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탕후루, 마라탕 유행에...청소년 건강은 적신호

by 22기고민서기자 posted Oct 05, 2023 Views 797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건강에 적신호가 켜졌다. 이는 청소년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자극적인 음식 때문이다. 요즘 청소년의 점심 필수 코스는 '마라탕후루'라고 할 정도로 작은 과일을 꼬치에 꿰어 설탕과 물엿을 입혀 만드는 달콤한 중국 간식 '탕후루'와 맵고 얼얼한 중국의 탕 요리 '마라탕'이 청소년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데, 이들이 청소년 건강에 적신호를 켠 주범이다.


 탕후루.jpg 마라탕.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2기 고민서기자]


탕후루 꼬치 한 개의 열량은 대략 300kcal 내외이며, 마라탕 1인분의 칼로리는 약 1,800kcal이다. 16~19세 남자 청소년의 1일 권장 칼로리량이 2,700kcal, 여자 청소년은 2,100kcal인 점을 고려하면 탕후루 한 개와 마라탕 한 그릇으로 1일 칼로리량을 채우는 것이다.


또한, 탕후루 한 꼬치에 포함된 당류는 최대 25g으로 당류 1일 적정 섭취량인 50g의 절반이나 차지하며 마라탕 1인분에는 세계보건기구(WHO)의 나트륨 하루 권장 섭취량인 2천mg이 들어있다. 게다가 마라탕은 조미료와 향신료의 영향으로 학생들의 소화불량, 위염, 장염 등의 증상까지 유발한다.


