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AR과 포켓몬 GO

by 3기박성수기자 posted Jul 19, 2016 Views 1624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Untitled-1.png

[이미지=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박성수기자ⓒ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요즘 국내외적으로 포켓몬 GO에 대해 뜨거운 열기를 띠고 있다. 여기서 AR이라는 기술이 사용된다는데, 오늘은 이런 AR이 무엇이며, 이것이 어떻게 포켓몬 GO에 대해 적용된 원리, 그에 따른 배경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AR이란 무엇일까? AR은 일명 우리말로 풀이하면 증강 현실이라고 한다. 여기서 잠깐 지식백과를 살펴보면 '실세계에 3차원의 가상물체를 겹쳐서 보여주는 기술을 활용해 현실과 가상환경을 융합하는 복합형 가상 현실.'이라고 한다. 여기서 혹시나 이해하지 못한 사람들을 위해 간단히 예를 들면, 스마트폰에 카메라로 앞의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 AR은 여기서 더 나아가 앞에는 분명히 없는 3차원의 물체가 스마트폰 안에서는 보인다는 것이다. 일명 그림의 떡이라는 비유로 맞아떨어질지도 모르겠다.


  포켓몬 GO는 이러한 AR을 이용해서 간단히 특정 위치에 가상의 포켓몬을 두어서 게이머들이 스마트폰 내의 포켓몬볼로 잡는 그러한 게임이다. 이런 간단하게 생긴 게임이 주목을 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유로는 여러 요인이 있다. 일단 이 게임이 어딘가로 모험한다는 간단한 것에서 출발해 이리저리 거리를 돌아다니며 사회성, 주변 환경에 대한 관심, 소비 유도, 창의성 등까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 우리나라의 상황은 어떨까? 현재 우리나라는 포켓몬 GO의 2차 출시국에 포함되고 있지 않다. 그 이유로 들 수 있는 것 중 하나가 구글 지도의 반출을 허용하지 않는 우리나라의 정책 때문이다. 이는 구글이 우리나라의 군사기지 등을 모자이크 처리하거나 국내에 서버를 들여와 세금을 내면 국내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이유에도 불구하고 이에 동의하지 않은 구글의 꼼수가 있다거나 우리나라의 과도한 규제라는 말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속초 등 일부 지역은 플레이가 가능하다. 이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나이앤틱의 구획 지도와 관련이 있다. 닌텐도는 포켓몬 GO를 출시할 당시 한국을 서비스 제외국으로 설정되었다. 이를 마름모꼴로 구분한 지도가 있는데, 여기서 속초 부근을 북한과 함께 'NR15-ALPHA-12' 구역으로 묶여 있는데, 이 지역에는 포켓몬 GO가 실행되는 지역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는 서해 5도 전역, 울릉도 전역에서 플레이가 가능한 이유가 되기도 한다.


