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서대문 청소년기관, 2022년 청소년 2800명 대상 종합실태조사 발표

by 이지원기자 posted Dec 23, 2022 Views 702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3420802290_20221217135523_7384736267.jpg
[이미지 제공=서대문청소년센터,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서울 서대문구 내 청소년기관(시립서대문청소년센터, 구립홍은청소년문화의집, 구립서대문청소년상담복지센터, 서대문진로직업체험지원센터)이 관내 9세~18세 청소년 2800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생활실태와 요구를 파악하는 종합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에는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 이은경 교수, 명지전문대학교 청소년교육상담과 이응택 교수가 함께 참여하고, 서대문구와 한국청소년재단이 연구를 후원했다.

청소년의 환경의식, 진로희망, 행복도, 정신건강, 여가활용, 스마트폰 활용, 미디어와 4차산업 교육, 서비스 만족도 등 7개 분야 23개 세부지표를 설정해 조사하고, 청소년의회, 청소년운영위원회 등 청소년이 직접 토론을 거쳐 의견과 요구를 제안함으로써 청소년정책을 공론화했다.

종합실태조사의 주요 결과와 제언 사항은 다음과 같다.

◇ 환경

환경문제에 대해 ‘심각하다’가 26.6%, ‘매우 심각하다’가 64.8%로 확인됐다. 환경문제가 심각하다고 인지하는 수준이 동일 연구조사 전년도와 결과와 비교했을 때 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실제 환경문제가 심화됨과 더불어 청소년의 인지하고 느끼는 비중도 커졌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최근 1년간 경험했던 환경교육이 도움이 됐다는 응답이 63%로 확인됐고, 필요한 환경교육으로 기후변화, 실천방법 순으로 꼽아 청소년에게 실효성 있는 환경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진로

희망직업의 5순위를 살펴보면, 운동선수, 의사, 교사, 컴퓨터공학·개발자, 회사원, 경영자·CEO로 확인된다. 청소년이 직업을 선택하는 이유로는 절반 가까이 좋아하기 ‘내가 좋아하는 일이라서’를 꼽았고, 잘할 것 같아서, 돈을 많이 벌 것 같아서가 이어서 나왔다. 알고 싶은 정보로 진학·입시에 대한 정보, 직업정보, 학과정보 등이 있으며 진로지원으로는 직업체험기회가 가장 필요하다고 했다. 진로심리검사, 진로 동아리활동이 진로에 도움이 됐다고 했다.

2021년에 이어 2022년에도 서대문구 청소년의 가장 큰 고민과 스트레스가 학업과 진로로 나온 것이 놀랍지 않은 결과이기도 하다. 그만큼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한 분야가 ‘진로’이다.

◇ 활동

청소년이 가장 하고 싶은 활동은 무엇일까? 상위 답변을 살펴본 결과 신체활동, 문화예술활동, 과학정보활동 순으로 확인됐다. 청소년에게 필요한 공간으로 체육공간이 상위권으로 확인됐고, 또한 남녀불문 희망직업 1순위도 운동선수로 집계된 것을 비춰 볼 때 신체·체육활동에 대한 수요가 높다고 볼 수 있다.

코로나19 대유행 속에 체육활동이 축소되고, 건강에 대한 염려가 상승한 가운데 많은 엔데믹에는 청소년이 신체활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환경이 형성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 행복

청소년의 생활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5점 척도로 했을 때 주거환경의 평균은 4.39, 가족 4.37, 친구 4.23, 안전 4.14, 용돈 3.96, 학교 3.93, 동네 3.88, 여가생활 3.84, 건강 3.77, 외모 3.46 순으로 확인됐다. 청소년의 행복도를 조사한 결과, 10점 만점에 현재의 행복점수는 6.58점으로 나타났지만 미래의 행복점수는 7.54점으로 나타나 앞으로의 삶이 행복할 것으로 예측하는 긍정적인 결과도 살펴볼 수 있었다.

