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챌린저들의 챌린지

by 3기김은아기자 posted Apr 18, 2016 Views 1784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취재지역 220-100 강원 원주시 봉화로 1 (강원 원주시 단계동 1123) (단계동, AK플라자)

그들의 도전은 계속 됩니다.jpg

[이미지 제공=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김은아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우리의 일상속에서 챌린저라는 단어는 꽤 생소하다. 그렇기 때문에 처음에 챌린저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 많은 사람들이 정확한 뜻을 알아 맞추지 못한다. 얼핏보면 Challenge (도전하다)에서 파생된 말로 도전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해석 될 수 있다. 순수하게 단어의 뜻을 해석한다면 틀린 풀이는 아니다. 하지만, 챌린저라는 단어에는 깊은 뜻이 담겨있다.

챌린저란, 장애인을 지칭하는 새로운 단어로, 자신에게 닥친 '장애'라는 시련에 도전하는 사람들이란 뜻이다. 하지만 이런 챌린저들이 도전을 하기도 전에 기본적으로 갖추어져야할 요건들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고 있다.




지난 3월 10일 전국 3월 모의고사가 끝난 5시경쯤, 원주 에이케이 백화점(AK PLAZA)앞에는 큰 트럭과 함께 노란색 조끼를 입은 사람들이 시위를 하고 있었다. 그들은 차차차 현장 투쟁단(우리는 차별을 걷어차는 부릉부릉 자동차)로 장애인권리보장법 제정을 주장하고 있었다. 현재 제정되어있는 장애인복지법에는 문제가 많다. 일단 이 법의 조건에 충족하기 위해서는 가족이 가난해야하고, 장애등급도 높아야한다. 만약 장애3급이라 생활에 지장이있어도 장애1.2급이 아니라는 이유로 마땅한 연금과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가 없다고 한다.




이러한 엄격한 조건에 충족하지 못해서 피해를 보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장애 3급판정을 받았던 송씨는 장애 복지시설에서 나와 자립생활을 염원했지만 장애등급이 낮다는 이유로 일상생활보조를 배정받을 수 없었다. 활동지원서비스를 신청할 수 없었던 송씨는 홀로 있던 시간에 발생한 화재를 피하지 못하고 침대에서 누운 채 죽음을 맞아야 했다고 한다.

또한 2014년 송파에 사는 세 모녀는 아파서 일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생활고에 시달리고 있었다. 하지만 세 모녀가 신청할 수 있었던 복지제도는 아무것도 없었기 때문에 유서와 함께 세상을 쓸쓸히 떠나고 말았다.




법이란 국민들을 보호하고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올바르게 이끌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엄격한 조건들로 인해서 도움을 마땅히 받아야 할 사람들이 도움을 받지 못해 죽어가고 있다.? 이들의 요구는 부당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물론 장애1급에게만 주던 혜택들을 장애 3.4등급까지 준다면 몇배에 달하는 예산이 들 것이고, 보조를 해줄 사람들도 갑자기 구하는데에는 문제가 생길 것이다.

하지만  큰 변화가 아니더라도 많은 챌린저들이 지금보다 더 나은 생활이 보장 될 수 있도록 개선이 되야하고 시민들의 인식 또한 넓어져야한다.