  이런 AR의 흐름 속에서 하나의 명작이 된 포켓몬 GO로 국내, 국외적으로 큰 관심이 일이났다. 이에 발맞춤하기 위해서 우리나라도 무조건적인 한국형 AR 게임 양산이 아닌 장기적으로 그에 대한 연구와 그에 대한 지원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IT과학부=박성수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43614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06463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342408
문화가 있는 날, '톡, TALK! 기상 콘서트'로 떠나요 file 2017.09.28 김나현 17034
헌 물건이 새로운 주인을 만나는 고양시 나눔 장터 1 file 2017.09.28 김서현 16389
1000원? 5000원? 아니, 이제는 2000원! 2 file 2017.09.28 이승희 16598
덴마크식 정치실험, 이종걸, 정병국, 박지원 의원과 협치를 논하다 file 2017.09.28 김정환 17766
다가오는 추석, 변화된 추석 1 file 2017.09.28 이한빈 15855
2017 남양주 슬로라이프 국제대회 개최! 2017.09.28 신유림 16748
우주로 가는 과학!! ‘Science to space’ file 2017.09.27 백예빈 17414
청소년들이 만들어가는 사회의 변화, YOUTHCHANGEMAKERS file 2017.09.27 조하은 16320
꿈나무 아이들의 급식실, 편의점 1 file 2017.09.27 신유정 23736
미디어를 테이크아웃 하라 file 2017.09.27 고은서 17162
전국 최초의 충청남도 서천 생태 유학마을 2017.09.27 전건호 15505
'세종에 말한다!' 세종시 청소년 사회 참여 발표 대회 개최 2017.09.27 김홍재 16726
서초구를 뒤흔들다. 2017 서초구 서리풀 페스티벌 file 2017.09.27 김서영 106409
길거리에서의 흡연, 개선 방법은? 1 file 2017.09.27 어윤서 25377
함께 만들어가는 하모니, 노래하는 바람개비 2017.09.26 안세은 16211
[책소개] 그들만의 역사가 아닌 아프리카 2017.09.26 이수빈 14339
K-Beauty로 세계를 물들이다! ‘2017 오송 화장품 뷰티 산업엑스포’ file 2017.09.26 김다빈 15923
나도 말할 수 있다. '아이 캔 스피크' file 2017.09.26 김예은 15412
충전 방식의 변화와 이차전지, '슈퍼 커패시터'의 탄생 file 2017.09.26 최민영 16770
제21회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을 다녀오다. file 2017.09.26 백준채 13972
한 사회참여 동아리를 만나다 file 2017.09.26 임규빈 14978
빅 벤, 4년을 기다려야 할 종소리 file 2017.09.26 정현서 14085
한국 천주교 순교자들의 역사, 오륜대 한국 순교자 박물관 file 2017.09.26 허재영 17313
울산 북구 청소년 예술제 "너의 끼를 보여줘!" file 2017.09.26 김태은 15597
느티나무 가족봉사단이 꿈꾸는 함께 아름다운 세상 file 2017.09.26 오가연 13768
'제7회 스마트 디바이스 쇼 2017' 에서 미래를 엿보다 file 2017.09.26 오주연 14540
'#셀피 나를_찍는_사람들' 하나의 해쉬태그로부터 예술이 되기까지 file 2017.09.26 오주연 15464
국가란 무엇인가 - 유시민 file 2017.09.26 홍도현 16007
어느날, 내가 죽었습니다. [새로운 나를 위한 힐 다잉체험기] file 2017.09.26 이승호 15350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보안! 「SSTF(Samsung Security Tech. Forum)」 개최 2017.09.26 안도현 13843
광주 트라우마센터 치유의 인문학 시인 박준, "슬픔은 자랑이 될 수 있다" 1 file 2017.09.25 이세림 16248
여름아, 안녕 2017.09.25 함주연 14959
매력 덩어리, '스포츠 클라이밍' 1 file 2017.09.25 이예준 23808
금융과 기술의 결합, 로보어드바이저 file 2017.09.25 김나영 13517
2017 대한민국 LED 산업전과 대한민국 ICT 융합 엑스포 성황리에 마쳐 file 2017.09.22 박광천 17504
갈색 지방, 지방이라고 다 같은 지방이 아니다! 1 file 2017.09.22 박광천 21102
제13회 경암 바이오유스캠프 file 2017.09.22 한제은 16607
가을, 책을 읽어볼까요? 6 file 2017.09.22 김수인 15317
광주 프린지 페스티벌, 그 멋과 열정 속으로 1 file 2017.09.22 김서영 17744
아파트 주민들, 고양이를 키우다 4 2017.09.22 유예은 15288
안양국제청소년영화제 성공적으로 막을내리다. 1 file 2017.09.22 김가희 14460
"기억합니까?" 당진청소년 평화나비 Festa 2017.09.22 김마음 15861
[우리 지역 행사] 제37회 전국 장애인체육대회 충주에서 성공적으로 개최 file 2017.09.21 유민상 17967
ASMR, 당신은 사용하시나요? 4 file 2017.09.21 안현진 17244
약(弱)팀에서 약(藥)팀으로! 롱주, 롤챔스 섬머 우승 file 2017.09.21 조윤지 17084
일본의 숨겨진 작은 제주도 1 file 2017.09.21 김하은 17953
논란의 중심에 선 생리대, 그 해결책은? 1 file 2017.09.21 주은비 16266
너도 나도 우리 모두 책이다! file 2017.09.21 홍수빈 1636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