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한국도서관협회 입장문, '2023년 신규 사서교사 정원 동결, 즉각 철회하라'

by 이지원기자 posted Aug 05, 2022 Views 848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3552132746_20220803201200_4985098752.jpg

[이미지 제공=한국도서관협회,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한국도서관협회가 관련 20개 단체와 교육부의 2023년 신규 사서교사 정원 동결안을 철회하는 입장문을 공동 기자회견을 통해 밝혔다고 4일 밝혔다.

◇한국도서관협회 성명서

교육부는 7월 29일(금) 2023년 교원 사전 선발 인원을 발표했다. 2023년 사서교사 신규 T/O 37명이다. 이 숫자는 정부가 사서교사 신규 T/O를 증원해 배정한 것이 아닌 시·도교육청별 퇴직, 의원면직 등 결원에 대한 신규 선발 인원으로 판단된다. 이는 정원 관련 정보를 관계 당국에서 공개하지 않아 시·도교육청을 통해 간접적으로 확인해 추정한 숫자다. 결국 행정안전부는 교원 정원 감축이란 명목으로 사서교사에 한해 신규 정원을 배정하지 않고 동결했다. 학교 도서관이 독서 교육과 정보 활용의 교육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때 가장 학교 도서관답다. 2023년 사서교사 정원의 동결은 학교 도서관의 교육적 역할에 대한 현 정부의 무관심과 무지를 반증하는 것이다.

이에 한국도서관협회는 도서관계·학계·교육계·시민단체 등 관련 20개 단체와 ‘사서교사 정원 확보를 위한 공동 연대’를 결성하고, 2022년 8월 3일(수) 오전 10시 세종시 행정안전부 제1별관 앞에서 ‘사서교사 정원 동결 규탄!, 사서교사 정원 확대를 위한 공동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한국도서관협회는 사서교사 정원 동결안 철회가 필요한 이유를 다음과 같이 밝힌다.

사서교사는 학교 도서관을 통해 학생들이 책을 즐겁게 읽을 수 있도록 하며, 인쇄 미디어부터 디지털 미디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리터러시를 향상하는 교육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우리나라 청소년의 2021년 독서율과 독서량은 2019년에 비해 각각 0.7%, 6.6권 감소했다(문화체육관광부, 2022). 그리고 PISA (국제학업성취도평가) 2018에서 사실과 의견을 구분하는 디지털 리터러시(문해력, 정보 해독력)는 OECD 회원국 중 최하위였으며, 디지털 정보 출처 신뢰도 평가 능력도 OECD 회원국 중 최하위권이다.

독서는 마음의 양식이라고 일컫는다. 그뿐만 아니라 책을 즐겁게 읽는 습관이 언어·수학·과학 등의 학업 성취도에도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OECD, 2019년 발표). 사서교사를 초·중·고등학교에 배치해 학생들의 책 읽는 즐거움을 경험하고, 디지털 미디어 속 정보의 신뢰성과 해독력을 향상해 공정한 교육 기회를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018년 ‘학교도서관진흥법’ 개정으로 초·중·고등학교에는 사서교사 등의 배치가 1명 이상으로 의무화가 됐다. 또한 교육부는 제3차 학교도서관진흥기본계획(2019년~2023년)을 2019년에 발표하면서 사서교사 배치율을 2030년까지 50%로 높이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사서교사는 2021년 4월 기준 전국 1만1785개 초·중·고등학교에 1433명만이 배치돼 있어 학교당 겨우 0.12명만이 배치(학교당 배치율 0.12%)돼 있을 뿐이다.

이는 전국 1만352개의 초·중·고등학교에는 사서교사가 배치돼 있지 않은 것이다. 즉 1만352개의 초·중·고등학교의 학생들에게는 책 읽는 것이 즐겁다는 경험과 다양한 미디어와 미디어 속 정보의 신뢰성을 평가하고, 올바르게 해독하는 능력 향상의 기회가 부족하고, 차별적으로 제공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타 비교과교사에 비해서도 사서교사의 배치율은 매우 저조한 편이다. 2021년 4월 기준 보건교사는 8880명으로 학교당 배치율은 75.4%, 영양교사는 6147명으로 학교당 배치율은 52.2%, 전문상담교사는 3,549명으로 학교당 배치율 30.1%인 것에 비해 사서교사의 학교당 배치율은 12.2%로 다른 비 교과교사에 비해서도 매우 낮은 수치다.