스마트폰 중독, 가출, 자살 등에 대한 경험을 조사했는데 청소년 7.3%는 부적응행동의 고수준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의 생활 만족도나 행복도 역시 다른 그룹보다 낮은 수준으로 확인돼 청소년의 문제를 모니터링하고 정신건강을 돌볼 수 있는 사회적 시스템이 강화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를 맡은 이은경 교수는 “사회변화에 따라 청소년의 변화와 요구도 다양해지고 대상별 맞춤 지원이 필요하다.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듯 지역 청소년들이 환경이나 4차산업과 같은 미래에 대한 실존적 해답을 추구하고 있어 실용성 있는 교육이 제공돼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연구조사 결과와 청소년 정책제안 영상은 한국청소년재단 홈페이지와 유튜브 채널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이지원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5625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2350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42244
한 여성의 억울한 죽음, 그리고 그 이후의 논란 5 file 2016.05.24 유지혜 21437
한 여성의 죽음, 그리고 갈라진 여성과 남성 3 file 2016.05.22 김미래 17235
한-카자흐스탄 경제협력, 카자흐 경제발전의 발판되나 file 2021.08.26 허창영 8318
한·중 수교 25주년, 사드에 한중관계 흔들 file 2017.09.01 한결희 10869
한·중 통화스와프 연장 합의, 관계 개선될까? file 2017.10.20 박현규 11542
한겨레교육, 꼭 알아야 하는 글쓰기 교육 11월 개강 file 2022.11.01 이지원 13668
한결 나아진 무더위, 안심할 수 있을까? file 2018.08.22 안혜민 11227
한국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결선 진출 2 file 2020.10.21 차예원 11387
한국 관광업의 미래, 관광데이터분석가 file 2018.11.05 이승철 11896
한국 남성, 일본 여성 폭행... 과연 반일감정? 1 file 2019.09.26 김지은 10522
한국 드디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하나? 김빛내리 교수와 코로나19 바이러스 file 2020.04.24 윤혜림 15456
한국 첫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1차 선거 통과 file 2020.09.23 차예원 12156
한국 청소년들, 정치에 관심 없다 2 file 2019.11.25 이세현 15431
한국 최초 기관단총 K1A 2020.05.27 이영민 13197
한국 해군의 경항모에 제기된 의문들과 문제점 file 2021.02.22 하상현 12406
한국, 디지털화 수준 60개국 중 7위…"성장성은 49위에 그쳐" file 2017.07.17 온라인뉴스팀 11337
한국, 백신 부족 해소돼 ‘위드 코로나’ 준비 2 file 2021.10.25 안태연 9677
한국, 소비자신뢰지수 22년만에 최고.."1995년 이후 최고 수준" file 2017.08.22 디지털이슈팀 11367
한국거래소, 러시아 ETF 거래 정지 발표 file 2022.03.07 윤초원 6889
한국도서관협회 입장문, '2023년 신규 사서교사 정원 동결, 즉각 철회하라' file 2022.08.05 이지원 8462
한국디스펜서리 주관 ‘2022 식약용 대마 분석·보안 컨퍼런스’ 12월 23일 개최 file 2022.12.16 이지원 6386
한국목재재활용협회, 오염된 폐목재의 무분별한 중고거래 대책 마련 촉구 file 2022.09.13 이지원 6555
한국문학의 거장, 최인훈 떠나다 file 2018.07.25 황수환 10575
한국사 국정교과서, 역사 왜곡 논란에도 결국.. 2 file 2017.02.21 이주은 18485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의회, 그룹홈 아동 원가족복귀 지원 사업 완료 file 2022.08.25 이지원 5950
한국은 지금 마스크 전쟁중 1 file 2020.02.27 차현서 9401
한국의 보수가 영국의 보수당에서 배울점은 무엇인가? file 2018.03.08 김다윗 12671
한국의 조용한 축제 제21대 총선 file 2020.05.18 이가빈 8077
한국인은 잠재적 확진자? 늘어나는 한국인 입국 금지 국가 file 2020.03.02 김예정 8825
한국전쟁 70주년인데...20일간의 일촉즉발 남북 관계 file 2020.06.26 김대훈 11709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산불 진화 현장 속 '숨은 영웅' 자원봉사자 활약 소개 file 2022.06.07 이지원 7496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수해 복구 대응 자원봉사 활동 지원 추진 file 2022.08.19 이지원 7212
한국청소년재단, ‘투표한다람쥐’ 캠페인 실시 1 file 2022.05.30 이지원 5974
한글날 맞아 '한글날 휘호 대회' 가봤더니...한류 열풍에 외국인도 몰려 file 2023.10.12 조이현 6892
한글문화연대, ‘제2회 외국어 남용에 불편했던 이야기 수기·영상 공모전’ 개최 file 2022.07.01 이지원 6056
한나라의 대통령이...비난받는 브라질 대통령 1 2020.04.17 조은우 8941
한류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한령 2 file 2017.05.26 유수연 12561
한마음으로 뭉친 시민들의 광화문 집회 1 file 2016.11.06 김관영 18918
한미 미사일 지침 47년 만에 폐지! 자주국방에 한 걸음 더 가까이! 1 file 2021.05.24 하상현 10590
한반도 문제의 판이 커진다? - 북러 정상회담과 중국의 반응 file 2019.05.02 맹호 12856
한반도 비핵화 운전대 잡은 韓, 떨떠름한 中,日 file 2018.03.08 박현규 10683
한반도 평화 물꼬 튼 '평창 동계올림픽' 1 file 2018.05.02 이선철 12177
한반도, 통일을 외치다! 2018.05.02 김하영 11096
한반도를 둘러싼 외교전쟁 file 2016.09.24 이민구 16973
한반도에 봄이 온다 1 file 2018.05.02 강예진 11320
한반도의 판도라의 상자, 고리 1호기의 영구폐로 3 file 2017.06.22 이빈 11594
한일 갈등과 불매 운동, 그 속으로 file 2019.08.27 박은서 11595
한일 무역전쟁과 깊어지는 한일 갈등 file 2019.08.19 윤대호 116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