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이달의 세계인] '채식주의자' 맨부커상 수상의 주역, 데보라 스미스

by 3기정가영기자 posted Jun 06, 2016 Views 1728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최근들어 한강의 '채식주의자'가 유명세를 타기 시작하며 인터넷 서점에서 3주 연속 베스트셀러 순위 1위를 달리고 있다. 지난달, 영국 맨부커상에서 수상을 한 덕분이다. 노벨 문학상, 공쿠르 문학상과 함께 3대 문학상 중 하나인 맨부커상(Man BookerPrize)은 1969년 영국에서 시작된 문학상으로 영국 연방국가 내에서 출간된 영문 소설 중에서 수상작을 선정한다. 2005년부터 맨부커 국제상(Man Booker Internation Prize)를 추가로 만들었으며 국가와 관련없이 영어로 번역된 최고의 문학 작품에 시상에 한다. 즉 '채식주의자'가 맨부커상을 받기 까지에는 '데보라 스미스(Deborah Smith)'의 역할이 굉장히 중요했다.


 데보라 스미스는 21년 동안 한국에 대해서는 접해본 적 이 없는 영문학도였다. 그녀는 번역가가 되기로 마음을 먹고 영국의 서점에가서 책을 둘러보던 중 이런 생각을 문득 하게 되었다. '한국처럼 부유한 나라면 문학계가 활발할텐데 알려진 작품이 적구나.' 그래서 그녀는 2010년인 스물 한 살때 부터 한국어를 독학하기 시작했다. 한국 소설을 전문적으로 하는 번역가도 턱없이 부족했고, 특히나 그에게 한국어의 미묘한 뉘앙스를 영어로 파악하기에는 너무 벅찼다.


 그녀의 첫 번째 번역은 한국어 공부를 시작한 지 2년째 되어서야 시작했다. 그러나 그 번역은 그녀에게 너무나 불만족스러웠다. 그가 말하기를, "단어를 하나 걸러 하나씩 찾아봐야했던 끔찍한 실력"이었다. 그러나 그는 포기하지 않았고 계속해서 공부를 해나갔다.


 그러던 2012년 한강의 '채식주의자'를 접하게 된다. 처음 번역한 작품을 회사로부터 퇴짜맞고도 다시 도전할 정도로 애착이 강했다. 결국 그의 이러한 집념은 영어로 번역된 비영어권 작품에게 주어지는 맨부커 인터내셜상으로 보상받았다. 맨부커상 선정위원회는 "경이롭다", "이 책이 영어로도 완벽하게 제 목소리를 냈다"며 극찬을 보냈다.


