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잠자는 숲속의 중력파

by 3기김준영기자 posted Mar 22, 2016 Views 1670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우주 곳곳에서 조용히 잠자고 있던 중력파가 백 년 만에 제 모습을 드러냈다. 1916년, 아인슈타인이 일반 상대성 이론과 함께 중력파를 언급했을 땐 아무도 그 말을 믿지 않았다. 하지만 1974년, J. 테일러와 R. 헐스가 쌍성 펄서의 공전주기로 중력파의 존재를 간접적으로 증명해 내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고 2016년 02월 12일에 사상 최초로 중력파를 관측했다는 기자회견이 열리게 되어 중력파의 존재가 증명되었다. 그렇다면 중력파의 존재는 무엇이고, 중력파 관측은 어떤 의미를 지니는 걸까?

 

중력파(Gravitational wave)는 말 그대로 중력의 파동이라는 뜻이다. 일반상대성이론에서 아인슈타인은 질량을 가진 물체가 시공간에 영향을 끼친다고 했고, 이때 이 물체의 질량이 일으키는 시공간의 출렁임이 중력파이다. 쉽게 비유하자면, 탱탱한 매트리스 위에 무거운 쇠공을 올려놓았다고 가정하면, 매트리스는 위아래로 진동하다 그 폭이 점점 줄어들며 쇠공을 중심으로 푹 패인 모양을 유지할 것이다. 반대로, 쇠공을 갑자기 들어 올린다면, 이번에도 역시 잠시 동안 출렁거리다 원상태로 돌아갈 것이다. 이때 매트리스의 출렁임을 중력파라고 한다.


우주의 네 가지 힘 중에서 중력은 그 세기가 가장 작다. 지구의 질량마저 우주에서는 미미한 존재이기 때문에, 이번에 중력을 관측한 고급 레이저 간섭계 중력파 관측소, 줄여서 라이고(LIGO)는 지구 밖으로 눈을 돌렸다. 지구에서 13억 광년 떨어진 곳에 있던 두 블랙홀의 충돌을 이용한 것이다. 두 블랙홀은 질량이 각각 태양 질량의 29배, 36배이었는데, 하나로 합쳐지면서 62배가 태양의 질량의 3배만큼 이 사라졌다. 이 사라진 태양의 3배만큼의 질량이 중력파로 관측된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놀라운 점은, 이런 어마 무시해 보이는 크기의 질량이 지구에게 영향을 미치는 시간은 단 0.2초라는 것이다. 라이고(LIGO)는 4KM 길이의 기압이 0에 가까운 두 터널을 직교하게 붙이고, 그 끝에 거울을 위치시켰다. 터널의 교차점에서 두 거울에 레이저를 쏘게 되면 다시 반사되어 돌아오게 되는 시간을 이용해 거울 사이의 거리를 구하게 되면 보통은 두 레이저가 상쇄되는데, 이때 0.2초 동안 중력장이 터널의 크기를 변화시켜 두 거울 사이의 거리를 원자핵 속 양성자의 1/1000만큼 변화시킨다. 이 미세한 크기를 잡아내어 중력파를 관측한 것이다.


 그럼 우리 생활과 전혀 관련이 없어 보이는 중력파가 갖는 의미는 무엇일까? 단지 백 년 전 아인슈타인의 이론을 재확인한 것일까?

먼저, 전자기력, 강력, 약력은 IT 기술이나 수소 폭탄, 방사능 붕괴 등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중력은 그 크기가 너무 작아 상대적으로 그 활용방안이 구체적으로 연구되지 않았다. 하지만 이번 중력파의 발견을 통해 중력의 세계에 더 깊게 들어가 볼 수 있었기 때문에, 중력파의 분석을 통해 알아낸 것들과 중력의 여러 가지 특징을 이용하면 가까운 미래에 중력을 이용한 기술들이 나올 것이다.

또한, 천체 관측 방법의 진화에서 또 다른 의미를 가진다. 티코 브라헤가 맨눈으로 하늘을 관측할 때부터 갈릴레이와 케플러의 천체 망원경, 그리고 지금의 허블 우주 망원경까지 다양한 망원경이 만들어졌다. 그러나 어떠한 물질에도 영향받지 않는 중력파를 이용해 망원경을 만든다면 우리가 지금까진 볼 수 없었던 우주의 새로운 모습을 관측할 수 있을 것이다.


20160322_203922[1].jpg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3기 김준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온라인뉴스팀 2016.03.22 23:28
    댓글) 3기송채연기자

    중력을 이용한 기술이 나온다니 굉장하네요. 그리고 이 기술을 통해 어떤 제품이 어떤 용도로 활용될지 역시 매우 기대되는 바입니다. 더불어 중력파를 이용해 만든 망원경으로 우리가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우주의 새로운 모습을 본다니 미지의 세계인 우주에 한 발 한 발 다가가는 느낌입니다. 정말 유익한 기사 잘 봤어요!


    댓글) 3기김수빈기자

    중력을 이용해서 정말 많은 것을 할 수 있구나 하고 감탄했어요. 우주의 새로운 모습을 볼 수 있다는 것에도 많이 놀랐고요.. 정말 기대되네요!


