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기자수첩] 미국 청소년들도 빠져든 K팝...한국 문화 영향력 커져

by 22기이승주기자 posted Sep 16, 2023 Views 804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Screenshot 2023-08-23 at 9.32.03 AM.png[이미지 제공=Ambassador Highschool Sophia Stern,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한국의 대중문화를 전 세계로 전파시킨 K-Pop은 한국뿐만 아니라 미국 관객들도 사로잡았다. K-Pop만의 절도 있는 안무와 독특한 팬덤 문화로 문화의 장벽을 넘고 미국 청소년들에게도 강렬한 인상을 심어주고 있다.


K-Pop의 팬인 미국 고등학생 Sophia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그는 세븐틴을 통해 케이팝에 빠지게 되었고 K-Pop의 특징인 칼군무와 멤버들끼리의 관계성이 특별해 좋아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또한 음악으로 전달되는 에너지와 멤버들의 비주얼 등 다양한 요소가 결합되어 K-Pop이 더욱 특별한 장르임을 강조했다. 


단순한 관심을 넘어서 Sophia는 미국 내 K-Pop 댄스팀인 A2URE에 참여했다. A2URE 팀에서는 K-Pop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이 모여 공연을 하며 최근에는 5월 26일에 KCN(Korean Cultural Night)을 맞아 트와이스의 ‘Moonlight Sunrise’와 우주소녀의 ‘Last Sequence’를 공연을 했다고 밝혔다. KCN에는 약 500명 정도의 관객이 참여했고 6팀이 한국의 문화를 알리는 공연을 했다.


K-Pop의 본격적으로 국제 시장 진출은 2000년대 초반으로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인기를 끌었다. 북미와 유럽 지역으로는 잘 알려지지 않았던 K-Pop은 BTS의 빌보드 핫 100 1위 달성 이후 북미와 유럽 지역으로 파급력을 보였다.


처음 K-Pop이 전 세계적으로 알려진 것은 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이다. ‘강남스타일’은 2012년 11월에 유튜브 뮤직비디오 조회수 1위를 달성하고 이후 5년 동안 1위 자리를 지켜왔다. 싸이 이후 BTS와 블랙핑크를 포함하여 다양한 K-Pop 가수들이 해외로 진출에 성공하며 더 많은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


Screenshot 2023-08-23 at 9.31.55 AM.png

[이미지 제공=Ambassador Highschool Sophia Stern,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초기 K-Pop 수출 당시의 관세청 발표에 따르면 피지컬 앨범 수출액은 약 3천만 달러였다. 2022년에는 2억 4천만 달러 (약 2천999억 원) 가까이로 최고 기록을 달성하며 초기에 비하여 엄청나게 증가한 수치를 보여준다. 또한 많은 아이돌들이 미국에서 공연을 진행하고 있으며 BTS의 경우에는 2022년 미국 투어 공연 부문에서만 400억 원의 수익을 올렸다. 이처럼 K-Pop은 단순한 문화를 전파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경제적인 영향력도 끼치고 있다.


세계 최대의 음원 사이트인 Spotify에서는 2022년 한 해에 K-Pop 가수들의 음원이 165억 회 보다 더 많이 재생되었다고 이는 2020년에 비하여 56%, 2021년에 비하면 20% 증가된 수치이다. 또한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스트리밍 된 가수에서는 BTS가 9위를 차지했다. 이 데이터는 K-Pop의 실질적인 글로벌 영향력을 보여주며 해외의 증가한 관심을 보여준다.