한편 이번 서명 운동은 한국도서관협회 등 도서관 단체와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 등 교원단체, 한국사서협회 등 사서 단체, 책읽는사회만들기국민운동 등 시민 단체, 한국도서관정보학회 등 학회를 포함해 총 20개 단체가 공동으로 진행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이지원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6700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3537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54340
20대 대선에 출사표를 던진 군소후보들 file 2021.10.29 노영승 7031
문재인 대통령, 국가인권위원회 설립 20주년 기념식 축사 "정부정책 비판도 해야" file 2021.11.26 이지은 7005
소년 범죄 양형 세졌다...법원, 학교폭력 일삼은 여중생 3명에 징역형 file 2023.10.01 이서진 7000
더불어민주당의 위기… 난관 잘 헤쳐나가야 file 2021.05.10 김민석 6989
농정원, 코로나19 전후 명절 선물 트렌드 변화 분석 결과 발표 file 2022.08.31 이지원 6980
경찰, 경희대 국제캠 총학생회 '업무상 배임 혐의' 내사 착수 file 2023.05.16 디지털이슈팀 6978
청소년 미디어 과의존 해소 위한 '2022 서울시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연합세미나’ 개최 file 2022.06.13 이지원 6972
법무부, '로톡'-'변협' 갈등 중재에 나서나… file 2021.08.26 오정우 6962
바이든 대통령과 첫 한미 정성회담 통화 file 2021.03.02 고은성 6934
청년 인재들을 위한 사회 변화 실험터 ‘SUNNY’, 사회 문제 분석 보고서 발표 file 2022.05.23 이지원 6930
한글날 맞아 '한글날 휘호 대회' 가봤더니...한류 열풍에 외국인도 몰려 file 2023.10.12 조이현 6918
한국거래소, 러시아 ETF 거래 정지 발표 file 2022.03.07 윤초원 6915
'동유럽'의 전쟁과 '동아시아'의 전쟁 file 2022.02.28 김준기 6880
중국 대출우대금리 0.05%인하…이유는? file 2021.12.22 윤초원 6855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청소년 위한 민주시민 교육 ‘좋은시민이란 무엇일까?’ 프로그램 운영 file 2022.08.09 이지원 6816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SOS생명의전화’ 운영 11년 차 맞아 누적 상담 빅데이터 분석 결과 공개 file 2022.08.12 이지원 6789
환경실천연합회, 대기 환경 개선 위한 ‘대기를 살리는 청년들’ 서포터즈 모집 file 2022.06.13 이지원 6760
국민연금, 대표소송 통해 적극적인 주주권 행사 나서나 file 2022.02.22 류민성 6760
올바른 게임 문화 이해를 위한 '2022 보호자 게임리터러시 교육' 온라인 실시 file 2022.09.02 이지원 6717
러시아 그리고 우크라이나, 우리에게 주는 영향은? file 2022.02.24 강민지 6686
친환경포장기술시험연구원, 제품 포장재질 및 과대포장 검사 전문기관으로 지정 file 2022.08.22 이지원 6661
[기자수첩] 유치 결정까지 100일...부산 엑스포는 유치될 수 있을까 file 2023.08.22 김휘진 6645
민주당, 참패.... 文 대통령의 고민 file 2021.04.12 김민석 6637
우크라이나 사태와 반도체 기업 file 2022.02.28 이준호 6604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6·10민주항쟁 35주년 기념 ‘2022 민주주의 창작공모전’ 개최 file 2022.06.08 이지원 6598
하이브, 이수만 지분 인수 완료...SM엔터 최대주주 됐다 file 2023.02.22 디지털이슈팀 6595
강동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이태원 사고 관련 ‘재난 심리지원 특별상담실’ 운영 file 2022.11.16 이지원 6582
예멘 후티 反軍, 아랍 에미리트 향해 미사일 공격 1 file 2022.01.27 권강준 6579
뉴욕 연은 총재 빅 스텝 가능성 시사…본격적 긴축 시작되나 file 2022.03.28 윤초원 6578
한국목재재활용협회, 오염된 폐목재의 무분별한 중고거래 대책 마련 촉구 file 2022.09.13 이지원 6571
[기자수첩] 들끓는 강력 범죄...‘가석방 없는 종신형’ 도입해야 file 2023.09.22 오다연 6537
[기자수첩] 챗GPT에 높아지는 관심...직접 써보니 2 file 2023.05.06 이성재 6532
직능연 "마이스터고 졸업생, 수도권 쏠림 현상 강해져" file 2023.01.18 디지털이슈팀 6524
[기자수첩] 광주 중학생들 대낮에 금은방 털어...'촉법소년' 처벌 높여야 file 2023.05.06 김휘진 6522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건강의 날 기념 및 제32대 정신건강지킴이 위촉 file 2022.09.19 이지원 6515
'만 나이 통일법' 시행 3달째...연령 혼동 사라질까 file 2023.09.22 빈나현 6508
방역패스, 백신 미접종자 차별? 1 file 2022.01.06 피현진 6473
[기자수첩] 우리에게는 '디지털 디톡스'가 필요하다 file 2023.08.10 김하은 6463
S-OIL, 샤힌 프로젝트에 9조원 투자...2026년 6월 완공 file 2023.03.10 디지털이슈팀 6436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022년 ‘서울 청년의 생명을 살려라! 100인 토론회’ 개최 file 2022.08.16 이지원 6407
한국디스펜서리 주관 ‘2022 식약용 대마 분석·보안 컨퍼런스’ 12월 23일 개최 file 2022.12.16 이지원 6405
매일유업, 9월 6일 자원 순환의 날 맞아 지구를 살리는 '약속 챌린지' 진행 file 2022.09.07 이지원 6402
청년세대 10명 중 6명 "원하는 직장 찾을 때까지 취업 N수할 것" file 2023.04.19 디지털이슈팀 6394
지정학적 위기부터 연준의 긴축 가능성까지 … 증시 ’긴장’ file 2022.02.21 윤초원 6390
'오커스'가 도대체 뭐길래.. 프랑스 왜 뿔났나 file 2021.10.28 조지환 6344
서울연구원, '여건 변화에 대응하는 국토계획법 및 서울 도시계획' 주제로 세미나 개최 file 2022.12.14 이지원 6317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청년자살예방 인식 개선 연합 캠페인 ‘서울 청년의 생명을 살려라’ 성료 file 2022.10.22 이지원 6311
[기자수첩]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 엇갈리는 평가 2023.04.03 최민준 62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