    댓글) 3기김나림기자

    기술이 점점 발전하더니 이젠 중력을 이용한 기술까지 다달았네요! 그리고 중력파를 이용해 여러가지 분야에 이용된다고 하니 대단한 것 같네요! 많은 곳에 이롭게 쓰였으면 좋겠고 어떤 성과를 이뤄낼지 궁금합니다^^


    댓글) 3기강예린기자

    중력을 이용해서 할 수있는 것들이 정말 많네요!! 기술이 이렇게 까지 발전하다니 놀랍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댓글) 3기김현구기자

    흥미로운 기사, 잘 읽었습니다


    댓글) 3기홍준영기자

    영화 '인터스텔라'에서도 나왔던 내용 아닌가요? 영화를 볼때 사실 어려웠는데 설명을 읽고 보니 조금더 이해가 되는것 같아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82514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62641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407365
리움미술관에서 열린 필립 파레노 '보이스' 전시회 file 2024.06.24 안수진 1303
리콴유(Lee Kuan Yew) - 내가 걸어온 일류국가의 길 file 2018.05.18 홍도현 18075
린드블럼 14승, 반슬라이크 KBO리그 데뷔 '첫 홈런' file 2018.08.16 옥나은 15045
마누 프라카시의 인류의 공존을 위한 끊임없는 도전. file 2017.03.22 김민정 16889
마스크 귀걸이 자르기?…우리의 작은 노력으로 지키는 생태계 2 2021.11.22 정지운 16067
마스크 착용! 우리의 생명을 지키는 유일한 방법 1 file 2020.12.29 정주은 14824
마스크에 대한 서로 다른 생각 2 file 2020.04.03 백진이 15104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WE' file 2023.03.27 고민서 9011
마우리치오 카텔란이 당신에게 질문하다 file 2023.03.22 김하은 10019
마음씨도 달달한 BTS슈가, 생일 기념 보육원 한우 선물 2 file 2018.03.22 김수인 26725
마음에 와닿는 감성영화 추천! BEST 4! 19 file 2020.03.24 민아영 21177
마음에 젖어드는 영화 '지금 만나러 갑니다' 2 file 2018.04.20 정상아 17531
마음을 그려내는 빛, 한글 6 file 2017.10.16 정다윤 15929
마음을 나눌 수 있는 곳 '느림우체국' 2 file 2017.03.21 이다은 17134
마음을 따뜻하게 해주는 <빌리 엘리어트> 16년 만에 재개봉 8 file 2017.01.21 박예림 16481
마음의 양식, 독서 1 file 2018.12.07 서인하 16297
마음의 온도, 언어의 온도 2 2019.07.26 신수민 19882
마음의 위로가 필요하다면? '아무것도 아닌 지금은 없다' file 2021.03.10 박서경 14742
마음이 따뜻해지는 어버이날 2 file 2016.05.09 3기전재영기자 16734
마음이 편안해지는 책, '용기를 잃지 말고 힘내요' 1 file 2019.02.26 김세린 17817
마장호수, 서울 근교에서 아름다운 경관을 만나다 file 2021.05.31 변수연 12709
마지막을 장식하다 2016.05.24 김지현 14316
마천청소년수련관에서 청소년 동아리 발대식 열려 1 file 2017.03.25 박지현 13764
마케팅의 기본, 분석법을 배우자!! file 2016.06.04 김성현 50269
마포구 청소년을 위한 학습멘토링 ‘아름다움’ 운영 file 2022.06.20 이지원 8688
막대 풍선 대신 플라스틱 응원 배트...야구장 속 일회용품 줄이기 file 2023.05.29 정해빈 7248
만개한 벚꽃과 함께 이 노래 한번 들어볼래? 1 2020.04.08 이다원 13798
만년 꼴찌 이글스, 단독 2위로 우뚝 올라서다! file 2018.05.25 김동현 14595
만우절 단 하루만 존재하는 나라, 우주피스 공화국 6 file 2017.04.05 이지우 15849
만원으로 책 10권을 산다고? 1 file 2017.03.31 김유나 14581
만해 한용운의 혼을 담다, 전국만해백일장 3 file 2017.03.03 오시연 15283
만해의 숭고한 정신, '2016 만해축전'에 가다 file 2016.09.19 김민서 14472
만화 속 세상이 현실이 되는 곳, '디즈니랜드' 2 file 2017.08.17 김주호 15452
만화방과 카페의 화려한 변신 1 file 2018.03.12 유재현 15839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다다익선 file 2016.07.09 박성우 16651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이끈 E스포츠, League Of Legends MSI 그룹 스테이지 성황리에 종료 2 file 2017.05.19 정인영 16389
많은 연령대의 음악 장르가 되고 있는 '트로트' 1 file 2020.04.29 윤예솔 14299
많은 학자들이 함께 밝혀낸 원자의 구조 file 2020.08.26 김형인 14886
많은 혜택을 누리시오! file 2017.12.22 김주은 15189
말 많은 WBC, 이대로 괜찮은가? 2 file 2017.02.22 최민주 14582
말라리아 잡는 종이 원심분리기, 페이퍼퓨즈 4 file 2017.02.25 강단비 30208
말레이시아 경제 넌 얼마나 알고 있니? file 2018.04.13 조찬미 22657
말레이시아의 불, 코타키나발루로 떠나보자! file 2018.04.04 이초은 18557
말레이시아의 수도 쿠알라룸푸르 그곳은 2 file 2019.04.18 이지수 20466
말은 통하지 않아도, 우리는 함께 즐길 수 있어 행복해요! 1 file 2017.08.04 박채연 27009
맑고 높은 하늘 아래, 하늘공원 억새축제 2 file 2016.10.24 황지연 17732
맛과 멋이 있는 곳! 순천 푸드 아트 페스티벌 1 2017.06.06 이소명 18783
맛있는 것을 주지 않으면 장난을 칠 거야! 2017.10.24 박승미 149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