이처럼 K-Pop의 글로벌 영향력은 더 이상 부인할 수 없으며 한국의 문화 수출품일 뿐만 아니라 국가의 위상과 경제의 원동력이 되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22기 이승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728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5183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9590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의 변질: 블레임 룩(blame; 비난, look; 주목) 3 file 2017.02.28 조나은 16189
최순실 1심 판결, 징역 20년·벌금 180억 원·추징금 72억 원 file 2018.02.22 허나영 10969
최소한의 투표권도 얻지 못하는 청소년,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8.08.13 장혜성 10492
최대 90% 효과? 코로나 백신 화이자 1 file 2020.11.26 김태완 8245
총선 투표율, 이대로 안녕한가? 3 file 2016.03.12 고건 18084
총선 국면 돌입한 정치권...국민의힘, 민주 당내 갈등에 이목 쏠려 file 2023.11.22 김도민 4605
총기 규제에 대한 미국 내의 두 반응 file 2018.04.05 전병규 12643
촛불집회 노벨평화상후보에 오르다? 3 file 2017.04.15 한한나 12162
촛불집회 100일... 그동안 어떤 일이 있었나 5 file 2017.02.09 장인범 17575
촛불의 시발점, 광화문 3.1운동 100주년 기념 file 2019.03.11 장민주 14074
촛불시민에게 ??? 문 대통령 세계시민상 수상 1 file 2017.10.02 문서연 11060
촛불과 함께한 모든 날이 좋았다. file 2017.03.20 김윤영 9919
촛불 대통령에게 '레드카드'를 보내다 file 2017.05.16 김소희 10868
초콜릿은 모두에게 달콤하기만 한 것일까? file 2019.09.23 이채윤 10851
초유의 '4월 개학' 확정 2 file 2020.03.19 류경주 8805
초대형 선박 좌초로 마비된 수에즈 운하 file 2021.03.29 박수영 8312
초강력 허리케인 '어마', 카리브 해 연안 도서 및 美 남부 강타해 피해 속출 1 file 2017.09.11 이윤희 12425
초·중·고교 사상 초유의 ‘온라인 개학’···문제점은? 2 file 2020.04.02 유시온 9333
체포 과정에서 용의자를 질식사하게 한 미국 경찰, 그리고 이어진 '플로이드 사망 시위' file 2020.06.02 김가희 8120
청학고 새월호 참사 2주기 추모행사 3 file 2016.04.23 문채하 18612
청천 프로젝트: 한중 공동의 미세먼지 해결법 2 file 2017.05.24 임형수 12518
청주시 기록적 폭우, 사후 대책은 어떻게? 25일까지 수해피해신고 마감! 1 file 2017.07.24 조영지 12082
청주 서원구 미래통합당 최현호 후보 연이은 아쉬운패배 file 2020.04.28 한재원 9181
청와대, '난민법, 무사증 입국 폐지/개헌' 거부 답변을 내놓다 file 2018.08.07 김나현 10928
청와대, "5월 13일부터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준비" file 2020.05.04 박가은 8263
청와대 해명에도 불구하고 점점 가중되는 '차이나 게이트' 의혹 file 2020.03.24 임재완 9425
청와대 이번에도 압수수색 불허... 그 이유는? 4 file 2017.02.04 구성모 19573
청와대 국민청원 '시작은 좋았으나' 2 file 2018.09.03 김지영 10813
청와대 게시판 '난민신청 허가 폐지/개헌' 청원 70만 돌파 4 file 2018.07.27 김정우 11663
청와대 '오보괴담 바로잡기' 3 file 2016.11.20 김다현 19983
청소년이 직접 만드는 청소년의 권리 2 file 2017.07.25 최지오 12219
청소년이 보는 소년법 "법의 헛점을 노린 교묘한 범죄 잇따라..." file 2018.09.27 8기심채은기자 10799
청소년의 흡연과 실질적인 방안 2014.07.28 김서정 22670
청소년의 음주 흡연 이대로 괜찮을까? 2 file 2016.05.24 최시헌 23875
청소년의 방역패스, 필수인가 선택인가 1 file 2022.01.21 최재원 15061
청소년을 향한 담배 광고, 괜찮은 걸까? file 2020.06.01 김가희 8747
청소년을 위한 페미니즘, 교육이 나서야 한다 3 file 2018.12.18 황준하 11934
청소년을 보호하는 소년법, 개정 혹은 폐지? 4 2017.11.09 박찬영 15128
청소년에게 듣는 '19대 대선과 대한민국' 1 file 2017.05.20 박상민 10944
청소년보호법과 소년법은 다르다? 7 file 2017.09.21 김주은 18204
청소년들이여 흡연의 불씨를 꺼라 2014.07.26 양나나 22966
청소년들이 바라보는 대한민국 정치 1 file 2017.02.09 정재은 16533
청소년들이 던져야 할 질문 하나, 과연 문명의 발전은 인류를 행복하게 해주었을까? 2 2019.01.11 임효주 12789
청소년들의 흡연 file 2014.07.30 1645 20523
청소년들의 흡연 2014.07.30 변다은 22089
청소년들의 일상이 되어버린 SNS 2 file 2018.01.03 정유정 12610
청소년들의 음주 문제 '심각' 5 file 2016.03.19 한지수 19259
청소년들의 언어사용 실태 5 file 2016.10.25 김나연 693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