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요즘은 '소논문'이 대세?!

by 3기천예영기자 posted May 22, 2016 Views 1830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취재지역 502-841 광주 서구 화정로189번길 30 (광주 서구 화정동 657-8) (화정동, 광주교육정보원)

     요즘 대학입시에서 수시전형의 비중이 70%에 육박하며 생활기록부와 자기소개서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여기에서 자신을 돋보이게 해주는 중요한 스펙 중 하나로 손꼽히는 것은 ‘소논문’이라고 할 수 있다. 소논문이란, 아직 충분한 전문지식과 경험을 갖추고 있지 않은 고등학생들이 쓸 수 있는, 등재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학교에서 배우지 않는 교과 외적인 심층적 지식을 얻기 위한 작은 구성의 논문을 말한다. 이렇듯 소논문 쓰기가 대학 입시에서 강조되는 최근 추세에 발맞추어, 소논문 쓰기에 도전하는 고등학생들을 위한 강연이 5월 21일 토요일 오전 9시부터 12시까지 광주광역시 교육정보원 대강당에서 약 500명의 광주 소재 고등학교 재학생 1,2학년들을 위해 열렸다. 연사는 광주교육정책연구소의 김옥희 연구원님으로 강연은 총 3부로 나뉘어 1부에서는 소논문쓰기 소개 및 주제설정, 2부에서는 연구방법 및 그 실제에 대한 내용에 대해 다뤄졌고, 3부에서는 자유로운 질의응답 시간이 주어졌다.

wjscptkwls.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천예영 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부의 내용은 ‘소논문쓰기는 필요한가’, ‘소논문쓰기 활동 계획 오리엔테이션’, ‘관심 있는 영역, 탐구하고 싶은 주제 찾기’였다. 중요한 점은 현재 소논문쓰기가 마치 대학 합격의 당락을 결정하는 중요한 열쇠라도 되는 것처럼 모든 학교에서 ‘소논문 열풍’이 불고 있지만, 실제는 그것이 아니라는 것이었다. 소위 말하는 서울 소재의 명문대 입학사정관들이 밝힌 입장은 모두 ‘우리 학교는 그 어떤 전형에서도 소논문을 반영하지 않는다’는 것이었고, 소논문을 작성해본 실제 학생들의 경험담에서도 소논문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는 내용이 다수를 차지했다. 그렇다면 여기서 우리가 궁금한 것은 ‘이렇게 아무런 도움도 되지 않는 ‘소논문’을 써야할 것인가?‘인데, 질문에 대한 대답은 ‘네가 필요하면’이다. 단지 생기부에 쓰면 좀 있어 보이는 스펙이 될 것 같아서 소논문쓰기를 한다면 그 것은 대학입장에서는 이도저도 안 되는 그저 시간낭비로 보인다는 것인데, 이에 대해 김옥희 연구원은 소논문쓰기에서 가장 중요한 열쇠는 자발성과 필요성이고, 주제도 자신의 관심분야여서 타 활동과도 그 맥락이 연결이 되는지에 대해 꼭 생각해 보는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대학이 보는 가장 결정적인 점은 소논문쓰기를 한 이유, 무엇에 대해 하였는지, 그 과정 그리고 이를 통해 자신이 얼마나 ‘발전’했는지 였다. 단지 소논문을 썼다고 해서 가산점을 받는 것이 아닌, 그 과정 속에서 자신의 발전과 변화를 보여주는 것이 대학입시의 열쇠였던 것이다.


     2부는 소논문을 쓰는 방법에 대한 본격적인 내용이 주를 이루며 ‘연구방법에 따른 논문 구성 체제 익히기’, ‘연구주제의 구체화 및 목차 만들기’, ‘논문 쓰면서 부딪히는 문제와 해결책’에 대한 설명이 계속되었다. 기본적인 논문의 형식은 ‘서론-이론적 배경-연구방법-본문:연구결과-결론 및 제언’ 총 5단계로 이루어지는데, 단연 중요한 것은 논문의 전체적인 방향을 잡아주는 ‘서론’과 시사점을 주는 ‘본문:연구결과’이다. 먼저 독자에게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서론’에서는 연구동기, 연구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며 전체적으로 연구에 대한 소개가 들어가야 한다. 이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첫 문장은 간결하면서도 뒷내용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문법에 맞게 써져야 한다. 4번째 장인 ‘본문:연구결과’는 크게 연구결과와 해석으로 나눌 수 있는데, 결과는 같아도 사람에 따라 결과에 따른 의미부여가 달라지기 때문에 ‘나’의 역할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김옥희 연구원은 연구팀 선정, 일정 계획, 논문 주제 선정, 표절 없이 인용하기 등 소논문쓰기에서 반드시 다뤄져야 할 중요한 내용에 대해 학생들에게 자세히 설명하였다.