맛있기만 한 줄 알았던 탕후루와 마라탕은 청소년들이 모르는 사이 그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실제로 17개 시도교육청이 보고한 소아당뇨 학생은 2년만에 26.1%가 늘었으며 질병관리청 학생 건강검사 및 청소년 건강행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10명 중 3명 꼴로 과체중인 것이다. 이처럼 청소년의 나쁜 식습관은 어느새 큰 문제가 되어 버렸다. 이 식습관은 성인이 되어서 고혈압, 당뇨병, 심혈관 질환, 종양과 같은 건강 문제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우울증, 스트레스, 불안, 사회 부적응과 같이 청소년들의 정신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하루빨리 청소년들의 안 좋은 식습관은 고쳐져야 할 것이지만 이는 단순히 학생들의 의지만으로 해결 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학생들은 이러한 자극적인 음식을 파는 환경에 둘러싸여 있어 벗어나려 해도 벗어날 수 없는 상황이다. 정부는 청소년의 비만을 심각한 문제로 여겨 학생들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음식을 파는 환경에 대한 규제를 만드는 등 제도를 마련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22기 고민서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8164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5124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67105
체포 과정에서 용의자를 질식사하게 한 미국 경찰, 그리고 이어진 '플로이드 사망 시위' file 2020.06.02 김가희 8318
인도의 "검은 곰팡이균" file 2021.06.14 이채영 8318
뉴질랜드 속 코로나19 2020.04.28 박혜린 8321
더 나은 대한민국을 만들 첫걸음, 4·15 총선 file 2020.04.08 박소명 8340
코로나19! 어디가 가장 위험할까? 충격적인 결과! file 2020.04.29 민아영 8348
누군가의 대변이 치료제가 될 수 있다? 2020.06.18 박혜린 8355
6.25 D-DAY, 국민들 우려대로 전쟁 일어날까? file 2020.06.29 임지안 8357
"우한은 코로나19 기원지 아니다" 다시 시작된 중국의 주장 1 file 2020.11.23 박수영 8368
광복절 집회에 대한 법원의 판결, 적절한가? file 2020.08.31 김근영 8370
애플페이, 교통카드 국내 도입 테스트 중...ios17부터 도입될까 file 2023.07.26 신지윤 8370
더불어민주당, 野의 만류에도 언론중재법 단독 통과 실현되나 file 2021.08.27 고대현 8372
한-카자흐스탄 경제협력, 카자흐 경제발전의 발판되나 file 2021.08.26 허창영 8373
2020년 의사 파업 그리고 현재 file 2021.03.03 이채령 8375
'코로나19'로 소상공인 피해 입다 2020.03.26 이수미 8376
정세균 총리, '코로나 대규모 확산의 길에 서 있는 일촉즉발의 상황' 1 file 2020.11.23 명수지 8386
삼성전자 이 부회장의 2년 6개월 실형 선고... 또 다른 리스크인 보험업법 개정 결과는? file 2021.01.19 김가은 8389
3월 9일부터 실시된 마스크 5부제의 현재 상황은? file 2020.03.27 박가은 8393
집주인의 거주권 VS 세입자의 계약갱신청구권 file 2021.03.30 조혜민 8393
사은품 가방 얻고 난 후 버려진 커피 300잔 file 2020.05.28 김태희 8394
청년, 공공주택과 위기의 징조들 file 2021.07.19 전인애 8394
[기자수첩] 미국 청소년들도 빠져든 K팝...한국 문화 영향력 커져 file 2023.09.16 이승주 8415
"부르카 안 썼다고 총살" 또다시 여성 인권 암흑기 접어드나 file 2021.08.31 양연우 8425
고조되는 美中 갈등, 어디까지인가? 2020.09.16 김나희 8426
청와대, "5월 13일부터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준비" file 2020.05.04 박가은 8427
최대 90% 효과? 코로나 백신 화이자 1 file 2020.11.26 김태완 8431
코로나19 뉴노멀 file 2021.03.02 박현서 8453
[기자수첩] 의대 쏠림 현상, 의대 정원 늘려 해결해야 file 2023.06.24 이래경 8456
'만취해 인천 모텔에서 女 폭행한 20대 남성...알고 보니 현직 경찰관' file 2021.07.01 김혜성 8459
코로나19로 힘든 시기에 한강, 과연 안전할까? file 2020.08.24 고종현 8467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는 코로나 확진자 수에 정부의 대책, 특별 방역관리주간 file 2021.04.26 이효윤 8467
故 노태우 전 대통령과 전두환 전 대통령에 대한 사회적 인식 왜 다른가? file 2021.12.07 오유환 8469
의도적인 트럼프의 발언? 1 file 2020.03.06 권수현 8475
독감백신 사망자 점차 증가 1 file 2020.10.29 박정은 8476
레바논의 수도, 베이루트에서 폭발이? file 2020.08.10 허예진 8486
불법이 난무하는 도로, 범인은 전동 킥보드? 1 2020.10.12 이삭 8495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11일 만에 휴전으로 멈춰 file 2021.05.25 민호윤 8498
독감백신 종이상자로 유통 file 2020.09.28 윤지영 8513
신재생⋅친환경 에너지 활성화로 주목받는 '은' file 2021.02.10 이강찬 8516
한국도서관협회 입장문, '2023년 신규 사서교사 정원 동결, 즉각 철회하라' file 2022.08.05 이지원 8516
공포가 된 독감백신‧‧‧ 접종 후 잇따른 사망 1 file 2020.10.26 윤지영 8526
코로나19의 재확산, 방역 당국과 교육 당국의 지침은? file 2020.08.25 홍승우 8529
사회를 갉아먹는 '인간바이러스' file 2020.09.03 김예한 8533
'의료계 총파업', 밥그릇 챙기기인가 정당한 투쟁인가 file 2020.10.29 유서연 8542
코로나19 사태, 숨겨진 일등공신은? file 2020.05.27 임서현 8546
창원 남창원농협 발 코로나 확진자 급증, "공동체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일" file 2021.08.20 우한인 8553
코로나19에 의한 경제적 양극화 현상.. 그 이면에는 거대기업들과 무책임한 정부가 있다? file 2021.10.05 이성훈 8553
마스크의 대란 어디까지인가 2020.03.18 김도연 8557
이제야 끝난 장마, 기후변화에 경각심을 가질 때 file 2020.09.07 박영주 85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