22 곽문주 15988
처음으로 부산에서 열린 2016-2017 KCC프로농구 올스타전! 3 file 2017.01.22 김다정 19699
천고마비의 계절, 독서와 함께 마음을 살찌우자! 2 2017.10.31 홍서영 14087
천년의 역사 속 무지개 행렬, 전주 퀴어 문화 축제 file 2018.04.20 김수인 16598
천사가 될 수 있는 가장 따뜻하고 든든한 방법? 10 2017.03.03 하영서 17510
천안시, 빵의 도시를 위한 새로운 발돋움...베리베리 빵빵데이 개최 file 2023.03.24 박상연 7274
천안에 도시락 배달 천사들이 떴다! 1 2017.08.25 오세민 16352
천왕동청소년문화의집, 서울오케스트라와 업무협약 체결 file 2023.03.07 디지털이슈팀 8131
천재교육, 그 이념과 목표의 깊이에 대해 알아보다. file 2017.05.25 김해온 17857
천진 모의유엔 2019 file 2019.11.22 김수진 19382
천헤의 속살, 천지연 폭포를 바라보다 file 2016.06.12 박도은 16820
첨단 의과학캠프의 현장으로 file 2017.08.12 김민지 13550
첫 '남녀부 분리 운영'의 V-리그, 무엇이 달라졌을까 1 file 2018.11.12 김하은 15658
청년 수당, 본격 시행되다 file 2017.05.24 송다원 14000
청년 실업 대란 속 일본과 한국의 프리터족 file 2018.08.08 이승철 18301
청년 예술가를 찾아서! file 2021.09.27 김동은대학생기자 12075
청년들에게 희망을, 서울 밤도깨비 야시장 2017 1 file 2017.11.06 오소현 17405
청년들의 꿈과 희망을 키워줄 'MBN Y 포럼 2019' 2019.02.12 오승엽 14620
청년들이 세상을 바꾼다! 제5회 '청년의 날' 축제 개최 file 2021.11.08 최우석 9815
청년들이 제작하는 국내 최초 환경 용어 뉴스레터, '이유있는 기후식' 2021.11.30 지혜진 150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