SDC1136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천예영 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마지막인 3부에서는 소논문쓰기에 첫발을 내딛을 고등학생들과의 열정적인 질의응답이 약 1시간가량 계속되었고, 강연은 끝을 맺었다.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인재를 원하는 대학의 좁은 문을 뚫고 나가려는, 더 깊고 심도 있는 지식에 대한 학습을 원하는 학생들을 위한 이번 강연은 ‘소논문’이라는 멀고도 어려운 존재에 대해 학생들이 좀 더 친숙해 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 강연이 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을 좀 더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길을 찾는 데에 도움을 주었기를 바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3기 천예영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김경은기자 2016.05.25 00:40
    저도 현재 학교에서 실시하는 '덕원인문아카데미'에서 소논문쓰기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대학입시준비를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저희들을 위하여 생활기록부와 자기소개서에도 작성가능한 소논문쓰기 활동에 대해 교내 선생님께서 설명을 해주시는데 참 흥미롭더라고요. 8월 말까지는 이 활동이 지속 될 것 같은데 마지막에 결과물이 어떻게 나오게 될지 벌써 기대가 됩니다. 기사 잘 읽고 가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79347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58282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403264
제17회 신동엽 시인 전국 고교백일장, 신동엽 시인 50주기 맞아 뜨거운 문학의 열기 file 2019.04.16 정다운 21793
10대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패션 브랜드 '키르시(KIRSH)' 9 file 2019.04.12 김세린 42142
석촌호수 벚꽃축제, 봄과 밤의 어울림 5 file 2019.04.12 정다운 29082
봄 가득 희망 가득 '삼척 맹방유채꽃축제' file 2019.04.12 박지영 25526
STADIA 혁신인가, 꿈일 뿐인가? 2 file 2019.04.10 방재훈 19766
봄의 시작을 알리는 '2019 진해군항제' 3 file 2019.04.09 백휘민 19866
거울아, 세상에서 가장 한복이 잘 어울리는 사람은 누구? 1 file 2019.04.05 오서진 21351
글로벌시대에 필요한 열쇠! 해외 유학! 1 file 2019.04.04 최민경 26559
새로운 팬덤 문화의 시작, '아미피디아' 4 file 2019.04.03 김여진 22180
서울시립과학관에서 만나는 과학 file 2019.04.01 봉하연 20236
설레는 봄, 추억 만들기 file 2019.04.01 이시현 17754
Tom Plate(톰 플레이트)-리콴유와의 대화(Conversations With Lee Kuan Yew) file 2019.04.01 홍도현 20416
1년 365일 자원봉사하기 좋은 날 2 file 2019.03.29 김수현 19854
매화마을과 화개장터, 꽃축제로 봄을 알리다 file 2019.03.29 천서윤 20583
2019 세계 뇌주간 행사 '뇌로 떠나는 여행' 광주 개최 file 2019.03.28 유수진 18886
복잡한 사회에 심플한 삶, '미니멀라이프' file 2019.03.28 김현정 19291
높아지는 축구 열기, 한국 축구의 봄날이 오다 1 file 2019.03.28 이준영 20762
[2019 세계 뇌주간] 창의성의 비밀, 뇌과학은 알고 있다 2019.03.27 김규린 23911
'밀어서 잠금해제' 아닌 초음파로 바로 하자 file 2019.03.27 나어현 19916
통일, 그게 뭐에요? file 2019.03.27 김주혁 18361
가족과의 봄나들이, 불암산나비정원 file 2019.03.26 장윤서 19390
'관중 친화적' MLB급의 창원NC파크 2019.03.26 백휘민 21290
'창원NC파크 마산구장' 드디어 개장 file 2019.03.26 민서윤 20803
오사카 꼭 가야할 곳 TOP3 2 file 2019.03.26 하늘 19399
청주에 울려 퍼지다. 만세의 함성 file 2019.03.26 양희진 17596
국제기구 진출, 외교부를 전적으로 믿으시면 됩니다 2019.03.25 신여진 21221
위로받고 싶은 당신에게, <보노보노처럼 살다니 다행이야> 1 file 2019.03.25 최가온 18759
치열했던 무안고와 천안신당고의 접전… '2019 대한핸드볼협회장배 전국 중·고등 선수권 대회' file 2019.03.25 배시현 24820
SKY캐슬 예서는 '이기적 유전자'를 이해하지 못했다? 2 file 2019.03.22 이연우 41424
3.1운동 100주년, 나라사랑 걷기대회 file 2019.03.22 김기혁 18421
채식으로부터 오는 모든 것 file 2019.03.20 김지현 19114
2019 K리그 개막전이 열리다 file 2019.03.20 박상은 19466
서울역사박물관 '딜쿠샤와 호박목걸이 展'을 다녀오다 file 2019.03.20 이도은 21742
3.1운동 100주년, 경상남도 시민과 함께하는 기념식과 만세운동 개최 1 file 2019.03.19 이지현 18064
미네랄 오일의 누명, 석유 추출물 화장품의 진실 file 2019.03.18 임현애 20785
항공우주에 미친 청년들, '꿈의 엔진을 만들다!' file 2019.03.18 김채현 19489
몇 년은 기다려야 한다면서 계속 뜨는 슈퍼문.. 그 이유는? file 2019.03.18 백광렬 19867
시베리아 횡단 열차 타봤니? 1 file 2019.03.15 정지우 23342
국제기구를 더 알아보자 file 2019.03.14 장혜원 20672
아름다운 예술의 나라, 프랑스 탐방기 file 2019.03.13 10기송은지기자 19689
음악PD 정재일의 특별한 나라 사랑 file 2019.03.13 장혜원 18428
하루에 한 발자국씩 「열두 발자국」 file 2019.03.13 황엘림 18813
함께 만든 100년 함께 만드는 미래 file 2019.03.13 이서진 22110
3.1운동 100주년, 해외의 항일 독립운동의 흔적을 쫓아서 '이준 열사 기념관' file 2019.03.12 장선우 15460
MBN Y 포럼 2019, 청년들의 꿈과 열정을 두드린 시간 file 2019.03.12 이승하 15551
롯데월드타워는 어떻게 지어졌을까? file 2019.03.11 봉하연 19711
아름다운 빛의 향연, 빛의 벙커 file 2019.03.08 조은빈 20827
최북단 동해바다와 금강산이 함께 숨 쉬는 곳, 고성 통일 전망타워 방문기 file 2019.03.08 진시우 163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