차차차 현장 투쟁단은 서울-원주-경북-전북-대전-인천-서울을 돌면서 장애인 인권에 대해 시위를 하고 있는 중이고, 페이스북 '장애등급제, 부양의무제 폐지 공동행동'페이지를 운영중이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3기 김은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김윤정기자 2016.05.22 11:36
    첼린저에 대해서 잘 몰랐는데 이번기회에 알게 되었네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8051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4986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66164
유행처럼 퍼지는 우울, 무기력....혹시 ‘코로나 블루’ 아니야? file 2020.04.27 정예진 9841
대한민국 교육정책, 장미대선으로 뒤바뀌다. 1 file 2017.06.24 윤은서 9844
아파트 값과 전세값 앞으로는? 1 file 2020.11.05 박범수 9853
대한민국의 새로운 시작을 누구와 함께 할 것인가? 1 file 2017.03.26 구성모 9854
미국 대선의 끝은 어디인가? 1 file 2020.11.25 심승희 9858
“다시 시작하는 대한민국” 2 file 2017.05.13 한지선 9869
2020년 팬데믹에 빠진 지구촌 7대 뉴스 file 2021.01.25 심승희 9870
도로 위 무법자, 전동 킥보드...이젠 안녕 1 file 2021.05.20 변주민 9881
왜 그것은 말할 수 없는 비밀이 되었는가? 2 2018.01.29 김민소 9886
코로나로 무너진 세계 file 2020.05.13 이채영 9892
'시간은 흘러도 그때 그 마음 그대로' 촛불집회 2주년 기념 file 2018.10.30 장민주 9895
김복동 할머니 별세, 위안부 문제의 현주소는? file 2019.02.26 박은서 9896
전세계가 랜섬웨어에게 공격당하고 있다. 2017.07.24 최민영 9897
베트남에서 점점 심해지고 있는 코로나19 2 2020.04.14 김정원 9897
북미회담의 결과는 어떻게 될까 1 file 2018.06.05 양희원 9901
안전띠 그것은 왜 필요한가? 1 file 2020.02.27 오경언 9901
국민의힘 대선 토론 취소, 이준석 리스크의 현실화? file 2021.08.23 송운학 9904
실업의 종류와 대책 - COVID-19 펜데믹으로 인한 실업자 급증 file 2022.03.10 권나연 9909
[4.7 서울시장 선거] '이분법정치의 패배'...네거티브는 먹히지 않았다 file 2021.04.09 김도원 9913
아파트 근처에 있는 코로나 선별진료소 과연 괜찮을까? file 2020.03.05 김묘정 9928
장·차관 세비 30%반납에 이어 국회도 반납 릴레이 1 file 2020.03.30 김다인 9930
이스라엘 한국과 화이자 70만 회분 교환 협약 맺어 file 2021.07.07 고은성 9930
코로나19의 분야별 피해 현황과 그 해결책은? file 2020.03.02 전지영 9931
운치 있는 해안가 산책로, 쓰레기 투기 빗발친다 file 2020.03.02 이승연 9937
5.18 망언 3인방과 추락하는 자유한국당 file 2019.03.04 정민우 9945
국민청원이 병들어간다 2 2018.08.27 지선우 9947
대한민국 국민과 언론이 타협하여 찾은 진실, 미래에도 함께하길... file 2017.03.25 김재원 9950
첫 mRNA 백신 등장, 아나필락시스의 원인은 PEG일까? file 2021.05.03 차은혜 9958
전쟁의 변화 속 고찰 2 file 2020.01.16 최준우 9959
아프간 난민 수용에 대해 갑론을박..앞으로의 추가적인 난민 수용은? file 2021.09.01 이승열 9961
문대통령 '사드 합의 공개' , 한·미 정상회담에 미칠 영향은? file 2017.06.26 곽다영 9962
고 김용균, 비정규직의 안타까운 죽음을 애도하다 file 2019.01.28 최경서 9966
코로나19 영원히 사라지지 않는다? file 2020.08.25 이하은 9971
모두 마스크를 쓰세요, 코로나바이러스 5 file 2020.02.20 이도현 9988
기록적인 폭염속에..정부 누진제 개편안 발표 2018.09.03 신유빈 9997
소년법 개정되나? file 2020.06.19 이지우 10010
문재인정부의 4강 외교 복원! file 2017.05.13 양수빈 10017
교육부, 대학 개강 시기 "4주 이내 조정 권고" file 2020.02.12 박가은 10024
저출산 문제,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9.03.26 강민성 10033
'아베 시즌 2', '외교 문외한'... 그래도 지지율 74% '자수성가 총리' file 2020.09.23 신하균 10034
다시 시작된 코로나19 file 2020.08.26 손혜빈 10035
대륙이 손을 폈다, 하지만 이제 시작일 뿐 file 2017.03.26 김지한 10040
새로운 경제 정책, 대한민국을 바꿀 것인가 1 file 2017.07.25 홍은서 10040
문재인 대통령 취임 100일 기념 기자회견, 국민들의 반응은? file 2017.08.29 차형주 10044
미국에서 일어난 시위와 폭동, 'Black Lives Matter' 1 2020.06.16 허예진 10045
문 대통령 경제사회노동위원회를 만나다 file 2018.11.28 이진우 10047
또 다른 재난, 미세먼지 file 2018.11.30 서민석 10049
미래 배달사업의 선두자; 드론 file 2018.12.24 손오재 1005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