KakaoTalk_20160606_130004190.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정가영 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수상 도중 데보라는 "한국엔 세계적 작가들이 많은데 아무도 몰랐다"고 하며 울음을 터뜨렸다. 실제로 우리나라에는 문학성이 뛰어난 작품이 많지만 영어로 번역하기에는 한국어의 미묘한 뉘앙스를 잡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상을 못 받는 것이 일쑤였다. 예를 들면 매년 노벨문학상에 거론 되는 시인 고은같은 경우이다. 한국에 대해 잘 알지도 못했던 어느 영국 젊은이였던 데보라의 이번 수상은 한국문학의 문학성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데보라가 맨부커상 수상의 일등공신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 3기 정가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전지우기자 2016.06.12 22:13
    데보라의 훌륭한 번역이 맨부커상을 탈 수 잇게 한 것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기자님의 좋은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3기정가영기자 2016.06.14 00:18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83983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64612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409057
약(弱)팀에서 약(藥)팀으로! 롱주, 롤챔스 섬머 우승 file 2017.09.21 조윤지 17131
학교안 정크푸드, 그린푸드로 4 2017.07.16 김영은 17132
서울중앙지방법원이 시민들과 소통하는 방법 - 재판 방청 프로그램 2 2017.02.25 최다영 17135
따라쟁이, 의식쟁이 사람들 3 file 2017.03.27 최윤원 17136
마음을 나눌 수 있는 곳 '느림우체국' 2 file 2017.03.21 이다은 17138
한국 청소년, 미국 친구들과 만나다! file 2019.07.29 이솔 17143
경기도 의정부시, 삼성 드림락서 행사 개최되다!! file 2017.06.04 이현 17144
공간의 진화, 트렁크 룸 1 file 2017.03.26 김하은 17147
1919년 3월 1일 , 그날의 함성이 우리에게 닿는 날 file 2016.03.21 한지혜 17150
가장 한국적인 도시, 전통이 살아 숨쉬는 전주로 떠나자! file 2017.07.18 조지원 17154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과 오사카시의 만남, 전국 더 리얼 at 오사카성 1 file 2017.02.23 석채아 17156
수륜 메뚜기가 전국에 가을을 알린다! ‘2017 제3회 성주 가야산 황금 들녘 메뚜기잡이 체험 축제’ file 2017.10.18 김나현 17156
흰지팡이는 무엇을 의미할까? file 2017.09.19 정은희 17158
부산의 기자 꿈나무들, 부산일보에 모이다 file 2016.04.05 이민지 17160
일본에 숨겨진 작은 왕국, 류큐 왕국 file 2018.03.28 김하은 17162
한국 직장의 모습을 거짓 없이 드러낸 영화 '오피스' 6 file 2017.01.22 최윤정 17163
그리워 그리는 '김광석 다시 그리기 길' 1 file 2017.02.22 허선주 17163
수화가 아니라 수어라고? - 조금은 특별한 봉사활동 file 2017.10.24 홍정연 17169
지친 청춘들을 위한 박지선과 폴킴의 강연, <청춘강연> 1 file 2018.06.12 김지민 17171
2016년 트렌드, 정교한 감각과 평범함의 향연 file 2016.05.22 한세빈 17174
딥 러닝, 알파고의 천재적인 실력의 비밀? 4 file 2017.02.20 강상윤 17178
선동이란 무엇인가 4 file 2017.04.23 임재우 17178
뉴욕과 파리도 제친 서울의 물가, 세계 물가 6위를 차지하다 1 file 2017.04.15 박유빈 17183
대뇌피질 뇌지도 완성, 뇌질환 극복이 한걸음 앞으로 file 2016.07.22 박가영 17186
2020년 온라인 과학축제 1 file 2020.04.17 서영빈 17186
펴야 할까? 켜야 할까? 코로나 팬데믹으로 급증한 전자책 이용률…종이책 대체 가능할까? file 2021.09.23 정지운 17186
저널리스트의 꿈을 꾸다 1 file 2017.12.04 김연주 17187
방송심의, 적절하다고 생각하시나요? - 10대부터 40대 시청자에게 물었다 2 file 2018.03.02 신아진 17189
먼나라 이웃나라, 일본으로 교류 캠프를 떠나다 1 2017.08.09 오세민 17190
민주주의의 꽃이 피워지기까지 file 2016.06.24 최원영 17194
이주민들의 희망센터, 로뎀 1 file 2017.03.19 김다은 17194
뜨거운 코트를 가르며 BOOM UP 1 file 2019.02.08 이귀환 17194
보건복지부 청년수당 최종동의 3 file 2017.04.10 김승연 17195
서울시교육청 전자책 서비스 See, 한번 이용해 볼까요? 5 file 2016.02.24 지예슬 17196
왜곡된 생리 찾아 삼만 리, “나 생리한다!” 2020.03.02 최은아 17197
과학 호기심이 활짝 피다-국립대구과학관으로 오세요 file 2017.03.25 이영준 17198
독일어를 즐기고 싶은 사람들에게, 주한독일문화원 '파쉬 페스트' 1 file 2017.06.25 장지윤 17198
생태교란종 "붉은귀거북" 무더기 발견 file 2020.05.11 김은준 17198
“나도 성악가” 부천 소사에서 펼쳐지는 가곡교실 4 file 2017.02.16 김준희 17204
퀴어, 광주를 무지개로 밝히다; 제1회 광주퀴어문화축제 3 file 2018.10.25 김어진 17204
유상철 감독 체제 첫 승리 인천 유나이티드 file 2019.05.29 김민형 17204
웹드라마 '독고빈은 업뎃중', 8월 28일 첫 방송 file 2020.08.26 노연우 17207
덕후, 새로운 문화를 만들다! file 2017.10.02 이지우 17209
몽골 아이들의 온기를 느낀 GVT file 2016.07.25 이민재 17210
137년 vs 14년, 한 맺힌 팀들의 대결…UCL 결승 6월 1일 개최 file 2019.05.31 권진서 17210
전주 한지 온누리에 펼치다 2 file 2017.06.04 설서윤 17211
카이스트가 해냈다! 이제 집에서 신경치료 하자! file 2018.11.16 백광렬 17211
날아라 국제고 꿈꾸라 국제고인, 전국 국제고 연합 학술제: WELCOME TO GGHS file 2018.11.22 윤수빈 172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